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럴림픽 패러카누 |
---|
Paracanoeing |
세부 종목 | 8개 종목 |
---|
남자 종목 | 4개 종목 |
---|
여자 종목 | 4개 종목 |
---|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메달리스트 · 경기장 |
패럴림픽 패러카누는 패럴림픽에서 패러카누로 승부를 겨루는 패럴림픽 경기 종목이다. 2010년 중국 광저우에서 개최된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 회의에서 하계 패럴림픽에 패러카누를 추가하기로 결정한 후[1] 2016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처음 종목으로 채택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2][3][4]
패러카누는 신체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을 위해 카누를 변형한 스포츠로, 카누와 마찬가지로 국제 카누 연맹이 관리하고 있다.[5]
세부종목
하계 패럴림픽에서의 패러카누는 직선 200m를 달리는 단거리 경주 형식으로 진행되며,[6] 성별과 장애 분류에 따라 총 여덞 부분으로 나눠 치뤄진다.[5]
장비
2016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처음 진행된 패러카누 경기에서는 단일 카약(K1)을 사용하였으며,[6] 2020년에는 현외 장치가 달려 있고 외날 노를 사용해 나아가는 배인 바(Va'a)가 추가되었다.[7]
선수 분류
패럴림픽 패러카누에서는 선수의 신체적 장애에 따라 세 분류로 나누어 경기를 진행한다.[6]
- KL1: 노를 젓는 데 팔만 사용.
- KL2 / VL2: 노를 젓는 데 팔과 몸을 사용.
- KL3 / VL3: 노를 젓는 데 팔, 몸, 다리를 모두 사용.
메달 집계
메달리스트
KL1
KL1 분류는 다리를 움직일 수 없고, 몸을 움직일 수 없거나 거의 움직이지 못하는 선수를 가리킨다.[8]
- 남자
- 여자
KL2
KL2 분류는 다리와 몸을 일부 움직일 수 있는 선수를 가리킨다. KL2로 분류된 선수는 카약에 정자세로 앉을 수 있어야 한다. 이 때 등받이를 사용할 수 있다.[9]
- 남자
- 여자
KL3
KL3 분류는 몸을 움직일 수 있고 다리를 일부 움직일 수 있는 선수를 가리킨다.[10]
- 남자
- 여자
VL2
VL2 분류는 KL2 분류와 같으나 바(Va'a) 카누를 타는 선수를 가리킨다.
- 남자
- 여자
VL3
VL3 분류는 KL3 분류와 같으나 바(Va'a) 카누를 타는 선수를 가리킨다. 일부 KL2 선수는 현외 장치가 있는 카누를 안정하게 탑승함으로서 이 분류를 받기도 한다.
- 남자
- 여자
다수 메달 획득 선수
2021년 기준[update] 패럴림픽 패러카누에서 메달 2개 이상을 획득한 선수는 다음과 같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