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차부자리 이오타

마차부자리 이오타
Iota Autigae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분점 J2000.0 (ICRS)
별자리 마차부자리
발음 하살레
적경 04h 56m 59.62109s[1]
적위 +33° 09′ 57.9585″[1]
겉보기등급 (V) 2.69[2]
특성
스펙트럼 종류 K3 II[3]
U−B 색지수 +1.78[2]
B−V 색지수 +1.53[2]
변광 종류 Suspected[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Rv)+17.78[5] km/s
고유운동 (μ) RA: +6.79[1] mas/yr
Dec.: −14.88[1] mas/yr
연주 시차 (π)6.61±0.38 mas[1]
절대등급 (MV)−3.20[6]
상세
질량7.1 ± 0.7[7] M
반지름127[8] R
광도4,581[6] L
표면중력 (log g)1.74[9] cgs
유효온도4,160[9] K
금속함량 [Fe/H]–0.11[9] dex
투영 자전 속도 (v sin i)8[10] km/s
나이39.8 ± 4.9[7] Myr
천체 명칭
Hassaleh, Kabdhilinan, ι Aur, 3 Aurigae, BD+32°855, FK5 181, GC 6029, HD 31398, HIP 23015, HR 1577, SAO 57522[11]
데이터베이스 자료
SIMBAD데이터

마차부자리 이오타 ( ι 이오타, 약칭 Iota Aur, ι Aur )는 공식적으로 하살레 /ˈhæsəl/는 북반구의 대표적인 별자리 중 하나인 마차부자리에 있는 항성이다. 이 항성은 육안으로 쉽게 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밝은 겉보기 등급을 가지고 있다. 연주 시차 측정값에 따라 이 항성은 태양으로부터 약 490 광년 (150 pc) 정도 떨어져 있다.[12][13]

명명법

마차부자리 이오타 (Latinised to Iota Aurigae)는 이 항성의 바이어 명명법 명칭이다.

전통적인 이름인 Al Kab, Kabdhilinan /kæbˈdɪlɪnæn/, 아랍어 كعب ذي العنان kaʽb ðīl-ʽinān[14][15], 한국어 발음으로는 알캅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이 이름의 뜻은 마차부의 발목이라는 뜻이다. 이 항성은 1391년, 제프리 초서가 만든 그의 아스트롤라베에서 처음으로 기록에 남겨졌다.[16][17]

1951년 안토닌 베차바쉬의 지도책에 하사레라는 항성 이름이 적혀 있었다. 이름의 유래와 의미는 남겨져 있는 어떤 기록으로도 불구하고 발견되지 않았으며, 어떤 언어와도 연관성도 발견되지 않았다.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WGSN)는 이 항성의 명칭으로 하사레를 승인했다.[18][19][20] 중국어로는 五車一이라고 한다.[21]

속성

마차부자리 이오타의 거리에서 성간 먼지로 인한 소광 로 인해 연주시차각의 크기가 약 0.6 정도 감소했다. 이 항성의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 K3II의 항성 분류로 나타났다. 광도 등급 'II'는 이것이 밝은 거성으로 알려진 진화된 별의 범주임을 나타낸다. 1943년 이후로 이 별의 스펙트럼은 다른 별을 분류하는 안정된 기준점 중 하나가 되었다. 외부 봉투의 유효 온도는 4,160 켈빈으로 태양의 유효 온도보다 약간 더 차갑다. 마차부자리 이오타는 전형적인 K형 별의 오렌지색 색깔로 밤하늘에서 관측된다.[22]

1.8 × 1027 ergs s−1 의 X선 광도를 갖는 약한 X선 방사체이다. 이 방출은 온도가 약 3000000 켈빈 이상의 온도를 띄는 마차부자리 이오타의 외부 대기에 의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 항성은 변광성인 것이 명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변광성으로 의심되거나 추측되는 몇몇 후보군들 중 하나에 속하는 항성이다.[4][23]

미확인 동반성

2007년 6월 25일 부터 29일까지 열린 그리스 산토리니에서 개최된 Extreme Solar Systems 회의에서 리퍼트 엣 올 연구진은 2:1의 궤도 공명으로 마차부자리 이오타 주변 궤도를 도는 두 개의 동반성 후보를 감지했다고 발표했다. 이 동반성 후보는 마차부자리 이오타 주위를 공전 주기 약 2~4년 정도로 공전하는 갈색 왜성으로 추측된다. 동반성 후보군에 대한 최소 질량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아직까지 탐지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허커 연구진은 767일과 1586일의 기간에 상당한 시선 속도 변화를 발표했다.[24][25][26][27]

