'대'수번뇌(大隨煩惱)라는 명칭은 이에 속한 번뇌가 모든 염오심(染污心)과 언제나 함께 일어나는 번뇌임을 뜻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대(大)'라는 낱말을 사용하여 명명한 것이다. 여기서 염오심은 번뇌에 물든 모든 마음을 뜻한다. 수번뇌(隨煩惱)는 하나 혹은 다수의 근본번뇌를 의지하여 그 근본번뇌와 함께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를 뜻한다.[1][2][4]
즉, 대수번뇌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은 모든 염오한 마음에서 언제나 발견된다.
그리고 모든 염오한 마음에는 이들이 동시에 함께 작용하고 있음을 말한다.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근본'번뇌(根本煩惱)는 '뿌리가 되는 1차적인[根本]' 번뇌다.
'소'수번뇌(小隨煩惱)는 '특수한 또는 심한[小]' 2차적인 번뇌다.
'중'수번뇌(中隨煩惱)가 '특수하지도 일반적이지도 않은[中]' 2차적인 번뇌다.
이에 비해, '대'수번뇌(大隨煩惱)는 '일반적인[大]' 2차적인 번뇌라 할 수 있다.[8]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 가나다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6권. p. T31n1585_p0033a28 - T31n1585_p0033b08.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諸隨煩惱其相云何。頌曰。 隨煩惱謂忿 恨覆惱嫉慳 13誑諂與害憍 無慚及無愧 掉舉與惛沈 不信并懈怠 14放逸及失念 散亂不正知 論曰。唯是煩惱分位差別。等流性故名隨煩惱。此二十種類別有三。謂忿等十各別起故名小隨煩惱。無慚等二遍不善故名中隨煩惱。掉舉等八遍染心故名大隨煩惱。"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호법_등_지음,_현장_한역T.1585 (help)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3a28 T31n1585_p0033a28 - T31n1585_p0033b08].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광(誑)·첨(諂)과 해(害)·교(憍)· 무참(無慚) 및 무괴(無愧), 도거(掉擧)와 혼침, 불신 아울러 해태(懈怠),
방일(放逸) 및 실념(失念), 산란(散亂) · 부정지(不正知)이다.238) 논하여 말한다. 이것은 오직 번뇌의 분위의 차이이고, 등류하는 성질이므로 수번뇌라고 이름한다. 이 스무 종류는 구분하면 세 가지가 있다. 분(忿) 등 열 가지239)는 각기 따로 일어나기 때문에 소수번뇌(小隨煩惱)라고 이름한다. 무참(無慚) 등 두 가지240)는 불선(不善)에 두루하기 때문에 중수번뇌(中隨煩惱)라고 이름한다. 도거심소 등 여덟 가지241)는 잡염심에 두루하기 때문에 대수번뇌(大隨煩惱)라고 이름한다. 238) 수번뇌심소 스무 가지를 밝힌다. 수번뇌심소는 독립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근본번뇌심소의 작용에 의해 동류(同類)로서 이끌려 일어난다. 239) 분(忿) · 한(恨) · 부(覆) · 뇌(惱) · 질(嫉) · 간(慳) · 광(誑) · 첨(諂) · 해(害) · 교(憍) 심소이다. 240) 무참(無慚) · 무괴(無愧) 심소이다. 241) 도거(掉擧) · 혼침(惛沈) · 불신(不信) · 해태(懈怠) · 방일(放逸) · 실념(失念) · 산란(散亂) · 부정지(不正知)의 심소이다."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호법_등_지음,_현장_한역,_김묘주_번역K.614,_T.1585 (help)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제6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324 324-325 / 583].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황욱 1999, 63.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쪽 "‘隨煩惱’란 ‘隨惑’이라고도 하는데, 곧 근본번뇌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를 가리킨다."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황욱1999 (help)
