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의회는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에 제출된 의견이나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의회이다.
조직
의장단
위원회
-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회
- 행정자치위원회
- 보건복지안전위원회
- 환경도시위원회
- 문화관광스포츠위원회
- 농수축경제위원회
- 교육위원회
- 특별위원회
사무기구
- 사무처[1]
역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원 선거 결과
제1대 제주도의회
1952년 5월 10일에 실시된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20명의 제1대 제주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제2대 제주도의회
1956년 8월 13일에 실시된 195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15명의 제2대 제주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제3대 제주도의회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18명의 제3대 제주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제4대 제주도의회
1991년 6월 20일에 실시된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17명의 제4대 제주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제5대 제주도의회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0명의 제5대 제주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7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득표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민주자유당
|
86,990
|
|
2
|
|
민주당
|
26,770
|
|
1
|
|
무소속
|
140,690
|
|
-
|
제6대 제주도의회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7명의 제6대 제주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4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제7대 제주도의회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9명의 제7대 제주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6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제8대 제주도의회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36명의 제대 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29명과 비례대표 의원 7명이 선출되었다.
제9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1명의 제9대 제주특별자치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29명과 비례대표 의원 7명, 교육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제10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1명의 제10대 제주특별자치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29명과 비례대표 의원 7명, 교육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새누리당
|
13
|
4
|
17
|
|
새정치민주연합
|
13
|
3
|
16
|
|
무소속
|
3
|
-
|
3
|
|
교육의원
|
-
|
-
|
5
|
제11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3명의 제11대 제주특별자치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31명과 비례대표 의원 7명, 교육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제12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5명의 제12대 제주특별자치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32명과 비례대표 의원 8명, 교육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더불어민주당
|
23
|
4
|
27
|
|
국민의힘
|
8
|
4
|
12
|
|
무소속
|
1
|
-
|
1
|
|
교육의원
|
-
|
-
|
5
|
정당별 의석 수
교섭단체
제주특별자치도의회는 4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4명의 의원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3]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대한민국의 지방자치기관 |
---|
지방의회 | |
---|
지방집행기관 | |
---|
지방교육기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