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쇄상구균 인두염

연쇄상구균 인두염
Streptococcal pharyngitis
16세 아이에게 발병한 연쇄상구균 인두염의 모습. 인두의 삼출물이 보인다.
진료과감염내과
증상발열, 인후통, 림프절 부음[1]
통상적 발병 시기노출 이후 1 ~ 3일[2][3]
기간7 ~ 10일[2][3]
병인A군 연쇄상구균[1]
위험 인자음료나 주방 기구를 같이 사용[4]
진단 방식인후배양, 연쇄상구균 신속항원검사[1]
유사 질병후두덮개염, 감염성 단핵구증, 구강저 봉와직염, 편도주위농양, 인두후농양, 바이러스성 인후염[5]
예방손 씻기,[1] 기침 막기[4]
치료파라세타몰, NSAID, 항생제[1][6]
빈도전체 인후통의 5 ~ 40%[7][8]

연쇄상구균 인두염(連鎭狀球菌咽頭炎, streptococcal pharyngitis, streptococcal tonsillitis, streptococcal sore throat, strep throat, strep)은 A군 연쇄상구균에 감염되어 발병하는 인두염이다.[1] 잘 나타나는 증상에는 발열, 인후통, 편도염, 목의 림프절 붓기 등이 있다. 두통이나 구역질, 구토를 동반하기도 한다.[1] 성홍열이라고 하는 사포나 닭살과 비슷하게 생긴 발진이 나타나는 환자도 있다.[2] 일반적으로 병원균에 노출된 후 1 ~ 3일 정도에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은 7 ~ 10일 정도 지속된다.[2][3]

감염된 사람에서 나온 호흡기 비말에 의해 전파된다.[1] 비말은 직접 다른 사람한테 옮겨 가거나 비말이 묻은 무언가를 다른 사람이 만진 뒤에 입, 코, 눈에 갖다 대면서 전파될 수 있다.[1] 무증상 감염이 일어나기도 한다.[1] 또한 A군 연쇄상구균에 감염된 피부를 통해 전파될 수도 있다.[1] 진단은 증상을 가진 사람들에서 신속항원검사인후배양을 거친 결과를 기반으로 내린다.[9]

손 씻기나 주방 기구를 같이 쓰지 않는 방법으로 연쇄상구균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1] 효과적인 백신은 존재하지 않는다.[1] 항생제 치료는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들에게만 권장된다.[9] 감염된 환자는 발열이 사라질 때까지, 그리고 치료를 시작한 지 최소 12시간이 지날 때까지는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1] 통증이 있는 경우 이부프로펜과 같은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나 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을 사용한다.[6]

연쇄상구균 인두염은 아이들이 흔히 걸리는 세균성 감염 질환이다.[2] 아이들에게서 발생한 인후통의 원인 중 15 ~ 40%를 차지하며[7][10] 성인에서는 5 ~ 15%를 차지한다.[8] 늦겨울이나 초봄에 더 빈발한다.[10] 잠재적 합병증에는 류마티스열이나 편도주위농양이 있다.[1][2]

증상과 징후

일반적인 연쇄상구균 인두염의 증상에는 인후통, 38 °C 이상의 발열, 편도의 삼출물(고름), 목림프절 부음 등이 있다.[10]

그 외의 증상에는 두통, 구역질, 구토, 복통,[11] 근육통,[12] 성홍열 모양의 발진, 입천장의 점상출혈이 있다. 점상출혈은 흔하지 않은 증상이지만 특이도가 높은 소견이다.[10]

증상은 보통 병원균에 노출된 지 1 ~ 3일째에 나타나고 7 ~ 10일 동안 지속된다.[3][10]

결막염, 쉰목소리, 콧물, 입의 궤양 같은 증상이 있으면 연쇄상구균 인두염일 가능성이 낮다. 발열이 없는 경우에도 가능성이 적다고 본다.[8]

