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스트에 감염된 상태인 동양 쥐벼룩
페스트균 (Yersinia pestis ,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 1] 은 포자 가 없는 그람 음성 , 비 이동성, 막대 모양의 구간균 이다. 열대쥐벼룩 (Xenopsylla cheopis)을 통해 인간 을 감염시킬 수 있는 혐기성 세균 이다.[ 2] 전염병 , 패혈증 및 림프절 이 붓는 세 가지 주요 형태를 취하는 전염병을 유발한다.[ 2] [ 3] 장내세균과 에 속한다.
일반적 특징
페스트균은 비 포식성 점액층을 생성하는 양극성 염색체 를 가진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정상적인 양육을 하는 박테리아 이다. 이동하지 않는 비 이동성 스틱 형태를 띠고 있다.[ 4]
페스트균의 기원
페스트균은 중앙 아시아나 중국에서 시작되어 무역로를 통해 서쪽으로 전염되었을 수 있다.[ 5] [ 6] [ 7] 그러나, 2018년 연구에 따르면, 고대 스웨덴의 무덤에서 페스트균이 발견되었고, 기원전 3,000년 경 당시 유럽 인구가 크게 감소한 것이 페스트 균으로 인한 유럽 신석기 시대의 쇠퇴의 원인일 수 있다.[ 8] 이는 페스트균이 유럽에서 시작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9]
페스트균은 1894년 파스퇴르 연구소 에서 홍콩 독감 연구 진행 중에 스위스 /프랑스 의사이며 세균학자 인 알렉산더 예르신에 의해 발견되었다.[ 10] 일본 세균학자 키타 사토 시바 사부로 (Kitasato Shibasaburō)도 전염병의 원인을 찾는 데 관여했다.[ 11]
페스트 범유행
인류 역사 전반에 걸쳐 높은 사망률을 가진 세 번의 전염병 범유행 을 주도한 균이다.
1차 페스트 범유행: 541년에서 542년에 진행된 유스티니아누스 페스트
2차 페스트 범유행: 1347년에서 1353년 사이에 유럽 인구의 3 분의 1이 사망 한 흑사병
3차 페스트 범유행: 19세기 말 중국 에서 시작하여 증기선에 쥐들이 퍼져 천만에 가까운 생명을 앗아간 현대 전염병이라고도 불리는 3차 페스트 범유행 .
병인 및 면역
페스트균에 감염된 동양 쥐벼룩은 장의 색이 어둡다. 벼룩이 숙주에 상처를 내고 피를 빨아 먹을 때, 페스트균은 상처로 역류되고 감염을 일으킨다.
페스트 균은 도시와 자연에서 존재하는 벼룩과 설치류 를 통해서 확산된다. 자연에 존재하는 설치류는 야생이지만, 도시에서는 주로 갈색 쥐가 된다.
사람에게 전염되는 것은 보통 감염된 벼룩이 피를 빠는 과정 중에 진행된다. 질병이 폐렴 형태로 진행되면, 인간은 기침, 구토 및 재채기를 통해 박테리아를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수 있다.
각주
↑ “Yersinia pestis” . 2013년 9월 12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 an introduction to infectious diseases》 4판. New York: McGraw-Hill. 2004. ISBN 0-8385-8529-9 .
↑ CDC (2019년 11월 26일). “Plague home ; CDC” (미국 영어). 2020년 4월 14일에 확인함 .
↑ 《Medical microbiology》 4판. Galveston, Tex.: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at Galveston. 1996. ISBN 0-9631172-1-1 .
↑ CNN, Julia Hollingsworth. “The plague in China, from ancient times to now” . 2020년 4월 14일에 확인함 .
↑ “Breaking News, World News & Multimedia” (영어). 2020년 4월 14일에 확인함 .
↑ Morelli, Giovanna; Song, Yajun; Mazzoni, Camila J.; Eppinger, Mark; Roumagnac, Philippe; Wagner, David M.; Feldkamp, Mirjam; Kusecek, Barica; Vogler, Amy J. (2010년 12월). “Yersinia pestis genome sequencing identifies patterns of global phylogenetic diversity” . 《Nature Genetics》 42 (12): 1140–1143. doi :10.1038/ng.705 . ISSN 1546-1718 . PMC 2999892 . PMID 21037571 .
↑ Zhang, Sarah (2018년 12월 6일). “An Ancient Case of the Plague Could Rewrite History” (미국 영어). 2020년 4월 14일에 확인함 .
↑ Rascovan, Nicolás; Sjögren, Karl-Göran; Kristiansen, Kristian; Nielsen, Rasmus; Willerslev, Eske; Desnues, Christelle; Rasmussen, Simon (01 10, 2019). “Emergence and Spread of Basal Lineages of Yersinia pestis during the Neolithic Decline” . 《Cell》 176 (1-2): 295–305.e10. doi :10.1016/j.cell.2018.11.005 . ISSN 1097-4172 . PMID 30528431 .
↑ Bockemühl, J. (1994년 4월). “[100 years after the discovery of the plague-causing agent--importance and veneration of Alexandre Yersin in Vietnam today]” . 《Immunitat Und Infektion》 22 (2): 72–75. PMID 7959865 .
↑ Howard-Jones, N. (1973). “Was Shibasaburo Kitasato the co-discoverer of the plague bacillus?” . 《Perspectives in Biology and Medicine》 16 (2): 292–307. doi :10.1353/pbm.1973.0034 . ISSN 0031-5982 . PMID 4570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