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호노프 공간
일반위상수학 에서 티호노프 공간 (Тихонов空間, 영어 : Tychonoff space ) 또는 T3½ 공간 (영어 : T 3½ space )은 점과 닫힌집합 을 연속 함수 로 분리할 수 있는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며, 이는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의 부분 공간 인 조건과 동치 이다.
정의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위상 공간을 완비 정칙 공간 (完備正則空間, 영어 : completely regular space )이라고 한다.
(점과 닫힌집합 의 실함수를 통한 분리) 임의의 닫힌집합
C
⊆ ⊆ -->
X
{\displaystyle C\subseteq X}
및
x
∈ ∈ -->
X
∖ ∖ -->
C
{\displaystyle x\in X\setminus C}
에 대하여,
f
(
x
)
=
0
{\displaystyle f(x)=0}
이며
f
(
C
)
=
{
1
}
{\displaystyle f(C)=\{1\}}
인 연속 함수
f
: : -->
X
→ → -->
[
0
,
1
]
{\displaystyle f\colon X\to [0,1]}
이 존재한다.[ 1] :231
X
{\displaystyle X}
의 위상은 어떤 연속 함수 들의 집합
F
⊆ ⊆ -->
C
(
X
,
R
)
{\displaystyle {\mathcal {F}}\subseteq {\mathcal {C}}(X,\mathbb {R} )}
에 대한 시작 위상 이다.[ 2] :40, Theorem 3.6–3.7 [ 3] :48, Exercise 1.5.E, (a)
X
{\displaystyle X}
의 위상은 연속 함수 의 집합
C
(
X
,
R
)
{\displaystyle {\mathcal {C}}(X,\mathbb {R} )}
에 대한 시작 위상 이다.[ 2] :40, Theorem 3.6
X
{\displaystyle X}
의 위상은 유계 연속 함수 의 집합
C
bd
(
X
;
R
)
{\displaystyle {\mathcal {C}}_{\text{bd}}(X;\mathbb {R} )}
에 대한 시작 위상 이다.[ 2] :40, Theorem 3.6
(균등화 가능성 영어 : uniformizability )
X
{\displaystyle X}
위에 그 위상과 호환되는 균등 공간 구조가 존재한다.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위상 공간을 티호노프 공간 이라고 한다.
X
{\displaystyle X}
는 콜모고로프 공간 이며 완비 정칙 공간이다.
X
{\displaystyle X}
는 T1 공간 이며 완비 정칙 공간이다.[ 1] :231
X
{\displaystyle X}
는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며 완비 정칙 공간이다.
X
{\displaystyle X}
는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의 부분 집합 과 위상 동형 이다.[ 1] :231
X
{\displaystyle X}
는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의 조밀 집합 과 위상 동형 이다.[ 1] :231
X
{\displaystyle X}
는
[
0
,
1
]
C
(
X
,
[
0
,
1
]
)
{\displaystyle [0,1]^{{\mathcal {C}}(X,[0,1])}}
의 부분 집합과 위상동형 이다.[ 1] :231 여기서
C
(
X
,
Y
)
{\displaystyle {\mathcal {C}}(X,Y)}
는
X
{\displaystyle X}
에서
Y
{\displaystyle Y}
로 가는 연속 함수 들의 집합 이며,
[
0
,
1
]
C
(
X
,
[
0
,
1
]
)
{\displaystyle [0,1]^{{\mathcal {C}}(X,[0,1])}}
는 표준 위상을 부여한 단위 구간
[
0
,
1
]
{\displaystyle [0,1]}
의
|
C
(
X
,
[
0
,
1
]
)
|
{\displaystyle |{\mathcal {C}}(X,[0,1])|}
개 만큼의 곱공간 이다. 이는 티호노프 정리 에 의하여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다.
X
{\displaystyle X}
에서 그 스톤-체흐 콤팩트화
β β -->
X
{\displaystyle \beta X}
로 가는 연속 함수
ι ι -->
: : -->
X
→ → -->
β β -->
X
{\displaystyle \iota \colon X\to \beta X}
에 대하여,
X
{\displaystyle X}
는 그 상 과 위상 동형 이다.