원인

연쇄상구균 인두염의 원인균은 A군, 베타-용혈성을 보이는 화농성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이다.[13] 사람은 화농성연쇄상구균의 일차 자연 숙주이다.[14] A군이 아닌 베타-용혈성 연쇄상구균이나 푸소박테리움(Fusobacterium)도 인두염을 일으킬 수 있다.[10][12] 감염된 환자와 직접, 밀접 접촉하여 감염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군대나 학교와 같은 밀집 시설에서는 전파 속도가 빨라진다.[12][15] 먼지에 들어간 건조된 상태의 세균은 감염성을 보이지 않지만, 칫솔 같은 물건에 포함되어 습기를 머금은 세균은 15일까지 생존할 수 있다.[12] 오염된 음식도 세균 유행으로 이어질 수 있으나 드물다.[12] 증상이나 소견이 전혀 없는 아이들의 12%가 인두에 화농성연쇄상구균이 감염된 상태이다.[7] 치료 후에도 이들 중 약 15%가 화농성연쇄상구균 양성이며, 이들은 실제 보균자 역할을 할 수 있다.[16]

진단

수정 센터 기준
점수 연쇄상구균 인두염일 확률 치료
1 이하 <10% 항생제나 배양 불필요
2 11–17% 배양 결과나 RADT에 맞는 항생제
3 28–35%
4 또는 5 52% 경험적 항생제

여러 진단에 도움이 되는 점수 체계가 있지만 정확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이유로 실제 사용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17] 수정된 센터 기준(영어판)(Centor criteria)은 다섯 개의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의 총합이 연쇄상구균 감염 가능성을 나타낸다.[10]

각 기준을 충족할 때마다 1점을 부여한다.[10]

  • 기침이 나오지 않음
  • 목림프절이 붓고 압통이 느껴짐
  • 체온이 38°C를 넘음
  • 편도 삼출물이나 부종
  • 나이가 15세 미만 (44세 초과인 경우 1점을 차감)

점수가 1점이라면 치료나 배양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가족 구성원 중 감염자가 있는 경우와 같이 다른 고위험 인자가 있을 때에는 추가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10]

미국 감염병협회(영어판)는 일상적인 항생제 치료를 권장하지 않으며, 검사에서 양성 결과가 나온 뒤에만 항생제 사용이 적절하다고 본다.[8] 3세 이하의 아이에서 A군 연쇄상구균 감염이나 류마티스열은 모두 드물기 때문에, 해당 질환에 걸린 형제자매가 있지 않다면 검사는 불필요하다.[8]

실험실 검사

인후배양은 연쇄상구균 인두염 진단의 최적표준으로[18] 민감도는 90 ~ 95%이다.[10] 연쇄상구균 신속항원검사(RADT)도 사용되는데, 결과가 빨리 나오지만 민감도는 70% 정도로 낮다. 두 검사법의 통계적인 특이도는 98%로 동등하다.[10] 류마티스열이 흔히 발병하지 않는 지역에서 연쇄상구균 신속항원검사 결과가 음성이라면 연쇄상구균 인두염을 배제하기 충분하다고 판단한다.[19]

의심 환자에서 인후배양이나 신속항원검사 결과가 양성이고 관련된 증상이 있다면 양성 확진 판정을 내릴 수 있다.[20] 성인에서 신속항원검사 결과가 음성이라면 연쇄상구균 인두염을 배제할 수 있다. 그러나 어린이의 경우 확진을 위해 인후배양까지 시행하는 것이 권장된다.[8] 무증상이라면 평소대로 인후배양이나 신속항원검사로만 검사해서는 안되는데, 이는 인구의 특정 비율은 어떠한 유해한 효과 없이 목구멍에 연쇄상구균이 계속 보균된 상태이기 때문이다.[20]

감별진단

연쇄상구균 인두염의 증상은 다른 질병들과 겹치므로 임상적으로 진단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10] 기침, 콧물, 설사, 결막염, 발열, 인후통 등은 연쇄상구균보다는 바이러스성 인후염을 더 강하게 시사한다.[10] 감염성 단핵구증에서도 인후통, 발열, 편도 비대와 함께 림프절 비대가 나타날 수 있다.[21] 비슷한 증상을 보일 수 있는 다른 질환에는 후두덮개염, 가와사키병, 급성 레트로바이러스 증후군, 르미에르 증후군, 구강저 봉와직염, 편도주위농양, 인두후농양 등이 있다.[5]

