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토 마코토

사이토 마코토
齋藤 實
내각총리대신 재임 시(쇼와 7~9년)
내각총리대신 재임 시(쇼와 7~9년)
일본 일본의 제9대 내대신
임기 1935년 2월 26일-1936년 2월 26일
전임 마키노 노부아키
후임 이치키 기토쿠로
군주 쇼와 천황

일본 일본의 제30대 내각총리대신
임기 1932년 5월 26일-1934년 7월 8일
전임 이누카이 쓰요시
후임 오카다 게이스케
군주 쇼와 천황

일본 일본의 제41대 문부대신
임기 1934년 3월 3일-1934년 7월 8일
전임 하토야마 이치로
후임 마쓰다 겐지

일본 일본의 제47대 외무대신
임기 1932년 5월 26일-1932년 7월 6일
전임 요시자와 겐키치
후임 우치다 고사이

조선총독부의 제5대 총독
임기 1929년 8월 17일-1931년 6월 17일
전임 야마나시 한조
후임 우가키 가즈시게
군주 쇼와 천황

조선총독부의 제3대 총독
임기 1919년 8월 13일-1927년 12월 10일
전임 하세가와 요시미치
후임 우가키 가즈시게
군주 다이쇼 천황

일본 일본의 제14-18대 해군대신
임기 1906년 1월 7일-1914년 4월 16일
전임 야마모토 곤노효에
후임 야시로 로쿠로
총리 사이온지 긴모치
가쓰라 다로
사이온지 긴모치
가쓰라 다로
야마모토 이소로쿠

일본 일본의 제3대 함정본부장
임기 1903년 10월 27일-1906년 1월 10일
전임 아리마 신이치
후임 이주인 고로
장관 사이고 주도
야마모토 곤노효에

일본 일본의 제3대 해군차관
임기 1898년 11월 10일-1906년 1월 7일
전임 이토 슌키치
후임 가토 도모사부로
장관 야마모토 곤노효에

신상정보
출생일 1858년 12월 2일(1858-12-02)
출생지 일본 무쓰국 이사와군 시오가마무라
(지금의 이와테현 오슈시 미즈사와)
사망일 1936년 2월 26일(1936-02-26)(77세)
사망지 일본 도쿄
소속 일본 해군
정당 무소속
서명
군사 경력
복무 일본 제국 일본 제국
복무기간 1879년–1928년
최종계급 대장 대장(大将)
지휘 순양함 아키쓰시마
순양함 이쓰쿠시마
주요 참전 청일전쟁
러일전쟁
상훈 욱일대수장 레지옹 도뇌르 대장교 1급 적수리 훈장 훈4등 서보장 공2급 금치훈장 메이지 27-8년 종군기장 메이지 33년 종군기장 메이지 37-8년 종군기장

사이토 마코토(일본어: 齋藤 實, 1858년 12월 2일~1936년 2월 26일)는 일본 제국 해군군인이자 관료, 정치인이다.

해군병학교를 졸업한 후 미국에서 유학한 자수성가형 인물로, 해군 대장과 해군 대신을 지냈다. 1919년부터 1927년까지 제3대, 1929년부터 1931년까지 제5대 조선총독부 총독으로 근무했다.

1919년 9월 조선 총독으로 부임하러 조선남대문역에서 내리다가 강우규 등의 폭탄 습격을 받았으나 구사일생으로 죽음을 면하였다. 3·1운동 이후 이오키 료조 등과 협조해 식민지배를 강화할 목적으로, 조선 총독으로서 종전의 '무단정치'에서 '문화정치'로 통치 방법을 전환시켜 식민지 반발을 무마하려 노력했다.[1]

1925년에 자작이 되고, 1932년부터 1934년까지 내각총리대신, 1932년부터 1933년까지 겸임 외무대신을 지냈다. 1933년 겸임 문부대신을 지내다가 1934년 사퇴하였다. 이후 내대신으로 재직 중 1936년 2월 26일에 발발한 2·26 사건에 가담한 청년 장교들에 의해 암살되었다.

