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군(陽平郡)은 위나라 초기 때 세워진 중국의 옛 군이다.
위진
213년(후한 헌제 건안 18년) 위왕으로 책봉된 조조는 업을 개발하며 위군과 인접한 여타 군의 여러 현을 편입시켰다. 이로 인해 거록군에서 곡주, 남화, 영도 3현, 안평군의 임성현, 동군의 돈구, 동무양, 발간, 위국 4현, 조국의 양국, 역양, 한단 3현, 하내군의 임려, 조가, 탕음 3현이 위군으로 편입되었다. 양평군은 221년(위 문제 황초 2년) 정월 11일 지나치게 방대해진 위군을 분리하면서 신설되었다. 서진 시대에 양평군은 7현 51,000호를 거느렸다.[1][2]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원성현
|
元城縣
|
한단시 다밍현 동북 금탄진(金灘鎭) 일대
|
본래 위군의 속현이었다.
|
관도현
|
館陶縣
|
랴오청시 관현 동고성진(東古城鎭)
|
본래 위군의 속현이었다.
|
청연현
|
淸淵縣
|
한단시 관타오현 청양성촌(淸陽城村) 일대
|
《진서》 지리지에는 피휘 문제로 인해 '청천현'(淸泉縣)으로 기록되어있다. 본래 위군의 속현이었다.
|
발간현
|
發干縣
|
랴오청시 관현 동
|
본래 동군의 속현이었다.
|
동무양현
|
東武陽縣
|
랴오청시 선현 남 십팔리포진(十八里鋪鎭) 일대
|
본래 동군의 속현이었다.
|
양평현
|
陽平縣
|
랴오청시 선현
|
본래 동군의 속현이었다. 영가의 난 이후 낙평현에 통폐합되었다.[3]
|
낙평현
|
樂平縣
|
랴오청시 둥창푸구 장로집진(張爐集鎭) 일대
|
본래 동군의 속현이었다.
|
송
동진 말기 남조는 북진했지만 본래의 양평군 지역까지 도달하는 것에는 실패했다. 그래서 유송 문제 원가 연간, 양평군의 주민들을 모아 다른 지역에 교치되었다. 이렇게 교치된 양평군은 후일 폐지되었다가 457년(유송 효무제 대명 원년) 재설치되었고 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그러나 명제 시기 회수 이북 전역이 북위로 넘어갈 때 북위로 편입되었다. 그 이전까지 양평군은 5현 2,857호 11,271명을 거느렸다.[4]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민정
|
비고
|
관도현
|
館陶縣
|
|
령(令)
|
|
낙평현
|
樂平縣
|
|
|
원성현
|
元城縣
|
|
|
평원현
|
平原縣
|
|
|
돈구현
|
頓丘縣
|
|
|
북위
북위의 양평군은 본래 상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그러나 동위가 업에 수도를 두고, 상주를 사주로 개명하자 그대로 사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동위 때 양평군은 관도성에 치소를 두었고 8현 47,444호 162,075명을 거느렸다. 북주말기에서 수나라사이 위주(魏州)로 통폐합되었다.[3]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관도현
|
館陶縣
|
랴오청시 관현 동고성진(東古城鎭)
|
현 경내에 관도성(館陶城)이 있었다.
|
청연현
|
淸淵縣
|
랴오청시 관현 청수진(淸水鎭)
|
397년(북위 도무제 황시 2년) 치소가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 현 경내에 청연성(清淵城)이 있었다.
|
낙평현
|
樂平縣
|
랴오청시 둥창푸구 장로집진(張爐集鎭) 일대
|
현 경내에 낙평성(樂平城)이 있었다.
|
발간현
|
發干縣
|
랴오청시 관현 동
|
현 경내에 발간성(發干城)이 있었다.
|
임청현
|
臨淸縣
|
싱타이시 린시현
|
497년(북위 효문제 태화 21년) 설치되었다.
|
무성현
|
武城縣
|
헝수이시 구청현 조양장촌(祖楊庄村) 북 10리 일대
|
본래 동무성현(東武城縣)이었다. 현 경내에 무성(武城)
|
무양현
|
武陽縣
|
랴오청시 선현 조성진(朝城鎭) 서 40리.
|
|
양평현
|
陽平縣
|
랴오청시 선현 초장촌(焦庄村)
|
영가 이후 폐지되었다가 497년 재설치되었다. 현 경내에 양평성(陽平城), 강성(崗城), 조간자의 무덤(趙簡子陵), 무구수(武溝水), 백마연(白馬淵)이 있었다.
|
각주
- ↑ 《삼국지》 2권 위지 제2 문제기 황초 2년 [1]
- ↑ 《진서》 14권 지 제4 사주 양평군 [2]
- ↑ 가 나 《위서》 106권 上 지 제2 上 지형지 上 사주 양평군 [3]
- ↑ 《송서》 35권 지 제25 주군지 1 연주 양평태수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