예방

목구멍에 감염이 1년에 세 차례 이상으로 잦은 사람들에게는 편도절제술이 합리적인 예방책이 될 수 있다.[22] 그러나 그 이득은 적으며 감염도 조치를 취했는지와 관계없이 시간이 지날수록 적게 나타나는 게 일반적이다.[23][24][25] 화농성연쇄상구균 검사 양성이며 인두염이 재발하는 경우에는 재발성 바이러스 감염에 걸린 화농성연쇄상구균의 만성 보균자일 수 있다.[8] 균에 노출되었지만 증상을 보이지 않는 사람에 대한 치료는 권장되지 않는다.[8] 화농성연쇄상구균 보균자를 치료하는 것 역시 전파와 합병증의 위험성이 적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는다.[8]

생활 습관 개선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공기가 건조하면 점막의 방어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므로 적정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세균과 바이러스의 서식처가 될 수 있는 공기청정기, 에어컨, 가습기 등을 청결히 유지하고 정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해야 한다.[26]

치료

연쇄상구균 인두염은 치료하지 않을 시 대개 수 일 안에 사라진다.[10] 항생제 치료 시 급성 인두염의 기간이 대략 16시간 정도로 짧아진다.[10] 항생제 치료의 주된 이유는 류마티스열이나 인두후농양 같은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이다.[10] 증상이 나타난 지 9일 안에 항생제를 투여하면 급성 류마티스열을 예방할 수 있다.[13]

진통제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나 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 같은 진통제가 연쇄상구균 인두염의 통증을 조절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27] 리도카인 비스코스도 유용할 수 있다.[28] 스테로이드는 통증 관리에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13][29] 일반적으로 권장되지는 않는다.[8] 성인에게는 아스피린을 투여하기도 하지만 어린이의 경우 라이 증후군 발생 위험이 있으므로 아스피린은 권장하지 않는다.[13]

항생제

미국에서는 연쇄상구균 인두염에 대한 항생제로 안전성, 비용, 효율성을 고려하여 페니실린 V를 사용한다.[10] 유럽에서는 아목시실린을 선호한다.[30] 류마티스열 위험이 높은 인도에서는 벤자틴 벤질페니실린 G 근육 주사를 일차 약물로 사용한다.[13]

적절한 항생제 사용으로 평균 3 ~ 5일인 증상 지속 기간을 1일 정도로 줄이고 전염성을 낮출 수 있다.[20] 항생제를 처방하는 주된 이유는 류마티스열이나 편도주위농양 같은 드문 합병증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이다.[31] 어떤 항생제를 선호하여 사용할지는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고려하여야 하며,[12] 약물 부작용을 보이거나 합병증 발생 위험이 낮은 건강한 성인에 대해서는 항생제 치료를 하지 않는 것이 합리적이다.[31][32] 항생제는 연쇄상구균 인두염의 추정 빈도보다 더 높은 비율로 처방되고 있다.[33]

에리트로마이신이나 다른 마크롤라이드, 클린다마이신은 심각한 페니실린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들에게 권장된다.[10][8] 덜 심한 알레르기를 보이는 환자에게는 1세대 세팔로스포린을 사용할 수 있으며[10] 일부 확실성이 낮은 근거에서는 세팔로스포린이 페니실린보다 효과가 좋다고 주장한다.[34][35] 류마티스 심장병 발생률이 낮은 지역의 경우 이러한 후기 항생제들을 3 ~ 7일만 처방해도 페니실린을 표준대로 10일 처방한 것과 비교했을 때 비슷한 효과를 보인다.[36] 연쇄상구균 감염은 급성 사구체신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항생제로는 발생 위험이 줄어들지 않는다.[13]

예후

치료와 관계없이 증상은 보통 3 ~ 5일 동안 심해진다.[20] 항생제 치료는 합병증과 전파 위험을 감소시키며, 어린이의 경우 항생제를 투여했다면 24시간 이후 학교로 돌아갈 수 있다.[10] 성인의 합병증 위험은 낮다.[8] 어린이의 급성 류마티스열은 대부분 선진국에서 드물다. 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의 일부 지역, 인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등에서 급성 류마티스열은 후천적 심장병의 중요한 원인이다.[8]

합병증

연쇄상구균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에는 다음과 같은 질환들이 있다.