생애와 경력

수학과 해군 복무

이와테현(岩手縣, 현 오쓰시 마즈사와에서 몰락한 사족 집안에서 태어났다. 처음 이름은 도미고로(富五郎)였다가 나중에 마코토(實)로 개명하였다. 열심히 공부하여 해군병학교를 졸업, 이후 1884년 미국으로 유학하였으며 유학 중 겸임 주미일본공사관 주재무관의 자격이 부여되어 1888년까지 그곳의 일본 최초의 주재무관으로 머물렀다. 이때 국제적인 안목을 기르고 유창한 영어를 습득했다.

후에 일본으로 돌아와 아키즈노즈(秋津洲)호와 구마(嚴島)호의 함장을 지냈다. 이후 자수성가하여 야전과 참모, 궁정직을 돌아가면서 섭렵했고 1897년에는 한 달 만에 2계급을 뛰어넘는 고속승진을 하여 대좌에 올랐다. 1900년 5월 해군 소장이 되고 1904년 6월 해군 중장으로 승진했으며 러일 전쟁에 참전하였다.

장군 진급과 각료 취임

1905년 1월에는 선박 건조를 담당하는 부서인 해군 감정본부장(艦政本部長)이 되고 러일 전쟁 때는 해군차관에 임명되었다. 이후 7년간 해군차관으로 복무하며 중장까지 승진, 대해군 건설에 힘쏟아 러일 전쟁에서 일본 해군이 러시아 해군을 격파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해군 대장에 이르렀다.

1907년 남작 작위를 받았다.

관료 생활

1906년 사이온지 내각에서 해군대신이 되었고, 이후의 내각에서도 다섯 차례 연속으로 해군대신을 지냈다. 1912년에는 대장에 올랐으나, 1914년 해군의 독직(瀆職) 사건[2](지멘스 사건)으로 사임하였다.

1919년 3·1 운동 직후 조선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1919년 9월 2일 조선 총독으로 부임하러 남대문역에서 내리다가 강우규의 폭탄 습격을 받았으나 살아남았다. 부임 후 조선 총독으로서 강압적 식민통치를 완화하여 조선인의 저항을 무력화하려는 문화 통치 정책을 추진하였다. 3·1운동 이후의 후폭풍을 우려하여 종전의 '무단정치'에서 '문화정치'로 통치방법을 전환시켜 식민지 반발을 무마하려 노력했다.

1925년자작이 되고, 1927년 제네바 군축협상에 전권대표로 참석하기 위해 조선총독직에서 물러났다. 1929년조선총독에 재임명되었고, 1931년 조선총독직을 다시 사임하였고, 이듬해 총리가 되었다.

총리 사퇴와 최후

사이토 마코토의 동상

1932년 거국일치 내각을 조직하여 수상에 취임하였다. 만주국 승인·국제연맹 탈퇴·농촌 구제사업을 추진하여 민심과 내분을 수습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932년 외무대신을 겸하였고, 1933년 외무대신직에서 물러났으나 겸임 학무대신이 되었다. 1934년 내각의 비리로 총리직을 사임했고 이후 일본 천황의 보좌관격인 내대신(內大臣)이 되었다.

만주사변 이후 국가의 총체적 군국화를 주장하며 발호하는 혁신 우익(황도파)에 맞서 현상 유지를 노력했기 때문에 황도파의 젊은 장교들의 주적이 되었다. 1936년 친영파(親英派)와 친미파(親美派)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 지목되어 그해 2월 2·26 사건 당시 반란을 일으킨 황도파 청년장교들에게 도쿄 자택에서 78세의 나이로 살해당했다.

출연 작품

같이 보기

참고 서적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한국사사전편찬회 엮음, 가람기획, 2005)
  • 이홍직, 《새국사사전》 (교학사, 1983)

각주

  1. 이범준. 소설가 신경숙은 왜 미시마를 흠모한 것일까. 주간경향. 2015년 6월 30일.
  2. 야마모토 내각이 해군이 관련된 군수조달 비리사건

외부 링크

전임
대장 하세가와 요시미치
제3대 조선총독
1919년 ~ 1927년
후임
대장 우가키 가즈시게
전임
대장 야마나시 한조
제5대 조선총독
1929년 ~ 1931년
후임
대장 우가키 가즈시게
전임
이누카이 쓰요시
제30대 일본내각총리대신
1932년 5월 26일 ~ 1934년 7월 8일
후임
오카다 게이스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