X
{\displaystyle X}
위에, 그 위상과 호환되는 하우스도르프 균등 공간 구조가 존재한다.
성질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1] :231–232
정규 하우스도르프 공간 (T4 ) ⊊ 티호노프 공간(T3½ ) ⊊ (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 (T3 ) ∩ 완비 하우스도르프 공간 )
완비 정칙 공간의 부분 공간 은 완비 정칙 공간이다. 완비 정칙 공간의 임의 개수 곱공간 은 완비 정칙 공간이다.[ 4] :141 [ 5] :211 하우스도르프 공간 의 부분 공간 과 곱공간 은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므로, 티호노프 공간의 부분 공간 과 임의 개수 곱공간 역시 티호노프 공간이다.
완비 정칙 공간
X
{\displaystyle X}
와 그 부분 공간
Y
⊆ ⊆ -->
X
{\displaystyle Y\subseteq X}
가 주어졌다고 하자. 닫힌집합
C
⊆ ⊆ -->
Y
{\displaystyle C\subseteq Y}
및
y
∈ ∈ -->
Y
∖ ∖ -->
F
{\displaystyle y\in Y\setminus F}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C
=
F
∩ ∩ -->
Y
{\displaystyle C=F\cap Y}
인 닫힌집합
F
⊆ ⊆ -->
X
{\displaystyle F\subseteq X}
가 존재하며, 이에 대하여
f
(
y
)
=
0
{\displaystyle f(y)=0}
,
f
(
F
)
=
{
1
}
{\displaystyle f(F)=\{1\}}
인 연속 함수
f
: : -->
X
→ → -->
[
0
,
1
]
{\displaystyle f\colon X\to [0,1]}
이 존재한다.
g
=
f
↾ ↾ -->
Y
{\displaystyle g=f\upharpoonright Y}
라고 하자. 그렇다면
g
{\displaystyle g}
는 연속 함수 이며,
g
(
y
)
=
0
{\displaystyle g(y)=0}
및
g
(
C
)
=
{
1
}
{\displaystyle g(C)=\{1\}}
을 만족시킨다.
완비 정칙 공간들의 집합
{
X
i
}
i
∈ ∈ -->
I
{\displaystyle \{X_{i}\}_{i\in I}}
가 주어졌다고 하자. 곱공간
X
=
∏ ∏ -->
i
∈ ∈ -->
I
X
i
{\displaystyle X=\textstyle \prod _{i\in I}X_{i}}
의 닫힌집합
C
{\displaystyle C}
및
x
∈ ∈ -->
X
∖ ∖ -->
C
{\displaystyle x\in X\setminus C}
가 주어졌다고 하자. 다음과 같은
x
{\displaystyle x}
의 열린 근방
∏ ∏ -->
i
∈ ∈ -->
I
U
i
{\displaystyle \textstyle \prod _{i\in I}U_{i}}
를 취하자.
x
∈ ∈ -->
∏ ∏ -->
i
∈ ∈ -->
I
U
i
⊆ ⊆ -->
X
∖ ∖ -->
C
{\displaystyle x\in \prod _{i\in I}U_{i}\subseteq X\setminus C}
U
i
∈ ∈ -->
Open
-->
(
X
i
)
{\displaystyle U_{i}\in \operatorname {Open} (X_{i})}
U
i
=
X
i
∀ ∀ -->
i
∈ ∈ -->
I
∖ ∖ -->
{
i
(
1
)
,
… … -->
,
i
(
n
)
}
{\displaystyle U_{i}=X_{i}\qquad \forall i\in I\setminus \{i(1),\dotsc ,i(n)\}}
그렇다면 각
j
∈ ∈ -->
{
1
,
… … -->
,
n
}
{\displaystyle j\in \{1,\dotsc ,n\}}
에 대하여,
f
j
(
x
i
(
j
)
)
=
0
{\displaystyle f_{j}(x_{i(j)})=0}
,
f
j
(
X
i
(
j
)
∖ ∖ -->
U
i
(
j
)
)
=
{
1
}
{\displaystyle f_{j}(X_{i(j)}\setminus U_{i(j)})=\{1\}}
인 연속 함수
f
j
: : -->
X
i
(
j
)
→ → -->
[
0
,
1
]
{\displaystyle f_{j}\colon X_{i(j)}\to [0,1]}
이 존재한다.