미국 어린이들에서 연쇄상구균 인두염에 의해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은 연간 약 350만 달러로 추산된다.[8]

역학

미국에서 연간 1,100만 명의 사람들이 연쇄상구균 인두염의 상위 범주인 인두염으로 확진된다.[10] 연쇄상구균 인두염은 어린이 인후통의 15 ~ 40%를,[7][10] 성인에서는 5 ~ 15%를 차지한다.[8] 주로 늦겨울과 초봄에 빈발한다.[10]

각주

  1. “Is It Strep Throat?”. 《CDC》. 2015년 10월 19일. 2016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2일에 확인함. 
  2. Török, edited by David A. Warrell, Timothy M. Cox, John D. Firth; with guest ed. Estée (2012). 《Oxford textbook of medicine infec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80–281쪽. ISBN 9780191631733. 2016년 10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 Jr, [edited by] Allan H. Goroll, Albert G. Mulley (2009). 《Primary care medicine : offic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the adult patient》 6판. Philadelphia: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408쪽. ISBN 9780781775137. 2016년 9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 “Strep throat - Symptoms and causes”. 《Mayo Clinic》 (영어). 2020년 1월 24일에 확인함. 
  5. Gottlieb, M; Long, B; Koyfman, A (May 2018). “Clinical Mimics: An Emergency Medicine-Focused Review of Streptococcal Pharyngitis Mimics.”. 《The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54 (5): 619–629. doi:10.1016/j.jemermed.2018.01.031. PMID 29523424. 
  6. Weber, R (March 2014). “Pharyngitis.”. 《Primary Care》 41 (1): 91–8. doi:10.1016/j.pop.2013.10.010. PMC 7119355. PMID 24439883. 
  7. Shaikh N, Leonard E, Martin JM (September 2010). “Prevalence of streptococcal pharyngitis and streptococcal carriage in children: a meta-analysis”. 《Pediatrics》 126 (3): e557–64. doi:10.1542/peds.2009-2648. PMID 20696723. S2CID 8625679. 
  8. Shulman, ST; Bisno, AL; Clegg, HW; Gerber, MA; Kaplan, EL; Lee, G; Martin, JM; Van Beneden, C (2012년 9월 9일).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roup A Streptococcal Pharyngitis: 2012 Update by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55 (10): e86–102. doi:10.1093/cid/cis629. PMC 7108032. PMID 22965026. 
  9. Harris, AM; Hicks, LA; Qaseem, A (2016년 1월 19일). “Appropriate Antibiotic Use for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Adults: Advice for High-Value Car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d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64 (6): 425–34. doi:10.7326/M15-1840. PMID 26785402. 
  10. Choby BA (March 2009). “Diagnosis and treatment of streptococcal pharyngitis”. 《Am Fam Physician》 79 (5): 383–90. PMID 19275067. 2015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1. Brook I, Dohar JE (December 2006). “Management of group A beta-hemolytic streptococcal pharyngotonsillitis in children”. 《J Fam Pract》 55 (12): S1–11; quiz S12. PMID 17137534. 
  12. Hayes CS, Williamson H (April 2001). “Management of Group A beta-hemolytic streptococcal pharyngitis”. 《Am Fam Physician》 63 (8): 1557–64. PMID 11327431. 2008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3. Baltimore RS (February 2010). “Re-evaluation of antibiotic treatment of streptococcal pharyngitis”. 《Curr. Opin. Pediatr.》 22 (1): 77–82. doi:10.1097/MOP.0b013e32833502e7. PMID 19996970. S2CID 13141765. 
  14. “Group A Strep”. 《U. 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미국 영어). U. 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2019년 4월 19일. 2020년 10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27일에 확인함. 
