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몰로지 대수학 에서 막대 복합체 (막대複合體, 영어 : bar complex 바 콤플렉스[* ] )는 가환환 위의 결합 대수 에 대하여 정의되는 완전열 이다.[ 1] :§4 Tor 함자 와 Ext 함자 등을 계산할 때 쓰인다.
정의
결합 대수에 대한 정의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가환환
K
{\displaystyle K}
(항등원을 갖는)
K
{\displaystyle K}
-결합 대수
A
{\displaystyle A}
A
{\displaystyle A}
-오른쪽 가군
M
A
{\displaystyle M_{A}}
A
{\displaystyle A}
-왼쪽 가군
A
M
′
{\displaystyle _{A}M'}
그렇다면, 막대 복합체
Bar
∙ ∙ -->
K
-->
(
M
,
A
,
M
′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r} _{\bullet }^{K}(M,A,M')}
는 다음과 같은,
K
{\displaystyle K}
-가군 의 범주 속의 단체 대상 이다.
Bar
n
-->
(
M
,
A
,
M
′
)
=
M
⊗ ⊗ -->
K
A
⊗ ⊗ -->
K
n
⊗ ⊗ -->
K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r} _{n}(M,A,M')=M\otimes _{K}A^{\otimes _{K}n}\otimes _{K}M'}
∂ ∂ -->
n
,
i
Bar
n
-->
(
M
,
A
,
M
′
)
→ → -->
Bar
n
− − -->
1
-->
(
M
,
A
,
M
′
)
(
0
≤ ≤ -->
i
≤ ≤ -->
n
)
{\displaystyle \partial _{n,i}\operatorname {Bar} _{n}(M,A,M')\to \operatorname {Bar} _{n-1}(M,A,M')\qquad (0\leq i\leq n)}
∂ ∂ -->
n
,
i
: : -->
m
⊗ ⊗ -->
K
a
1
⊗ ⊗ -->
K
⋯ ⋯ -->
⊗ ⊗ -->
K
a
n
⊗ ⊗ -->
K
m
′
↦ ↦ -->
{
m
a
1
⊗ ⊗ -->
K
a
2
⊗ ⊗ -->
K
⊗ ⊗ -->
⋯ ⋯ -->
⊗ ⊗ -->
K
a
n
⊗ ⊗ -->
K
⊗ ⊗ -->
m
′
i
=
0
m
⊗ ⊗ -->
K
a
1
⊗ ⊗ -->
K
⋯ ⋯ -->
⊗ ⊗ -->
K
a
i
− − -->
1
⊗ ⊗ -->
K
a
i
a
i
+
1
⊗ ⊗ -->
K
a
i
+
1
⊗ ⊗ -->
K
⋯ ⋯ -->
⊗ ⊗ -->
K
a
n
⊗ ⊗ -->
K
m
′
0
<
i
<
n
m
⊗ ⊗ -->
K
a
1
⊗ ⊗ -->
K
⋯ ⋯ -->
⊗ ⊗ -->
K
a
n
− − -->
1
⊗ ⊗ -->
K
a
n
m
′
i
=
n
{\displaystyle \partial _{n,i}\colon m\otimes _{K}a_{1}\otimes _{K}\dotsb \otimes _{K}a_{n}\otimes _{K}m'\mapsto {\begin{cases}ma_{1}\otimes _{K}a_{2}\otimes _{K}\otimes \dotsb \otimes _{K}a_{n}\otimes _{K}\otimes m'&i=0\\m\otimes _{K}a_{1}\otimes _{K}\dotsb \otimes _{K}a_{i-1}\otimes _{K}a_{i}a_{i+1}\otimes _{K}a_{i+1}\otimes _{K}\dotsb \otimes _{K}a_{n}\otimes _{K}m'&0<i<n\\m\otimes _{K}a_{1}\otimes _{K}\dotsb \otimes _{K}a_{n-1}\otimes _{K}a_{n}m'&i=n\end{cases}}}
s
n
,
i
: : -->
Bar
n
-->
(
M
,
A
,
M
′
)
→ → -->
Bar
n
+
1
-->
(
M
,
A
,
M
′
)
(
0
≤ ≤ -->
i
≤ ≤ -->
n
)
{\displaystyle s_{n,i}\colon \operatorname {Bar} _{n}(M,A,M')\to \operatorname {Bar} _{n+1}(M,A,M')\qquad (0\leq i\leq n)}
s
n
,
i
: : -->
m
⊗ ⊗ -->
K
a
1
⊗ ⊗ -->
K
⋯ ⋯ -->
⊗ ⊗ -->
K
a
n
⊗ ⊗ -->
K
m
′
↦ ↦ -->
m
⊗ ⊗ -->
K
a
1
⊗ ⊗ -->
K
⋯ ⋯ -->
⊗ ⊗ -->
K
a
i
⊗ ⊗ -->
K
1
⊗ ⊗ -->
K
a
i
+
1
⊗ ⊗ -->
K
⋯ ⋯ -->
⊗ ⊗ -->
K
a
n
⊗ ⊗ -->
K
m
′
{\displaystyle s_{n,i}\colon m\otimes _{K}a_{1}\otimes _{K}\dotsb \otimes _{K}a_{n}\otimes _{K}m'\mapsto m\otimes _{K}a_{1}\otimes _{K}\dotsb \otimes _{K}a_{i}\otimes _{K}1\otimes _{K}a_{i+1}\otimes _{K}\dotsb \otimes _{K}a_{n}\otimes _{K}m'}
특히,
∂ ∂ -->
n
=
∑ ∑ -->
i
=
0
n
(
− − -->
)
i
∂ ∂ -->
n
,
i
{\displaystyle \partial _{n}=\sum _{i=0}^{n}(-)^{i}\partial _{n,i}}
로 놓으면, 이는 사슬 복합체 를 이룬다.
