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하학 에서 초구 (超球, 영어 : hypersphere )는 2차원 곡면인 구 를 임의의 차원으로 일반화한 공간이다.
정의
n
{\displaystyle n}
차원 초구
S
n
{\displaystyle S^{n}}
은
n
+
1
{\displaystyle n+1}
차원 유클리드 공간 에서, 원점 에서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들의 부분 공간이다.
S
n
=
{
x
∈ ∈ -->
R
n
+
1
: : -->
‖ ‖ -->
x
‖ ‖ -->
=
1
}
{\displaystyle \mathbb {S} ^{n}=\{x\in \mathbb {R} ^{n+1}\colon \|x\|=1\}}
이는 유클리드 공간 으로부터 리만 계량 을 이어받아
n
{\displaystyle n}
차원 리만 다양체 를 이룬다.
이는 다음과 같이 직교군 또는 스핀 군 에 대한 동차 공간 으로 여길 수 있다.
S
n
≅ ≅ -->
SO
-->
(
n
+
1
)
/
SO
-->
(
n
)
≅ ≅ -->
Spin
-->
(
n
+
1
)
/
Spin
-->
(
n
)
{\displaystyle \mathbb {S} ^{n}\cong \operatorname {SO} (n+1)/\operatorname {SO} (n)\cong \operatorname {Spin} (n+1)/\operatorname {Spin} (n)}
성질
넓이와 부피
반지름이
r
{\displaystyle r}
인 n 차원 초구의 초부피는
V
n
=
π π -->
n
2
n
2
Γ Γ -->
(
n
2
)
r
n
=
C
n
r
n
{\displaystyle V_{n}={\pi ^{\frac {n}{2}} \over {\frac {n}{2}}\Gamma ({\frac {n}{2}})}r^{n}={C_{n}r^{n}}}
이다. 여기서
Γ Γ -->
{\displaystyle \Gamma }
는 감마 함수 이다.
n
{\displaystyle n}
차원 초구의 겉부피는
S
n
− − -->
1
=
2
π π -->
n
2
Γ Γ -->
(
n
2
)
r
n
− − -->
1
{\displaystyle S_{n-1}={{2\pi ^{{n} \over {2}}} \over {\Gamma \left({{n} \over {2}}\right)}}r^{n-1}}
이다. 예를 들어, 4차원 초구의 초부피는
π π -->
2
r
4
2
{\displaystyle {\pi ^{2}r^{4}} \over {2}}
이고, 겉부피는
2
π π -->
2
r
3
{\displaystyle {2\pi ^{2}r^{3}}}
이다.
호몰로지와 호모토피
초구의 특이 호몰로지 와 특이 코호몰로지 는 다음과 같다.
H
i
-->
(
S
n
)
≅ ≅ -->
{
Z
i
∈ ∈ -->
{
0
,
n
}
0
i
∉
{
0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_{i}(\mathbb {S} ^{n})\cong {\begin{cases}\mathbb {Z} &i\in \{0,n\}\\0&i\not \in \{0,n\}\end{cases}}}
H
i
-->
(
S
n
)
≅ ≅ -->
{
Z
i
∈ ∈ -->
{
0
,
n
}
0
i
∉
{
0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i}(\mathbb {S} ^{n})\cong {\begin{cases}\mathbb {Z} &i\in \{0,n\}\\0&i\not \in \{0,n\}\end{cases}}}
드람 코호몰로지 에서, 이 코호몰로지류는 상수 함수 및 부피 형식 의 상수배에 의하여 대표된다.
초구의 호모토피 군은 일반적으로 매우 복잡하며, 아직 완전히 계산되지 못했다.
π1
π2
π3
π4
π5
π6
π7
π8
π9
π10
π11
π12
π13
π14
π15
S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S 1
ℤ
0
0
0
0
0
0
0
0
0
0
0
0
0
0
S 2
0
ℤ
ℤ
ℤ2
ℤ2
ℤ12
ℤ2
ℤ2
ℤ3
ℤ15
ℤ2
ℤ2 2
ℤ12 ×ℤ2
ℤ84 ×ℤ2 2
ℤ2 2
S 3
0
0
ℤ
ℤ2
ℤ2
ℤ12
ℤ2
ℤ2
ℤ3
ℤ15
ℤ2
ℤ2 2
ℤ12 ×ℤ2
ℤ84 ×ℤ2 2
ℤ2 2
S 4
0
0
0
ℤ
ℤ2
ℤ2
ℤ×ℤ12
ℤ2 2
ℤ2 2
ℤ24 ×ℤ3
ℤ15
ℤ2
ℤ2 3
ℤ120 ×ℤ12 ×ℤ2
ℤ84 ×ℤ2 5
S 5
0
0
0
0
ℤ
ℤ2
ℤ2
ℤ24
ℤ2
ℤ2
ℤ2
ℤ30
ℤ2
ℤ2 3
ℤ72 ×ℤ2
S 6
0
0
0
0
0
ℤ
ℤ2
ℤ2
ℤ24
0
ℤ
ℤ2
ℤ60
ℤ24 ×ℤ2
ℤ2 3
S 7
0
0
0
0
0
0
ℤ
ℤ2
ℤ2
ℤ24
0
0
ℤ2
ℤ120
ℤ2 3
S 8
0
0
0
0
0
0
0
ℤ
ℤ2
ℤ2
ℤ24
0
0
ℤ2
ℤ×ℤ120
초구
S
n
{\displaystyle S^{n}}
의 (비축소) 복소수 위상 K군 들은 다음과 같다.[ 1] :39
KU
0
-->
(
S
2
n
)
=
Z
2
{\displaystyle \operatorname {KU} ^{0}(\mathbb {S} ^{2n})=\mathbb {Z} ^{2}}
KU
1
-->
(
S
2
n
)
=
0
{\displaystyle \operatorname {KU} ^{1}(\mathbb {S} ^{2n})=0}
KU
0
-->
(
S
2
n
+
1
)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KU} ^{0}(\mathbb {S} ^{2n+1})=\mathbb {Z} }
KU
1
-->
(
S
2
n
+
1
)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KU} ^{1}(\mathbb {S} ^{2n+1})=\mathbb {Z} }
초구의 축소 복소수 위상 K군 들은 다음과 같다.