  15. Lindbaek M, Høiby EA, Lermark G, Steinsholt IM, Hjortdahl P (2004). “Predictors for spread of clinical group A streptococcal tonsillitis within the household”. 《Scand J Prim Health Care》 22 (4): 239–43. doi:10.1080/02813430410006729. PMID 15765640. 
  16. Rakel, edited by Robert E. Rakel, David P. (2011). 《Textbook of family medicine》 8판. Philadelphia, PA.: Elsevier Saunders. 331쪽. ISBN 9781437711608. 2017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7. Cohen, JF; Cohen, R; Levy, C; Thollot, F; Benani, M; Bidet, P; Chalumeau, M (2015년 1월 6일). “Selective testing strategies for diagnosing group A streptococcal infection in children with pharyngitis: a systematic review and prospective multicentre external validation study.”.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87 (1): 23–32. doi:10.1503/cmaj.140772. PMC 4284164. PMID 25487666. 
  18. Smith, Ellen Reid; Kahan, Scott; Miller, Redonda G. (2008). 《In A Page Signs & Symptoms》. In a Page Series. Hagerstown, Marylan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12쪽. ISBN 978-0-7817-7043-9. 
  19. Lean, WL; Arnup, S; Danchin, M; Steer, AC (October 2014). “Rapid diagnostic tests for group A streptococcal pharyngitis: a meta-analysis.”. 《Pediatrics》 134 (4): 771–81. doi:10.1542/peds.2014-1094. PMID 25201792. S2CID 15909263. 
  20. Bisno AL, Gerber MA, Gwaltney JM, Kaplan EL, Schwartz RH (July 2002). “Practice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roup A streptococcal pharyngitis.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PDF). 《Clin. Infect. Dis.》 35 (2): 113–25. doi:10.1086/340949. PMID 12087516. 
  21. Ebell MH (2004). “Epstein-Barr virus infectious mononucleosis”. 《Am Fam Physician》 70 (7): 1279–87. PMID 15508538. 2008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2. Johnson BC, Alvi A (March 2003). “Cost-effective workup for tonsillitis. Testing, treatment, and potential complications”. 《Postgrad Med》 113 (3): 115–8, 121. doi:10.3810/pgm.2003.03.1391. PMID 12647478. S2CID 33329630. 
  23. van Staaij BK, van den Akker EH, van der Heijden GJ, Schilder AG, Hoes AW (January 2005). “Adenotonsillectomy for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evidence based?”.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90 (1): 19–25. doi:10.1136/adc.2003.047530. PMC 1720065. PMID 15613505. 
  24. Burton, MJ; Glasziou, PP; Chong, LY; Venekamp, RP (2014년 11월 19일). “Tonsillectomy or adenotonsillectomy versus non-surgical treatment for chronic/recurrent acute tonsillitis.” (PDF).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1): CD001802. doi:10.1002/14651858.CD001802.pub3. PMC 7075105. PMID 25407135. 
  25. Morad, Anna; Sathe, Nila A.; Francis, David O.; McPheeters, Melissa L.; Chinnadurai, Sivakumar (2017년 1월 17일). “Tonsillectomy Versus Watchful Waiting for Recurrent Throat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Pediatrics》 (영어) 139 (2): e20163490. doi:10.1542/peds.2016-3490. ISSN 0031-4005. PMC 5260157. PMID 28096515. 2017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6.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인두편도염”. 2022년 8월 14일에 확인함. 
  27. Thomas M, Del Mar C, Glasziou P (October 2000). “How effective are treatments other than antibiotics for acute sore throat?”. 《Br J Gen Pract》 50 (459): 817–20. PMC 1313826. PMID 11127175. 
  28. “Generic Name: Lidocaine Viscous (Xylocaine Viscous) side effects, medical uses, and drug interactions”. 《MedicineNet.com》. 2010년 4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7일에 확인함. 