일반적 정의
보다 일반적으로, 모노이드 범주
(
C
,
⊗ ⊗ -->
)
{\displaystyle ({\mathcal {C}},\otimes )}
속의 모노이드 대상
A
{\displaystyle A}
및 그 왼쪽 가군
A
M
{\displaystyle _{A}M}
과 오른쪽 가군
M
A
′
{\displaystyle M'_{A}}
이 주어졌을 때, 위와 같은 구성을 마찬가지로 전개할 수 있다. 이 경우,
Bar
∙ ∙ -->
C
-->
(
M
,
A
,
M
′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r} _{\bullet }^{\mathcal {C}}(M,A,M')}
은
C
{\displaystyle {\mathcal {C}}}
속의 단체 대상 을 이룬다.
예를 들어, 모노이드
A
{\displaystyle A}
와 그 왼쪽 모노이드 작용 을 갖는 집합
A
M
{\displaystyle _{A}M}
및 오른쪽 모노이드 작용 을 갖는 집합
M
A
′
{\displaystyle M'_{A}}
이 주어졌을 때,
Bar
∙ ∙ -->
Set
-->
(
M
,
A
,
M
′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r} _{\bullet }^{\operatorname {Set} }(M,A,M')}
은 단체 집합 을 이룬다.
성질
완전성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결합 대수
A
{\displaystyle A}
및 그 위의 오른쪽 가군
M
A
{\displaystyle M_{A}}
과 왼쪽 가군
A
M
′
{\displaystyle _{A}M'}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막대 복합체
Bar
∙ ∙ -->
K
-->
(
M
,
A
,
M
′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r} _{\bullet }^{K}(M,A,M')}
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막대 복합체의 마지막 항에
Bar
0
K
-->
(
M
,
A
,
M
′
)
=
M
⊗ ⊗ -->
K
M
′
→ → -->
Bar
− − -->
1
K
-->
(
M
,
A
,
M
′
)
=
M
⊗ ⊗ -->
A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r} _{0}^{K}(M,A,M')=M\otimes _{K}M'\to \operatorname {Bar} _{-1}^{K}(M,A,M')=M\otimes _{A}M'}
을 추가할 수 있다. 그렇다면,
⋯ ⋯ -->
→ → -->
Bar
1
K
-->
(
M
,
A
,
M
′
)
→ → -->
Bar
0
K
-->
(
M
,
A
,
M
′
)
→ → -->
Bar
− − -->
1
K
-->
(
M
,
A
,
M
′
)
→ → -->
0
{\displaystyle \dotsb \to \operatorname {Bar} _{1}^{K}(M,A,M')\to \operatorname {Bar} _{0}^{K}(M,A,M')\to \operatorname {Bar} _{-1}^{K}(M,A,M')\to 0}
은 완전열 이다. 즉, 그 호몰로지 는 자명군 이다. 이에 따라, 막대 복합체
Bar
-->
(
M
,
A
,
M
′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r} (M,A,M')}
은
M
⊗ ⊗ -->
A
M
′
{\displaystyle M\otimes _{A}M'}
의 분해를 정의한다.