↑ 가나다星雲, "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隨煩惱: 梵語 upakleśā,巴利語 upakkilesa。指隨根本煩惱而起之煩惱。與「根本煩惱」相對稱。又作隨惑、枝末惑。據俱舍論卷二十一載,隨煩惱有二義:(一)指隨心生起而惱亂有情之一切煩惱。(二)指依根本煩惱而起之其他煩惱。書中共舉出十九種隨煩惱,並總括為三類,即:(一)大煩惱地法,指放逸、懈怠、不信、惛沈、掉舉。(二)大不善地法,指無慚、無愧。(三)小煩惱地法,指忿、覆、慳、嫉、惱、害、恨、諂、誑、憍等十種,及不定地法中之睡眠、惡作。 據成唯識論卷六載,隨煩惱指根本煩惱之六大惑以外的二十種法,可分為三類,故又稱「三隨煩惱」。即:(一)小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小煩惱地法而立,指忿、恨、覆、惱、嫉、慳、誑、諂、害、憍等十種;此十種煩惱各別而起,故稱小隨煩惱。(二)中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大不善地法而立,指無慚、無愧;此二種煩惱遍於一切之不善心,稱為中隨煩惱。(三)大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大煩惱地法而立,指掉舉、惛沈、不信、懈怠、放逸、失念、散亂、不正知等八種;此八種煩惱遍於一切染污心,而輾轉與小、中隨煩惱俱生,故稱大隨煩惱。〔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三、品類足論卷一、成實論卷十隨煩惱品、瑜伽師地論卷五十五、華嚴經疏鈔卷三十四〕"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星雲 (help)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07DTITLEC0HB7D0B4o 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가나운허, "隨煩惱(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隨煩惱(수번뇌): 수혹(隨惑)이라고도 함. (1) 온갖 번뇌. 일체 번뇌는 모두 몸과 마음에 따라 뇌란케 하므로 수번뇌. (2) 근본 번뇌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 구사종에서는 이를 방일(放逸)·해태(懈怠)·불신(不信)·혼침(惛沈)·도거(掉擧)·무참(無慚)·무괴(無愧)·분(忿)·부(覆)·간(慳)·질(嫉)·뇌 (惱)·해(害)·한(恨)·광(誑)·첨(諂)·교(憍)·수면(睡眠)·회(悔)의 19종이라 하고, 유식종에서는 분·한·부·뇌·질·간·광·첨·해·교(이상은 소수혹)·무참·무괴(이상은 중수혹)·도거·혼침·불신·해태·방일·실념(失念)·산란·부정지(不正知, 이상 대수혹)의 20종을 말함."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B288EB878Crowno1 隨煩惱(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가나다운허, "二十隨煩惱(이십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二十隨煩惱(이십수번뇌): 유식종에서 근본 번뇌에 따라서 일어나는 번뇌를 20종으로 나눈 것. 분(忿)·한(恨)·부(覆)·뇌(惱)·간(慳)·질(嫉)·광(誑)·첨(諂)·해(害)·교(憍).(이상은 소수번뇌) 무참(無慚)·무괴(無愧).(이상은 중수번뇌) 도거(掉擧)·혼침(惛沈)·불신(不信)·해태(懈怠)·방일(放逸)·실념(失念)·산란(散亂)·부정지(不正知).(이상은 대수번뇌)"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운허 (help)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B288EB878Crowno2 二十隨煩惱(이십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星雲, "大隨煩惱". 2012년 11월 5일에 확인 "大隨煩惱: 梵語 kleśa-mahā-bhūmikā dharmāh。又作大煩惱地法。指恆與染污心相應之煩惱。大毘婆沙論卷四十二(大二七‧二二○中):「若法一切染污心中可得,名大煩惱地法。」計有六種,即:(一)癡(梵 moha),為暗昧,於一切所知境障如理之解。(二)放逸(梵 pramāda),為縱蕩,不勤修各種善法。(三)懈怠(梵 kausīdya),為懶惰,心不勇悍。(四)不信(梵 āśraddhya),為不信因果之理。(五)惛沉(梵 styāna),為身心鈍重,不堪任當。(六)掉舉(梵 auddhatya),為躁動,心不靜寂。其中癡為六根本煩惱之一,其餘五法屬枝末之惑。品類足論卷二、大毘婆沙論卷四十二則列舉十種大煩惱地法,即以上述六種,除去惛沉,另加失念、心亂、不正知、非理作意、邪勝解等五種;成唯識論卷六則除去「癡」,另加失念、散亂、不正理,而稱為「八大隨惑」。〔順正理論卷十一、雜阿毘曇心論卷二、成唯識論述記卷六末〕"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星雲 (help)
↑星雲, "中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中隨煩惱: 又稱中隨惑。指無慚、無愧二種隨煩惱。大乘唯識家所立二十種隨煩惱中,無慚、無愧二者乃遍一切不善心而俱起,其行位之寬狹在大隨與小隨之間,故稱為中隨煩惱。〔成唯識論卷六〕"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星雲 (he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