  29. Wing, A; Villa-Roel, C; Yeh, B; Eskin, B; Buckingham, J; Rowe, BH (May 2010). “Effectiveness of corticosteroid treatment in acute pharyngiti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7 (5): 476–83. doi:10.1111/j.1553-2712.2010.00723.x. PMID 20536799. S2CID 24555114. 
  30. Bonsignori F, Chiappini E, De Martino M (2010). “The infections of the upper respiratory tract in children”. 《Int J Immunopathol Pharmacol》 23 (1 Suppl): 16–9. PMID 20152073. 
  31. Snow V, Mottur-Pilson C, Cooper RJ, Hoffman JR (March 2001). “Principles of appropriate antibiotic use for acute pharyngitis in adults”. 《Ann Intern Med》 134 (6): 506–8. doi:10.7326/0003-4819-134-6-200103200-00018. PMID 11255529. S2CID 35082591. 
  32. Hildreth, AF; Takhar, S; Clark, MA; Hatten, B (September 2015). “Evidence-Based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Pharyngiti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mergency Medicine Practice》 17 (9): 1–16; quiz 16–7. PMID 26276908. 
  33. Linder JA, Bates DW, Lee GM, Finkelstein JA (November 2005). “Antibiotic treatment of children with sore throat”. 《J Am Med Assoc》 294 (18): 2315–22. doi:10.1001/jama.294.18.2315. PMID 16278359. 
  34. Pichichero, M; Casey, J (June 2006). “Comparison of European and U.S. results for cephalosporin versus penicillin treatment of group A streptococcal tonsillopharyngitis.”.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 Infectious Diseases25 (6): 354–64. doi:10.1007/s10096-006-0154-7. PMID 16767482. S2CID 839362. 
  35. van Driel, Mieke L.; De Sutter, An Im; Thorning, Sarah; Christiaens, Thierry (2021년 3월 17일). “Different antibiotic treatments for group A streptococcal pharyngiti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1 (3): CD004406. doi:10.1002/14651858.CD004406.pub5. hdl:1854/LU-8551618. ISSN 1469-493X. PMC 8130996. PMID 33728634. 
  36. Altamimi, Saleh; Khalil, Adli; Khalaiwi, Khalid A; Milner, Ruth A; Pusic, Martin V; Al Othman, Mohammed A (2012년 8월 15일). “Short-term late-generation antibiotics versus longer term penicillin for acute streptococcal pharyngitis in childre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8): CD004872. doi:10.1002/14651858.CD004872.pub3. PMID 22895944. 
  37. “UpToDate Inc.”. 2008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8. Stevens DL, Tanner MH, Winship J, 외. (July 1989). “Severe group A streptococcal infections associated with a toxic shock-like syndrome and scarlet fever toxin A”. 《N. Engl. J. Med.》 321 (1): 1–7. doi:10.1056/NEJM198907063210101. PMID 2659990. 
  39. Hahn RG, Knox LM, Forman TA (May 2005). “Evaluation of poststreptococcal illness”. 《Am Fam Physician》 71 (10): 1949–54. PMID 15926411. 
  40. Wilbur C, Bitnun A, Kronenberg S, Laxer RM, Levy DM, Logan WJ, Shouldice M, Yeh EA (May 2019). “PANDAS/PANS in childhood: Controversies and evidence”. 《Paediatr Child Health》 24 (2): 85–91. doi:10.1093/pch/pxy145. PMC 6462125. PMID 30996598. 
  41. Sigra S, Hesselmark E, Bejerot S (March 2018). “Treatment of PANDAS and PANS: a systematic review”. 《Neurosci Biobehav Rev》 86: 51–65. doi:10.1016/j.neubiorev.2018.01.001. PMID 29309797. S2CID 40827012. 
  42. Moretti G, Pasquini M, Mandarelli G, Tarsitani L, Biondi M (2008). “What every psychiatrist should know about PANDAS: a review”. 《Clin Pract Epidemiol Ment Health》 4 (1): 13. doi:10.1186/1745-0179-4-13. PMC 2413218. PMID 1849501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