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페이어는 캐롤라인 제도폰페이섬의 토착 언어로, 미크로네시아어군에 속한다. 폰페이섬과 부속 환초 및 도서에 약 3만 명의 모어 화자가 있고, 미국 본토, 하와이, 괌 등지에 약 1만~1만 5천 명이 더 있다. 폰페이어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에서 두 번째로 널리 쓰이는 토착 언어이다.[1]
폰페이어에는 경어가 있는데, 신분이 높은 사람들에게 말할 때는 특수한 어휘를 사용한다.[1]
폰페이어 음절은 일반적으로 자음(C)와 모음(V)으로 구성되고, (C)V(C) 구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기초 체계는 폰페이어 정서법적 관행과 음운론적 과정으로 인해 복잡해진다. 정서법상 <i>는 /j/을 나타내지만 종종 생략되며, <-u>는 /w/으로 실현되고, <h>는 (독일어를 따라) 장모음을 나타낸다[1] 따라서 <sahu>는 [sʲa:w]로 발음되며 [sʲahu]가 아니다. 연속한 모음 사이에는 모음의 상대적 높이와 순서에 따라 활음 [j]나 [w]가 들어간다. 예를 들어 <diar> '찾다'는 [tijar]로, <toai> '콧물나다'는 [ ̻tɔji]로, <suwed> '나쁘다'는 [sʲuwɛt]로, <lou> '식다'는 [lowu]로 각각 발음된다. 활음 [j]는 <i>를 통해서만 표기되고, 활음 [w]는 <u>와 고모음이 아닌 모음 사이에서 항상 표기된다.[4]:54–5
비음으로 시작하는 자음군이 어두에 오는 단어는 표기대로 읽을 수도 있고, 어두 삽입 모음이 들어가기도 한다. 삽입된 모음의 원순성은 인접한 자음군 또는 음절의 원순성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nta> '피'는 [i ̻n ̻ta]로, <ngkapwan> '조금 전'은 [iŋkapʷan]으로 각각 발음될 수 있으나, <mpwer> '쌍둥이'는 [umʷpʷɛr]로, <ngkopw> '게의 일종'은 [uŋkopʷ]로 각각 발음될 수 있다. 폰페이어 정서법은 자음군 [mʷpʷ]과 [mʷmʷ]를 각각 <mpw>와 <mmw>로 표기한다.[4]:55–9
문법
폰페이어의 어순은 굳이 따지자면 SVO형이다. 문법적 기능에 따라 핵어는 종속어 앞이나 뒤에 올 수 있다. 많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이 그러하듯 폰페이어의 초점 표시는 타동성과 관계절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오스트로네시아 정렬 참조). 문법적인 문장 구조는 일반적으로 (1) 명사구, (2) 동사구, (3) 나머지 명사구이고, 중심이 되는 명사구의 내용은 화자가 설정한 초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중심 명사구가 주어가 아닌 경우 뒤에 초점 불변화사 me가 온다. 보통 목적어구는 서술어 맨 끝 자리에 온다.[4]:225, 248–50, 280, 307
명사
명사는 단수, 쌍수, 복수의 문법적 수를 가질 수 있고, 일반적으로 접미사를 통해 굴절한다. 수사는 보통 셀 명사 뒤에 오고, 명사 부류에 따라 일치한다. 명사와 형용사는 명사구를 이룬다. 폰페이어 타동사절 하나에는 최대 세 개의 명사구가 올 수 있다.[4]:141–2, 157, 280
이외에도 sapwellime (3인칭 경어), were (탈것, 카누), nime (마실 수 있는 것), imwe (건물, 집), ulunge (베개), sapwe (땅), kie (잠자리), tie (귀걸이), mware (화관, 칭호, 이름), ipe (이불, 요), kene (식료품), seike (어획량) 등의 소유 분류사가 있다.[3][4]:184
친족 특화 분류사에는 kiseh (친척), sawi (씨족 구성원), rie (크로 친족식 형제자매), wahwah (남자의 자매의 자녀), and toki (성관계를 맺은 사람).[4]:116, 184
수사는 보통 셀 명사 뒤에 오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앞에 올 수 있다. 수사와 분류사는 셀 대상의 문법적 부류와 물리적 특징에 따라 정해진다. 언어학자들은 '10'을 나타내는 어형에 따라 여러 수사 체계들을 세 가지 계열로 분류한다. 숫자의 이름을 말할 때는 -u 부류가 가장 많이 쓰인다. 분류사 -pak과 -sou는 '10'을 ngoul로 쓴다.[4]:127, 135, 1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