g
: : -->
X
→ → -->
[
0
,
1
]
{\displaystyle g\colon X\to [0,1]}
g
: : -->
y
↦ ↦ -->
1
− − -->
(
1
− − -->
f
1
(
y
i
(
1
)
)
)
⋯ ⋯ -->
(
1
− − -->
f
n
(
y
i
(
n
)
)
)
{\displaystyle g\colon y\mapsto 1-(1-f_{1}(y_{i(1)}))\cdots (1-f_{n}(y_{i(n)}))}
라고 하자. 그렇다면
g
{\displaystyle g}
는 연속 함수 이며,
g
(
x
)
=
0
{\displaystyle g(x)=0}
및
g
(
C
)
=
{
1
}
{\displaystyle g(C)=\{1\}}
을 만족시킨다.
예
티호노프 공간이 아닌 정칙 완비 하우스도르프 공간
티호노프 공간이 아닌 정칙 (완비) 하우스도르프 공간의 구성은 복잡한 편이다. 한 가지 간단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집합
X
=
{
(
0
,
− − -->
1
)
}
∪ ∪ -->
R
× × -->
[
0
,
∞ ∞ -->
)
{\displaystyle X=\{(0,-1)\}\cup \mathbb {R} \times [0,\infty )}
위에 각 점이 다음과 같은 국소 기저 를 갖는 위상을 주자.
모든
(
x
,
y
)
∈ ∈ -->
R
× × -->
(
0
,
∞ ∞ -->
)
{\displaystyle (x,y)\in \mathbb {R} \times (0,\infty )}
은 고립점 이다 (즉,
{
(
x
,
y
)
}
{\displaystyle \{(x,y)\}}
는
(
x
,
y
)
{\displaystyle (x,y)}
의 열린 근방 이다).
(
x
,
0
)
∈ ∈ -->
R
× × -->
{
0
}
{\displaystyle (x,0)\in \mathbb {R} \times \{0\}}
및 유한 집합
F
{\displaystyle F}
에 대하여,
(
{
x
}
× × -->
[
0
,
2
]
∪ ∪ -->
{
(
x
+
y
,
y
)
: : -->
y
∈ ∈ -->
[
0
,
2
]
}
)
∖ ∖ -->
F
{\displaystyle (\{x\}\times [0,2]\cup \{(x+y,y)\colon y\in [0,2]\})\setminus F}
는
(
x
,
0
)
{\displaystyle (x,0)}
의 열린 근방 이다.
n
∈ ∈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에 대하여,
{
(
0
,
− − -->
1
)
}
∪ ∪ -->
[
n
,
∞ ∞ -->
)
× × -->
R
{\displaystyle \{(0,-1)\}\cup [n,\infty )\times \mathbb {R} }
는
(
0
,
− − -->
1
)
{\displaystyle (0,-1)}
의 열린 근방 이다.
그렇다면,
X
{\displaystyle X}
는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며, 완비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며, 정칙 공간 이지만, 티호노프 공간이 아니다.[ 6] [ 3] :40, Example 1.5.9
X
{\displaystyle X}
가 하우스도르프 공간 임은 정의에 따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완비 하우스도르프 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서로 다른 두 점
(
x
,
y
)
,
(
x
′
,
y
′
)
∈ ∈ -->
X
{\displaystyle (x,y),(x',y')\in X}
가 주어졌다고 하자. 편의상
(
x
,
y
)
≠ ≠ -->
(
0
,
− − -->
1
)
{\displaystyle (x,y)\neq (0,-1)}
이라고 하자. 하우스도르프 조건에 따라,
U
{\displaystyle U}
와
V
{\displaystyle V}
가
(
x
,
y
)
{\displaystyle (x,y)}
와
(
x
′
,
y
′
)
{\displaystyle (x',y')}
의 서로소 국소 기저 원소라고 하자. 그렇다면,
U
{\displaystyle U}
는 열린닫힌집합 이다. 따라서, 지시 함수
1
U
: : -->
X
→ → -->
[
0
,
1
]
{\displaystyle 1_{U}\colon X\to [0,1]}
은 연속 함수 이며,
(
x
,
y
)
{\displaystyle (x,y)}
와
(
x
′
,
y
′
)
{\displaystyle (x',y')}
을 분리한다.
