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치경 비음 |
---|
|
번호 | 116 402A |
---|
|
엔티티 (10진수) | n̥ |
---|
유니코드 (16진수) | U+006E U+0325 |
---|
X-SAMPA | n_0 |
---|
키르셴바움 | n̥ |
---|
|
|
무성 치경 비음(無聲 齒莖 鼻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나 잇몸에서 조음되는 무성 비음이다.
특징
무성 치경 비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 조음 방법은 조음기관 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파열음이다.
-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일부를 코로 흐르게 했다가 내는 비음이다.
- 혀를 치조나 그 주변에 대는 치조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다.
- 코와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비강음이다.
- 기류가 혀 옆이 아니라 중앙으로 빠져나가는 중설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로부터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언어별 사용
언어
|
단어 |
IPA
|
뜻
|
설명
|
버마어
|
နှာ/hna:
|
[n̥à]
|
'코'
|
|
중앙알래스카 유픽어
|
ceńa
|
[t͡səˈn̥a]
|
'가장자리'
|
|
에스토니아어
|
lasn |
[ˈlɑsn̥]
|
'나무 주걱'
|
/t, s, h/ 뒤에 오는 /n/의 어말 이음이다.
|
아이슬란드어
|
hnífur
|
[ˈn̥iːvʏr̥]
|
'칼'
|
|
할라파 마사테카어
|
hne
|
[n̥ɛ]
|
'폭포'
|
유성음과 후두화 치경 비음과 대조된다.
|
킬딘 사미어
|
чоӊтэ/čohnte
|
[t͡ʃɔn̥te]
|
'돌다'
|
|
웰스어
|
fy nhad
|
[və n̥aːd]
|
'나의 아빠'
|
/t/의 비음 변형과 대조된다.
|
쉬미어
|
낮음
|
[ᴴn̥ɑ̃]
|
'털'
|
유성음 /n/과 대조된다.
|
높음
|
[ᴴn̥ɔ̃]
|
각주
|
---|
닿소리 |
---|
— 이 표는 일부 브라우저에서 정확히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는 음성 기호를 포함하고 있다.
|
— 쌍으로 있는 기호는 왼쪽이 무성음, 오른쪽이 유성음이다.
|
— 어두운 부분은 조음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곳이다.
|
— 별표(*)가 붙어있는 곳은 비공식 기호인 경우이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