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하추
納哈出 |
---|
사망 | 1388년 |
---|
성별 | 남성 |
---|
국적 | 북원 |
---|
경력 | 요동 지방 군 지휘관 |
---|
직업 | 군인 |
---|
나하추 또는 나가추(한국 한자: 納哈出 납합출, ?년 ~ 1388년)은 북원(北元)의 장군이다. 나하추는 본래 징기스칸의 사준 중 한 명인 무칼리의 후예로, 그의 집안은 대대로 요동 지방의 군 지휘관을 역임했다.
생애
원(元) 말기가 되자 스스로를 심양행성승상(審陽行省丞相)으로 칭하고, 만주 지방에서 세력을 떨쳤다. 원이 몽골 고원으로 쫓겨나 북원이 된 이후에도 북원의 대칸 아유시리다르는 계속 명을 압박하였는데, 이를 위해 만주 잘라이르의 나하추와 협력하였다.
공민왕 11년인 1362년의 2월, 나하추는 고려가 수복한 쌍성총관부를 탈환하기 위해, 쌍성총관부의 잔당 조소생과 함께 고려의 동북면(함경남도 홍원 지방)으로 쳐들어 갔다. 이에 고려 조정은 이성계를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로 삼아 적을 막게 하였다. 여러 차례의 격전 끝에 마침내 함흥 평야에서 나하추의 군대는 대패하였다. 이 때문에, 쌍성총관부의 잔당 조소생, 탁도경 세력이 완벽히 몰락했다.
이 전투 후 나하추는 공민왕과 이성계에게 예물을 보내 화친을 맺었다.[1]
그러나 이성계가 나하추를 대패시켰다는 이야기는 '사료의 교차검증'이 되지 않아 사실인지 의문이 드는 면이 있다. 이성계측의 관찬사서인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조선왕조태조실록총서 등과 이성계의 최측근인 정도전의 '삼봉집'이나 고려왕조 멸망 이후 이성계에게 출사해 조선의 신료가 된 권근의 '양촌집' 등의 이성계측의 기록들에만 보일뿐, 이성계의 반대편 인물들, 예를 들어 이색, 이숭인, 정몽주, 원천석 등의 문집들에서는 전혀 언급이 없고, 또 중국쪽 기록에서도 이 이야기가 없을 뿐더러 몽골측의 기록에도 역시 없는 내용이라 무조건 이성계가 납합출을 대패시켰다는 이야기에 의문점이 들 수 밖에 없다. 또 조선왕조측의 기록들인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조선왕조태조실록총서에도 이성계가 나하추를 대패시키고 나서 고려 조정에 상을 받았다는 사실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 어째서 이렇게 되었을까? 그리고 이후에도 나하추는 우리나라를 침범하기도 했다. 이성계의 활약 한 번으로 모든 것이 완전히 마무리 된 것이 아니었다. 여기에 대한 반론도 존재하는데, '사료의 교차검증'이 안 되므로 고려사에 기록된 내용 자체를 믿을 수 없다는 건 위험한 발상이다. 황산대첩도 일본 측 기록에는 없으므로 교차검증이 안 되니 없었던 일인가. 고려사가 조선 왕조의 입장에서 기록된 측면도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이에 대한 사관의 입장을 말함이다. 고려사가 방대한 역사를 다루는 만큼 실제 있었던 일이나 인물이 누락된 경우는 있어도, 아예 없던 사실 자체를 만들어서 기록할만큼 허구로 가득찬 사서가 아님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고려사는 역사를 기록하는 사서(史書)이지 진실 여부를 가리는 책이 아니다. 즉 우왕, 창왕이 신돈의 아들, 손자가 아니라고 해도 조선 왕조 입장에서 신돈의 아들, 손자라고 했으니 고려사에 그렇게 기록된 것이지 이들이 진짜 신돈의 아들, 손자인지 아닌지 판단까지 고려사에 바랄 수는 없다.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후대에 논의가 되고, 다른 평가도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역시 고려사의 기록이 있었기에 논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고려사가 후대에 편찬된 사서이다 보니 먼 고려 전기, 중기의 일은 기록의 부실이 있을 수도 있으나, 이성계와 나하추의 전투는 먼 고려 전기, 중기의 일도 아니고, 당대 혹은 후대에라도 반발과 논의가 일었을 것인데, 이런 정황이 단 한번도 없었다. 