이제,
X
{\displaystyle X}
의 정칙성을 확인하자.
(
x
,
y
)
∈ ∈ -->
R
× × -->
[
0
,
∞ ∞ -->
)
{\displaystyle (x,y)\in \mathbb {R} \times [0,\infty )}
의 국소 기저 원소들은 열린닫힌집합 이므로, 임의의
(
x
,
y
)
∈ ∈ -->
R
× × -->
[
0
,
∞ ∞ -->
)
{\displaystyle (x,y)\in \mathbb {R} \times [0,\infty )}
는 이를 포함하지 않는 닫힌집합 과 서로소 근방을 통해 분리된다. 따라서,
(
0
,
− − -->
1
)
{\displaystyle (0,-1)}
과
(
0
,
− − -->
1
)
∉
F
{\displaystyle (0,-1)\not \in F}
인 임의의 닫힌집합
F
{\displaystyle F}
를 서로소 근방으로 분리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
{
(
0
,
− − -->
1
)
}
∪ ∪ -->
[
n
,
∞ ∞ -->
)
)
∩ ∩ -->
F
=
∅ ∅ -->
{\displaystyle (\{(0,-1)\}\cup [n,\infty ))\cap F=\varnothing }
인
n
∈ ∈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을 취하자. 그렇다면
U
=
{
(
0
,
− − -->
1
)
}
∪ ∪ -->
[
n
+
2
,
∞ ∞ -->
)
× × -->
R
{\displaystyle U=\{(0,-1)\}\cup [n+2,\infty )\times \mathbb {R} }
V
=
X
∖ ∖ -->
(
{
(
0
,
− − -->
1
)
}
∪ ∪ -->
[
n
+
2
,
∞ ∞ -->
)
× × -->
R
∪ ∪ -->
[
n
,
n
+
2
]
× × -->
{
0
}
)
{\displaystyle V=X\setminus (\{(0,-1)\}\cup [n+2,\infty )\times \mathbb {R} \cup [n,n+2]\times \{0\})}
는 각각
(
0
,
− − -->
1
)
{\displaystyle (0,-1)}
와
F
{\displaystyle F}
의 열린 근방 이며,
U
∩ ∩ -->
V
=
∅ ∅ -->
{\displaystyle U\cap V=\varnothing }
이다.
이제,
X
{\displaystyle X}
가 티호노프 공간이 아님을 보이자.
[
0
,
1
]
× × -->
{
0
}
{\displaystyle [0,1]\times \{0\}}
은 닫힌집합 이며,
(
0
,
− − -->
1
)
∉
[
0
,
1
]
× × -->
{
0
}
{\displaystyle (0,-1)\not \in [0,1]\times \{0\}}
이다.
