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발어

탁발어
사용 지역 북중국, 몽골
언어 계통 몽골어족 혹은 측몽골어족?
튀르크어족?
고립어?
 탁발어
언어 부호
ISO 639-3

탁발어(拓跋語), 탑가치어(Tabγač) 혹은 탁바치어(Taγbač)는 5세기경 북위탁발선비가 사용하던 사멸된 언어이다.

계통

알렉산더 보빈(2007)은 탁발어를 몽골어족으로 간주한다.[1]

시무넥은 토욕혼어, 거란어와 더불어 탁발어를 선비어로 분류한다.[2]

반면 유하 얀후넨은 탁발인이 오구르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Peter Boodberg에 의하면 탁발어는 튀르크어족과 몽골어족의 혼효 언어이다.[3] 천싼핑(陳三平)은 탁발어가 튀르크어족과 몽골어족의 요소를 둘 다 가지고 있었다고 말한다.

류쉐야오(Liu Xueyao)는 탁발어가 그들 고유의 언어를 가졌으며 현재 알려져 있는 그 어떤 언어와도 비교될 수 없다고 하였다.

음운

모음조화

음차 자료는 탁발어가 8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주며, 또한 ATR 모음조화가 존재했음을 시사한다.[2]

+ATR -ATR
i u ɪ ʊ
e~ə o a ɔ

모음조화의 영향으로 명사화 어미 */-Al/는 [+ATR]의 단어에서 [al], [-ATR]의 단어에서 [əl]로 실현된다.

자음

탁발어에서는 공통 선비몽골어(Common Serbi-Mongolic; CSM)의 */AGU/ (*[aʁʊ] ~ *[əɣu])가 단모음화를 거친 형태 */Uw/ (*[ʊw] ~ *[uw])로 나타나며, 이는 다른 몽골어족 언어, 거란어, 선비 제어와는 구분되는 탁발어 고유의 개신이다. 그러나 CSM의 *ɣ ~ *ʁ는 탁발어 음운체계에서 유지되었다.[2]

  • 탁발어 *uwl < CSM *əγulə “구름”
  • 탁발어 *bʊčin < CSM *baɣʊrčʰɪ-n “요리사”

CSM의 */tʰ/*/d/가 탁발어에서는 어중에서 *[r]로 실현되었을 수 있으며, 한국어의 ‘거란’이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탁발어 혹은 기타 방언으로부터 차용된 어형일 수 있다. 또한 CSM의 어중 및 어말 *b가 탁발어에서는 *w으로 약화되었다.[2]

형태

다음은 몇 가지 문법적 접미사이다.[2]

  • *-A(y) ~ *ʁa(y) ‘동명사 어미’
  • *-Al ~ *-l ‘동사의 명사화 어미’
  • **čɪ ~ **či ‘직업을 나타내는 접미사’
  • **-mɔr/-mʊr () ‘동사의 명사화 어미’
  • **-n ‘복수 어미’

어휘

다음은 Shimunek(2017)에서 가려 뽑은 탁발어의 기초 어휘이다. 비교방법론을 통해 재구된 어형은 별표 한 개(*), 중국어 반절 표기법과 운서를 기반으로 재구된 어형은 별표 두 개(**)로 나타냈다.[2]

탁발어

(재구형)

탁발어

(원본 음차)

의미 한문 주석
*agyɪl ~ *agɪl 屋引
*čʰɪrnɔ 叱奴 이리
**dɪʁa 地何 글월, 책
**ɦatśir̃ 阿真 음식 飲食
*ɦorbǝl 嗢盆 따뜻하다
*ɪrgɪn 俟懃 더욱
**kʰɪl- 말하다 -
**kʰɪr- 사람을 죽이다 殺人
**kʰɪrʁayčɪn 契害真 살인자 殺人者
*ñaqañ 若干
*pary-al 拔列 다리[橋]
**pʰatala 破多羅 쌀뜨물
*qɔw/*qəw 돼지
**tʰaʁ
*tʰʊʁnar 土難
**tʰʊʁay 吐奚
*uwl/*ʊwl 宥連 구름
*yirtʊqañ/*yirtʊqan 壹斗眷 밝다
*žirpəŋ 是賁
**žiʁlʊ 是樓 높다

각주

  1. Vovin, Alexander. “Once Again on the Tabghach Language” (영어). 
  2. Shimunek, Andrew (2017). 《Languages of Ancient Southern Mongolia and North China: a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Serbi or Xianbei Branch of the Serbi-Mongolic Language Family, with an Analysis of Northeastern Frontier Chinese and Old Tibetan Phonology》.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ISBN 978-3-447-10855-3. OCLC 993110372. 
  3. Holcombe, Charles (2001). 《The Genesis of East Asia: 221 B.C. - A.D. 907》. 13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