라고 말했지만, 이와 반대로 이지란의 신도비에서는 이지란의 활약으로 이성계가 나하추에게서 무사했고, 그의 활약으로 나하추가 후퇴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물론 이 이야기는 이지란의 후손들이 자신들의 조상을 사실과 다르게 조작, 과대포장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최소한 이성계가 나하추를 대패시켰다는 것에 대한 이론이 있다는 증거가 된다. 또 이 이야기가 사실일 가능성도 있는 것이 이지란의 신도비의 내용을 조선왕조에서 왕조 존속 기간 내내 몰랐을리 없고, 만약에 정말로 이지란의 후손들이 나하추 정벌에서 이지란을 사실과 다르게 호의적으로 조작,과장하고, 이에 반해 이성계의 역활을 사실과 다르게 매우 축소시켰다면, 이지란의 후손들이 조선왕조에서 무사할 수가 없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는 그동안 너무 안일하게 조선왕조측의 기록들을 곧이곧대로 다 믿는 풍토여서 의심을 하지 않은 것이 아닐까 한다.
밑에서도 이야기가 되지만 이성계가 나하추를 대파했다는 것은, 물론 어쨌든 사실일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더 높지만 그래도 한 번 생각해 볼 여지는 있다 하겠다. 세상의 모든 역사서, 특히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같은 관찬사서들은 권력자의 지시에 의해서 쓰여지는만큼 권력자의 입장에서 사실을 조작하거나 왜곡한 사례가 많다. 관찬사서들이 정부에 의해서 공식적으로 쓰여지는만큼 정확성, 상세성 면에서는 가장 뛰어나다 하겠으나 공정성 면에서는 개인에 의해 쓰여지는 야사보다 못할 때가 많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고려사를 그대로 다 믿는다면, 우, 창왕도 신돈의 아들, 손자이고, 김저의 옥사와 윤이, 이초의 옥사도 정당한 옥사이고, 조선왕조단종, 세조, 선조실록에 쓰여진 것을 곧이곧대로 다 믿는다면 김종서, 사육신, 김덕령도 역적,죄인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조선시대의 양식 있는 신료들과 선비들중 이런 이야기들을 곧이곧대로 다 믿는 사람은 전혀에 가깝게 없었고, 지금의 학계에서도 마찬가지로 믿고 있지 않다. 김종서,사육신,김덕령의 경우는 아예 후대의 조선왕조에서 충신으로 공식적으로 복권이 되어 이들 당시의 실록들이 조작 되었다는 것을 조선왕조 스스로 인정하고 있다. 이성계가 나하추를 대파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는 사실에 가깝다고 해야겠으나 앞으로 더 생각해 볼만한 여지는 있다 하겠다. 다만, 황산대첩의 경우 이성계의 반대쪽 인물인 목은 이색의 '목은집'이나 다른 고려측 인물의 기록에도 분명히 언급되고 있고, 또 고려사,고려사절요,동국통감에서는 이 전과를 바탕으로 이성계가 고려 조정에 상을 받은 기록도 분명히 존재한다. 교차검증에도 부합이 되고, 또 교차검증과는 별개로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통감의 기록들도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성계와의 교전 이후 나하추는 1372년 명군의 보급 기지였던 우가장을 기습해 명의 병력 5000명을 죽이고 양곡 10만 석을 피해했다.[2]
1386년 12월, 명 태조 주원장이 장군 풍승에게 요동 공격에 나서라고 지시하자 명군은 오늘날의 승덕 부근에 병참기지를 설치한 뒤, 1387년 6월 나하추를 공격하여 금산(金山) 지역을 장악했다.[2] 이런 상황에 기근까지 발생하자 나하추는 명에 투항하여 해서후(海西侯)에 봉해졌다.[3]
1388년, 운남 정벌에 나섰다가 병으로 사망하였다.
나하추가 등장하는 작품
같이 보기
각주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