f
(
[
0
,
1
]
× × -->
{
0
}
)
=
{
0
}
{\displaystyle f([0,1]\times \{0\})=\{0\}}
인 연속 함수
f
: : -->
X
→ → -->
R
{\displaystyle f\colon X\to \mathbb {R} }
가 항상
f
(
(
0
,
− − -->
1
)
)
=
0
{\displaystyle f((0,-1))=0}
을 만족시킴을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각
n
∈ ∈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에 대하여
K
n
=
f
− − -->
1
(
0
)
∩ ∩ -->
(
[
n
,
n
+
1
]
× × -->
{
0
}
)
{\displaystyle K_{n}=f^{-1}(0)\cap ([n,n+1]\times \{0\})}
이 무한 집합 임을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수학적 귀납법 을 사용하여, 가산 무한 집합
C
⊆ ⊆ -->
K
n
{\displaystyle C\subseteq K_{n}}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
c
,
0
)
∈ ∈ -->
C
{\displaystyle (c,0)\in C}
에 대하여,
{
(
c
+
y
,
y
)
: : -->
y
∈ ∈ -->
[
0
,
2
]
}
∖ ∖ -->
f
− − -->
1
(
0
)
=
⋃ ⋃ -->
i
=
1
∞ ∞ -->
{
(
c
+
y
,
y
)
: : -->
y
∈ ∈ -->
[
0
,
2
]
}
∖ ∖ -->
f
− − -->
1
(
(
− − -->
1
/
i
,
1
/
i
)
)
{\displaystyle \{(c+y,y)\colon y\in [0,2]\}\setminus f^{-1}(0)=\bigcup _{i=1}^{\infty }\{(c+y,y)\colon y\in [0,2]\}\setminus f^{-1}((-1/i,1/i))}
는 가산 개의 유한 집합 의 합집합이므로 가산 집합 이다.
C
{\displaystyle C}
가 가산 집합 이므로,
P
=
{
(
x
,
0
)
: : -->
(
x
,
y
)
∈ ∈ -->
⋃ ⋃ -->
c
∈ ∈ -->
C
{
(
c
+
y
,
y
)
: : -->
y
∈ ∈ -->
[
0
,
2
]
}
∖ ∖ -->
f
− − -->
1
(
0
)
}
{\displaystyle P=\left\{(x,0)\colon (x,y)\in \bigcup _{c\in C}\{(c+y,y)\colon y\in [0,2]\}\setminus f^{-1}(0)\right\}}
은 가산 집합 이며,
(
[
n
+
1
,
n
+
2
]
× × -->
{
0
}
)
∖ ∖ -->
P
{\displaystyle ([n+1,n+2]\times \{0\})\setminus P}
는 무한 집합 이다. 임의의
(
x
,
0
)
∈ ∈ -->
(
[
n
+
1
,
n
+
2
]
× × -->
{
0
}
)
∖ ∖ -->
P
{\displaystyle (x,0)\in ([n+1,n+2]\times \{0\})\setminus P}
및
(
c
,
0
)
∈ ∈ -->
C
{\displaystyle (c,0)\in C}
에 대하여,
{
x
}
× × -->
[
0
,
2
]
{\displaystyle \{x\}\times [0,2]}
와
{
(
c
+
y
,
y
)
: : -->
y
∈ ∈ -->
[
0
,
2
]
}
{\displaystyle \{(c+y,y)\colon y\in [0,2]\}}
의 교점은
f
− − -->
1
(
0
)
{\displaystyle f^{-1}(0)}
에 속한다.
C
{\displaystyle C}
가 무한 집합 이므로,
(
x
,
0
)
{\displaystyle (x,0)}
의 모든 근방은
f
− − -->
1
(
0
)
{\displaystyle f^{-1}(0)}
의 점을 포함한다.
f
{\displaystyle f}
의
(
x
,
0
)
{\displaystyle (x,0)}
에서의 연속성에 따라
f
(
(
x
,
0
)
)
=
0
{\displaystyle f((x,0))=0}
이다. 즉,
(
[
n
+
1
,
n
+
2
]
× × -->
{
0
}
)
∖ ∖ -->
P
⊆ ⊆ -->
K
n
+
1
{\displaystyle ([n+1,n+2]\times \{0\})\setminus P\subseteq K_{n+1}}
이며,
K
n
+
1
{\displaystyle K_{n+1}}
은 무한 집합 이다.
정규 공간이 아닌 티호노프 공간
니미츠키 평면 (영어 : Niemytzki plane )은 닫힌 상반평면
R
× × -->
[
0
,
∞ ∞ -->
)
{\displaystyle \mathbb {R} \times [0,\infty )}
위에, 그 통상적인 열린집합 들과 다음과 같은 꼴의 집합들을 기저 로 하는 위상을 부여한 위상 공간 이다.