각주

  1.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2.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3. Morgan, W. W.; Keenan, P. C. (1973), “Spectral Classification”, 《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11: 29, Bibcode:1973ARA&A..11...29M, doi:10.1146/annurev.aa.11.090173.000333 
  4. Strassmeier, K. G. (January 2008), “Stellar Activity with BRITE: the Aurigae field”, 《Communications in Asteroseismology》 152: 124–130, Bibcode:2008CoAst.152..124S, doi:10.1553/cia152s124 
  5. Famaey, B.; 외. (January 2005), “Local kinematics of K and M giants from CORAVEL/Hipparcos/Tycho-2 data. Revisiting the concept of superclust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0 (1): 165–186, arXiv:astro-ph/0409579, Bibcode:2005A&A...430..165F, doi:10.1051/0004-6361:20041272, S2CID 17804304 
  6.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S2CID 119257644 
  7. Tetzlaff, N.; Neuhäuser, R.; Hohle, M. M. (January 2011), “A catalogue of young runaway Hipparcos stars within 3 kpc from the Su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0 (1): 190–200, arXiv:1007.4883, Bibcode:2011MNRAS.410..190T, doi:10.1111/j.1365-2966.2010.17434.x, S2CID 118629873 
  8. Harper, G. M. (1992), “The outer atmospheres of the 'hybrid' bright giants - The chromospheres of Alpha TrA (K4 II), IOTA AUR (K3 II), Gamma AQL (K3 II) and Theta HER (K1 II)”,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256 (1): 37–64, arXiv:0809.0359, Bibcode:1992MNRAS.256...37H, doi:10.1093/mnras/256.1.37 
  9. McWilliam, Andrew (December 1990), “High-resolution spectroscopic survey of 671 GK giant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4: 1075–1128, Bibcode:1990ApJS...74.1075M, doi:10.1086/191527, ISSN 0067-0049 
  10. Bernacca, P. L.; Perinotto, M. (1970), “A catalogue of stellar rotational velocities”, 《Contributi Osservatorio Astronomico di Padova in Asiago》 239 (1): 1, Bibcode:1970CoAsi.239....1B 
  11. “iot Aur -- Variable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1월 19일에 확인함 
  12. ʿAbd al-Raḥmān ibn ʿUmar al-Ṣūfī.
  13. Kashyap, V.; 외. (August 1994), “X-ray emission on hybrid stars: ROSAT observations of alpha Trianguli Australis and IOTA Aurigae”, 《The Astrophysical Journal》 431 (1): 402–415, Bibcode:1994ApJ...431..402K, doi:10.1086/174494 
  14. Translation of the Arabic word كعب to English on the Almaany dictionaries website.
  15. Translation of the Arabic word كعب to English on the Almaany dictionaries website.
  16. ʿAbd al-Raḥmān ibn ʿUmar al-Ṣūfī.
  17. Kaler, James B., “Al Kab”,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08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8일에 확인함 
  18. Translation of the Arabic word كعب to English on the Almaany dictionaries website.
  19. Translation of the Arabic word كعب to English on the Almaany dictionaries website.
  20. Allen, Richard Hinckley (1899),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G. E. Stechert, 91쪽 
  21. Ian Ridpath, “Auriga”, 《Star Tales》, 2019년 10월 10일에 확인함 
  22.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23. 《Naming Stars》, IAU.org,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24. Hekker, S.; 외. (2008), “Precise radial velocities of giant stars. IV. A correlation between surface gravity and radial velocity variation and a statistical investigation of companion properties”, 《Astronomy and Astrophysics480 (1): 215–222, arXiv:0801.0741, Bibcode:2008A&A...480..215H, doi:10.1051/0004-6361:20078321, S2CID 33442610 
  25. Reffert, S.; 외. (2008), 〈Two brown dwarfs in resonance around a K3II giant〉, 《Extreme Solar Systems, ASP Conference Series, Vol. 398,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held 25–29 June 2007, at Santorini Island, Greece》 (PDF), 115쪽, 2011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18일에 확인함 
  26. Garrison, R. F. (December 1993), “Anchor Points for the MK System of Spectral Classification”,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5: 1319, Bibcode:1993AAS...183.1710G, 2019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4일에 확인함 
  27. Kunitzsch, Paul; Smart, Tim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2 rev.판, Cambridge, Massachusetts: Sky Pub, ISBN 978-1-931559-44-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