K
U
~ ~ -->
0
-->
(
S
2
n
)
=
K
U
~ ~ -->
1
-->
(
S
2
n
+
1
)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widetilde {KU}} ^{0}(\mathbb {S} ^{2n})=\operatorname {\widetilde {KU}} ^{1}(\mathbb {S} ^{2n+1})=\mathbb {Z} }
K
U
~ ~ -->
1
-->
(
S
2
n
)
=
K
U
~ ~ -->
0
-->
(
S
2
n
+
1
)
=
0
{\displaystyle \operatorname {\widetilde {KU}} ^{1}(\mathbb {S} ^{2n})=\operatorname {\widetilde {KU}} ^{0}(\mathbb {S} ^{2n+1})=0}
초구의 축소 실수 위상 K군 들은 다음과 같다.[ 2] :§3.1
K
O
~ ~ -->
m
-->
(
S
n
)
=
{
Z
n
− − -->
m
≡ ≡ -->
0
,
4
(
mod
8
)
Z
/
(
2
)
n
− − -->
m
≡ ≡ -->
1
,
2
(
mod
8
)
0
n
− − -->
m
≡ ≡ -->
3
,
5
,
6
,
7
(
mod
8
)
{\displaystyle \operatorname {\widetilde {KO}} ^{m}(\mathbb {S} ^{n})={\begin{cases}\mathbb {Z} &n-m\equiv 0,4{\pmod {8}}\\\mathbb {Z} /(2)&n-m\equiv 1,2{\pmod {8}}\\0&n-m\equiv 3,5,6,7{\pmod {8}}\end{cases}}}
세포 복합체 구조
n
{\displaystyle n}
차원 초구는 표준적으로 하나의 0차원 세포와 하나의
n
{\displaystyle n}
차원 세포를 가지는 세포 복합체 구조를 갖는다.
리 군과의 관계
초구 위의 리 군 구조
리 군 과 미분 동형 인 초구는 다음이 전부이다.
S
0
≅ ≅ -->
Cyc
-->
(
2
)
{\displaystyle \mathbb {S} ^{0}\cong \operatorname {Cyc} (2)}
(2차 순환군 )
S
1
≅ ≅ -->
U
-->
(
1
)
{\displaystyle \mathbb {S} ^{1}\cong \operatorname {U} (1)}
(원군 )
S
3
≅ ≅ -->
SU
-->
(
2
)
{\displaystyle \mathbb {S} ^{3}\cong \operatorname {SU} (2)}
(2차 특수 유니터리 군 )
동차 공간으로의 표현
초구
S
n
{\displaystyle \mathbb {S} ^{n}}
가 다음과 같이 리 군으로 표현된다고 하자.
S
n
≅ ≅ -->
G
/
H
{\displaystyle \mathbb {S} ^{n}\cong G/H}
여기서
≅ ≅ -->
{\displaystyle \cong }
은 미분 동형 이다. (이를 호모토피 동치 로 약화시켜도 이 분류는 마찬가지로 성립한다.)
G
{\displaystyle G}
는 연결 콤팩트 리 군이다.
H
{\displaystyle H}
는
G
{\displaystyle G}
의 닫힌 부분군이다.
G
{\displaystyle G}
는
S
n
{\displaystyle \mathbb {S} ^{n}}
위의 유효 작용을 가지며, 이는 기약 작용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표현은 다음이 전부이다.[ 3] :Theorem 10
특히,
S
n
=
SO
-->
(
n
+
1
)
/
SO
-->
(
n
)
{\displaystyle \mathbb {S} ^{n}=\operatorname {SO} (n+1)/\operatorname {SO} (n)}
이므로, 모든 초구는 대칭 공간 이다.
예
0차원 초구
S
0
{\displaystyle S^{0}}
은 두 점으로 이루어진 이산 공간 이다.
1차원 초구는 원 (기하학) 이다. 2차원 초구는 일반적인 구 다. 3차원 초구 는 리 군 SU(2) 와 동형이다.
3차원 이상의 초구는 호프 올뭉치 에 등장한다.
각주
외부 링크
차원적 공간 다른 차원 다포체 와 모양 정수 차원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