{
x
}
∪ ∪ -->
ball
-->
(
x
+
(
0
,
ϵ ϵ -->
)
,
ϵ ϵ -->
)
(
x
∈ ∈ -->
R
× × -->
{
0
}
,
ϵ ϵ -->
>
0
)
{\displaystyle \{x\}\cup \operatorname {ball} (x+(0,\epsilon ),\epsilon )\qquad (x\in \mathbb {R} \times \{0\},\;\epsilon >0)}
즉, 추가된 열린집합 들은 상반평면의 경계선에 접하는 (통상적인 거리 함수 에 대한) 열린 원판 과 그 접점의 합집합들이다.
니미츠키 평면은 티호노프 공간이며, 모든 닫힌집합 이 Gδ 집합 이지만, 정규 공간 이 아니다.[ 7] :101, 82.2–82.3 [ 3] :41, Example 1.5.10; 48, Exercise 1.5.H, (a)
니미츠키 평면이 하우스도르프 공간 임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완비 정칙 조건을 확인하자. 위상 공간 의 부분 기저
S
{\displaystyle {\mathcal {S}}}
가 주어졌을 때, 완비 정칙 조건은 임의의
S
∈ ∈ -->
S
{\displaystyle S\in {\mathcal {S}}}
와
s
∈ ∈ -->
S
{\displaystyle s\in S}
에 대하여,
s
{\displaystyle s}
와
S
{\displaystyle S}
의 여집합이 실함수를 통해 분리되는 것과 동치 이다.
R
× × -->
[
0
,
∞ ∞ -->
)
{\displaystyle \mathbb {R} \times [0,\infty )}
는 통상적인 위상을 주었을 때 티호노프 공간이며, 니미츠키 평면의 위상은 통상적인 위상보다 섬세하므로, 모든 통상적인 열린집합 의 점과 그 여집합은 실함수를 통해 분리된다. 임의의
x
∈ ∈ -->
R
× × -->
{
0
}
{\displaystyle x\in \mathbb {R} \times \{0\}}
및
ϵ ϵ -->
>
0
{\displaystyle \epsilon >0}
에 대하여,
y
∈ ∈ -->
ball
-->
(
x
+
(
0
,
ϵ ϵ -->
)
,
ϵ ϵ -->
)
{\displaystyle y\in \operatorname {ball} (x+(0,\epsilon ),\epsilon )}
과
R
× × -->
[
0
,
∞ ∞ -->
)
∖ ∖ -->
ball
-->
(
x
+
(
0
,
ϵ ϵ -->
)
,
ϵ ϵ -->
)
{\displaystyle \mathbb {R} \times [0,\infty )\setminus \operatorname {ball} (x+(0,\epsilon ),\epsilon )}
이 실함수를 통해 분리되므로,
y
{\displaystyle y}
와
R
× × -->
[
0
,
∞ ∞ -->
)
∖ ∖ -->
(
{
x
}
∪ ∪ -->
ball
-->
(
x
+
(
0
,
ϵ ϵ -->
)
,
ϵ ϵ -->
)
)
{\displaystyle \mathbb {R} \times [0,\infty )\setminus (\{x\}\cup \operatorname {ball} (x+(0,\epsilon ),\epsilon ))}
역시 같은 실함수를 통해 분리된다. 따라서, 임의의
x
∈ ∈ -->
R
× × -->
{
0
}
{\displaystyle x\in \mathbb {R} \times \{0\}}
및
ϵ ϵ -->
>
0
{\displaystyle \epsilon >0}
에 대하여,
f
(
x
)
=
0
{\displaystyle f(x)=0}
f
(
R
× × -->
[
0
,
∞ ∞ -->
)
∖ ∖ -->
(
{
x
}
∪ ∪ -->
ball
-->
(
x
+
(
0
,
ϵ ϵ -->
)
,
ϵ ϵ -->
)
)
)
=
{
1
}
{\displaystyle f(\mathbb {R} \times [0,\infty )\setminus (\{x\}\cup \operatorname {ball} (x+(0,\epsilon ),\epsilon )))=\{1\}}
인 연속 함수
f
: : -->
R
× × -->
[
0
,
∞ ∞ -->
)
→ → -->
[
0
,
1
]
{\displaystyle f\colon \mathbb {R} \times [0,\infty )\to [0,1]}
를 찾으면 충분하다. 편의상
x
=
0
{\displaystyle x=0}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f
: : -->
y
↦ ↦ -->
1
/
inf
{
t
∈ ∈ -->
[
1
,
∞ ∞ -->
)
: : -->
t
y
∉
{
0
}
∪ ∪ -->
ball
-->
(
(
0
,
ϵ ϵ -->
)
,
ϵ ϵ -->
)
}
{\displaystyle f\colon y\mapsto 1/\inf\{t\in [1,\infty )\colon ty\not \in \{0\}\cup \operatorname {ball} ((0,\epsilon ),\epsilon )\}}
는 원하는 조건을 만족시킨다.
