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적표준

의학에서 최적표준(最適標準, gold standard) 또는 금표준(金標準)은 근거를 기반으로 생각했을 때 현재 진단에 최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검사법이다.[1] 다르게 말하면 제한 없이 가능한 가장 정확한 검사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적인 최적표준 검사는 민감도가 100%, 즉 위음성 결과가 없이 모든 병이 있는 사람을 병이 있다고 진단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특이도도 100%, 즉 위양성 결과 없이 병이 없는 사람을 있다고 잘못 진단하지 않는 검사법이다. 이러한 의미의 이상적인 최적표준 검사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다.[2]

새로운 진단 기법이 개발되면 최적표준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동맥 박리의 진단에서 최적표준 검사는 한때 대동맥조영술이었다.[3] 대동맥조영술의 민감도는 80%, 특이도는 최대 94% 정도로 비교적 낮았다.[4] 이후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경식도 심장초음파(TEE) 등 보다 덜 침습적이면서도 민감도와 특이도는 더 높은 영상 기법들이 발달하면서 대동맥조영술은 더 이상 대동맥 박리 진단의 최적표준으로 여겨지지 않는다.[5] 다만 새로운 검사법이 널리 퍼지기 전까지는 기존의 검사가 최적표준의 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

같이 보기

각주

  1. Versi, E (July 1992). "Gold standard" is an appropriate term.”. 《BMJ》 305 (6846): 187. doi:10.1136/bmj.305.6846.187-b. PMC 1883235. PMID 1515860. 
  2. LM Troy, KB Michels, DJ Hunter, D Spiegelman (1996). “Self-reported birthweight and history of having been breastfed among younger women: an assessment of validity”. 《Int J Epidemiol》 25 (1): 122–127. doi:10.1093/ije/25.1.122. PMID 8666479. 
  3. Holloway, B J; Rosewarne, D; Jones, R G (December 2011). “Imaging of thoracic aortic disease”. 《The British Journal of Radiology》 84 (3): S338–S354. doi:10.1259/bjr/30655825. PMC 3473913. PMID 22723539. 
  4. Wilbers, Christopher R.H.; Carrol, Clark L.; Hnilica, Mark A. (1990). “Optimal Diagnostic Imaging of Aortic Dissection”. 《Texas Heart Institute Journal》 17 (4): 271–278. ISSN 0730-2347. PMC 324936. PMID 15227519. 
  5. Shiga, Toshiya; Wajima, Zen’ichiro; Apfel, Christian C.; Inoue, Tetsuo; Ohe, Yoko (2006년 7월 10일). “Diagnostic Accuracy of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Helical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Suspected Thoracic Aortic Dissect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6 (13): 1350–1356. doi:10.1001/archinte.166.13.1350. ISSN 0003-9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