특히,
M
=
M
′
=
A
{\displaystyle M=M'=A}
인 경우,
Bar
∙ ∙ -->
K
-->
(
A
,
A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r} _{\bullet }^{K}(A,A,A)}
는
A
{\displaystyle A}
의 (
(
A
,
A
)
{\displaystyle (A,A)}
-쌍가군 으로서의) 분해(영어 : resolution )를 이룬다.[ 2] :12, Proposition–definition 1.1.12
예
호흐실트 호몰로지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결합 대수
A
{\displaystyle A}
가 주어졌다고 하자.
Bar
∙ ∙ -->
K
-->
(
A
,
A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r} _{\bullet }^{K}(A,A,A)}
의 각 성분은 모두
(
A
,
A
)
{\displaystyle (A,A)}
-쌍가군 이므로, 포락 대수
A
e
=
A
⊗ ⊗ -->
K
A
op
{\displaystyle A^{\operatorname {e} }=A\otimes _{K}A^{\operatorname {op} }}
를 정의하였을 때
Bar
∙ ∙ -->
K
-->
(
A
,
A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r} _{\bullet }^{K}(A,A,A)}
는
A
e
{\displaystyle A^{\operatorname {e} }}
-사슬 복합체 를 이룬다. 임의의
(
A
,
A
)
{\displaystyle (A,A)}
-쌍가군
M
{\displaystyle M}
에 대하여,
C
∙ ∙ -->
(
A
;
M
)
=
M
⊗ ⊗ -->
A
e
Bar
∙ ∙ -->
K
-->
(
A
,
A
,
A
)
{\displaystyle C_{\bullet }(A;M)=M\otimes _{A^{\operatorname {e} }}\operatorname {Bar} _{\bullet }^{K}(A,A,A)}
는
A
{\displaystyle A}
의
M
{\displaystyle M}
계수 호흐실트 사슬 복합체 이며, 마찬가지로
C
∙ ∙ -->
(
A
;
M
)
=
hom
A
e
-->
(
Bar
∙ ∙ -->
K
-->
(
A
,
A
,
A
)
,
M
)
{\displaystyle C^{\bullet }(A;M)=\hom _{A^{\operatorname {e} }}(\operatorname {Bar} _{\bullet }^{K}(A,A,A),M)}
은
A
{\displaystyle A}
의
M
{\displaystyle M}
계수 호흐실트 공사슬 복합체 이다.
군 코호몰로지
군 코호몰로지 와 군 호몰로지 를 계산하는 표준적인 공사슬 복합체 와 사슬 복합체 는 막대 복합체의 특수한 경우이다.
분류 공간
위상 공간 의 (범주론적 곱 에 대한) 모노이드 범주 에서, 위상군
G
{\displaystyle G}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는 물론 한원소 공간
∙ ∙ -->
{\displaystyle \bullet }
위에 자명하게 작용 한다. 이에 따라, 막대 복합체
Bar
∙ ∙ -->
Top
-->
(
∙ ∙ -->
,
G
,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r} _{\bullet }^{\operatorname {Top} }(\bullet ,G,\bullet )}
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G
{\displaystyle G}
는 스스로 위에 왼쪽 및 오른쪽에서 작용한다. 따라서, 막대 복합체
Bar
∙ ∙ -->
Top
-->
(
∙ ∙ -->
,
G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r} _{\bullet }^{\operatorname {Top} }(\bullet ,G,G)}
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준적인 몫 사상
Bar
∙ ∙ -->
Top
-->
(
∙ ∙ -->
,
G
,
G
)
↠ ↠ -->
Bar
∙ ∙ -->
Top
-->
(
∙ ∙ -->
,
G
,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r} _{\bullet }^{\operatorname {Top} }(\bullet ,G,G)\twoheadrightarrow \operatorname {Bar} _{\bullet }^{\operatorname {Top} }(\bullet ,G,\bullet )}
이 존재한다. 이는
G
{\displaystyle G}
-주다발 을 이루며, 또한 위상군
G
{\displaystyle G}
의 분류 공간
E
-->
(
G
)
↠ ↠ -->
B
-->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E} (G)\twoheadrightarrow \operatorname {B} (G)}
을 이룬다.
역사
사무엘 에일렌베르크 와 손더스 매클레인 이 1953년에 도입하였다.[ 3] “막대 복합체”라는 이름은 에일렌베르크와 매클레인이 (오늘날 통상적으로 “
⊗ ⊗ -->
{\displaystyle \otimes }
”로 표기되는) 텐서곱 을 막대기 모양의 기호 “
|
{\displaystyle |}
”로 표기하였기 때문이다.[ 1] :§4.3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