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트리아는 기원전 600년 무렵에는 메디아의 일부 지역이었는데 언제부터 메디아에 편입되었는지 불명이며 기원전 6세기 중반 키루스 대왕에 의해 병합되었다. 그 후 페르시아 제국의 총독령이 되었다. 페르시아 제국의 다리우스 3세가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패하자 그를 살해한 박트리아의 총독 베수스는 민족적 저항을 조직하려고 하였다.
알렉산드로스는 소그디아나와 이란에 그리스 국가들을 건국한다. 다시 옥수스강 너머로 향하던 그는 강력한 저항을 만났다. 2년간의 마케도니아 제국에 병합하였지만 백성들을 굴복시키지 못하였다.
알렉산드로스가 죽은 뒤 마케도니아 제국은 결국 분열되었고, 박트리아는 셀레우코스 제국이 되었다.
그리스-박트리아는 매우 강하여 그들의 영토를 인도로 팽창시켰다. 박트리아는 대부분 아리아나의 동쪽과 윗쪽에 위치하지만 부분이 아리아나에 북쪽으로 길게 늘어져 있었다. 그리고 그 대부분은 기름을 제외한 모든 것을 생산하였다. 박트리아를 반란케 한 그리스인들은 그들이 주인이 된 아리아나의 비옥함 때문에 매우 강력하게 되어 아리아나뿐만 아니라 인도와 더 많은 종족이 그들에 의해 편입되었다.
박트리아의 왕 에우튀데모스와 아들 데메트리오스 1세는 힌두쿠시산맥을 넘어 북부 아프가니스탄과 인더스강 유역 일대를 정복하기 시작했다. 그리스인 제국은 동쪽에서 일어서는 것 같았다. 그러나 이 제국은 내부 불화와 계속된 왕위 찬탈로 분열되었다. 데메트리오스가 인도로 진격할 때, 그의 장군 에우크라티데스는 스스로 박트리아의 왕이라 칭했으며, 이에 많은 지역에서 찬탈자가 나타나 스스로 왕을 칭하고 서로 싸웠다. 이러한 전쟁에 의해 그리스인들의 우위는 점차 줄어들었다.
한편, 그들의 실체는 오직 발굴된 주화로만 알 수 있는데, 주화의 대부분은 아프카니스탄, 파키스탄, 인도에서 발견된다. 데메트리오스와 에우크라티데스 1세는 아테나이의 표준 주화를 포기하고 토착 표준을 도입했는데, 이는 소수 민족에게 지원을 얻기 위해서였다.
인도에서 이것은 훨씬 더 진척되었는데, 인도-그리스의 왕 매난드로스 1세(인도에서는 밀린다 왕으로도 불린다.)는 불교에 귀의하기까지 하였다. 인도-그리스 왕국은 기원전 10년경에 스키타이인의 침공으로 멸망하였다.
월지의 이동으로 인한 박트리아 전복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은 갑작스럽게 멸망하였는데 이는 토하라인들이 세운 월지국에 의해서였다. 월지는 본래 현재의 간쑤 지역에 존재했으나, 흉노의 공격을 받아 서쪽의 박트리아로 쫓겨난 후 그리스-박트리아를 멸망시켰다. 장건이 한나라의 사절로서 기원전 128년 월지를 방문하였을 때 그들이 소그디아나(옥서스의 북쪽)를 지배하고 있었다고 기록했다.[1] 이후 박트리아에 자리잡은 월지국 세력의 일부가 인도로 들어가서 쿠샨 제국을 건설하게 된다.
동아시아에서의 기록
대하(大夏)는 기원전 3세기 중국에서 서역의 신비 왕국을 가리키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기원전 126년 장건이 방문하고 나서부터 동아시아에서 불리게 된 이름이다.
장건의 보고서는 기원전 1세기 사마천의 《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이 보고서에는 약 백만의 사람들이 작은 왕 또는 지사의 통치 아래 성 안에서 살고 있는 문명 도시를 서술하고 있다. 대하는 시장이 활기찬 부유한 나라이고, 다양한 물품을 거래하고, 멀리는 대륙 남부까지 거래한다. 장건이 대하를 방문할 때는, 주요한 왕이 없었으며, 박트리아 왕국은 월지족들을 지배하고 있었고, 월지족은 옥수스 강(아무다리야강)을 넘어 왕국의 북쪽에 거주하고 있었다. 한나라는 박트리아(대하), 페르가나(대완), 파르티아의 문명에 관해 듣고서 그들과의 상업 교류에 관심을 가지기도 하였다:
이 모든 것을 듣고서 이와 같이 생각했다. "페르가나(대완)와 박트리아(대하)와 파르티아(안식)은 큰 나라이고, 희귀한 것들이 많으며, 고정된 장소에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어느정도 같은 직업을 가지고 있지만 한나라의 풍부한 물산에 관심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