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은 세친이 저술하였고 당나라 현장이 번역한 유식유가행파의 논서로, 《유가사지론》의 〈본지분〉(本地分)에 나오는 모든 법(法)의 이름과 개수를 5위 100법(五位百法)으로 요약 확정하여 열거한 논서이다. 대승 아비달마의 법체계를 5위 100법으로 확정하여 명시한 논서로서, 법상종의 소의논서 중 하나로 매우 중시되는 논서이다.[1][2]
이 논서는 그 시작을 다음과 같이 시작하고 있다.
T31n1614_p0855b15║如世尊言。一切法無我。何等一切法。云何為
T31n1614_p0855b16║無我。一切法者。略有五種。
세존께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일체법은 무아(無我)이다. 무엇이 일체법이고 무엇을 무아라고 하는가? 일체법은 간략히 하면 다섯 분류가 있다.
이후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분류, 즉, 5위(五位)로 나누어 이 순서대로 100법을 나열하고 있다.
- 심법(心法): 8개의 법이 있다.
- 심소유법(心所有法): 51개의 법이 있다.
- 색법(色法): 11개의 법이 있다.
-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24개의 법이 있다.
- 무위법(無爲法): 6개의 법이 있다.
이후 논서는 다음과 같이 마지막을 맺고 있다.
T31n1614_p0855c20║言無我者。略有二種。一補特伽羅無我。二法
T31n1614_p0855c21║無我。
무아란 간략히 하여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인무아[補特伽羅無我]이고 둘째는 법무아(法無我)이다.
이와 같이 이 논서는 대승불교의 주요 교의인 공(空) 즉 아공(我空)과 법공(法空), 즉, 2무아(二無我) 즉 인무아(人無我)와 법무아(法無我)를 천명하고 있으며, 이것이 이 논서의 핵심 요지이다.[1]
이 논서의 주석서는 아주 많은데 그 중 중요하게 여기는 몇 가지를 들면 다음과 같다.[1]
각주
- ↑ 가 나 다 "大乘百法明門論",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7월 16일에 확인:
大乘百法明門論
梵名 Mahāyāna-śatadharma-prakāśamukha-śāstra。全一卷。屬印度大乘宗經論部。又稱大乘百法明門論略錄、百法明門論、百法論、略陳名數論。天親菩薩造,唐代玄奘譯。收於大正藏第三十一冊。係摘自瑜伽師地論本地分中之百法名數,為法相宗所依據重要論書之一。全書係就諸法而略分為五位百法,即:(1)心法,有眼識等八種。(2)心所有法,立偏行等六種分位,即:①偏行,有作意等五種。②別境,為有欲等五種。③善,有信等十一種。④煩惱,有貪等六種。⑤隨煩惱,有忿等二十種。⑥ 不定,有睡眠等四種。(3)色法,有眼等十一種。(4)心不相應行法,有得等二十四種。(5)無為法,有虛空無為等六種。本論有(大三一‧八五五中)「如世尊言,一切法無我」之語,乃說明一切法即五位百法,次列舉補特伽羅無我及法無我,而闡述一切法無我之理,以為本論之主要旨趣。蓋俱舍立「七十五法」之說,而僅論及補特伽羅無我之理,是猶妄計心外有實法;唯識則闡明百法皆不離識、實我本空,故一一之法亦非實法,是為唯識證理之門。有關本書之著者,至元法寶勘同錄卷九,謂係提婆菩薩,西藏譯本則舉出護法(藏 Dpal-ldan-chos-skyoṅ)之名。本書之注疏極多,較重要者有:百法明門論解二卷(窺基)、百法明門論疏二卷(大乘光)、百法明門開宗義記一卷(曇曠)、百法明門論義一卷(德清)、百法明門直解一卷(智旭)等。〔大唐內典錄卷六、東域傳燈目錄卷下、佛家名相通釋(熊十力)〕p1088
- ↑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2022년 7월 16일에 확인: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
약어 백법론(百法論), 백법명문론(百法明門論)
1권. 천친(天親) 지음. 당(唐)의 현장(玄奘) 번역.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의 본지분(本地分)에 나오는 제법(諸法)을 오위백법(五位百法)으로 요약하고, 그 이름을 열거한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