이제, 니미츠키 평면의 열린집합
U
⊆ ⊆ -->
R
× × -->
[
0
,
∞ ∞ -->
)
{\displaystyle U\subseteq \mathbb {R} \times [0,\infty )}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U
∩ ∩ -->
(
R
× × -->
(
0
,
∞ ∞ -->
)
)
{\displaystyle U\cap (\mathbb {R} \times (0,\infty ))}
는
R
× × -->
(
0
,
∞ ∞ -->
)
{\displaystyle \mathbb {R} \times (0,\infty )}
의 열린집합 이며, 따라서 가산 개의 (통상적 거리 함수 에 대한) 열린 공 들의 합집합이다. 각 열린 공은 가산 개의 닫힌 공 들의 합집합이며, 닫힌 공은 니미츠키 평면의 닫힌집합 이므로,
U
∩ ∩ -->
(
R
× × -->
(
0
,
∞ ∞ -->
)
)
{\displaystyle U\cap (\mathbb {R} \times (0,\infty ))}
는 Fσ 집합 이다.
R
× × -->
{
0
}
{\displaystyle \mathbb {R} \times \{0\}}
의 모든 부분 집합은 니미츠키 평면의 닫힌집합 이며, 특히
U
∩ ∩ -->
(
R
× × -->
{
0
}
)
{\displaystyle U\cap (\mathbb {R} \times \{0\})}
은 닫힌집합 이다. 따라서
U
{\displaystyle U}
는 Fσ 집합 이다.
이제, 니미츠키 평면이 정규 공간 이 아님을 증명하자. 귀류법 을 사용하여, 니미츠키 평면이 정규 공간 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임의의
A
⊆ ⊆ -->
R
× × -->
{
0
}
{\displaystyle A\subseteq \mathbb {R} \times \{0\}}
가 주어졌다고 하자.
A
{\displaystyle A}
와
(
R
× × -->
{
0
}
)
∖ ∖ -->
A
{\displaystyle (\mathbb {R} \times \{0\})\setminus A}
는 모두 닫힌집합 이므로, 서로소 열린 근방
U
A
{\displaystyle U_{A}}
와
V
A
{\displaystyle V_{A}}
를 갖는다. 함수
P
(
R
× × -->
{
0
}
)
→ → -->
P
(
Q
× × -->
(
(
0
,
1
)
∩ ∩ -->
Q
)
)
{\displaystyle {\mathcal {P}}(\mathbb {R} \times \{0\})\to {\mathcal {P}}(\mathbb {Q} \times ((0,1)\cap \mathbb {Q} ))}
A
↦ ↦ -->
U
A
∩ ∩ -->
(
Q
× × -->
(
(
0
,
1
)
∩ ∩ -->
Q
)
)
{\displaystyle A\mapsto U_{A}\cap (\mathbb {Q} \times ((0,1)\cap \mathbb {Q} ))}
를 생각하자.
A
,
B
⊆ ⊆ -->
R
× × -->
{
0
}
{\displaystyle A,B\subseteq \mathbb {R} \times \{0\}}
이며
A
∖ ∖ -->
B
≠ ≠ -->
∅ ∅ -->
{\displaystyle A\setminus B\neq \varnothing }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A
∖ ∖ -->
B
⊆ ⊆ -->
U
A
∩ ∩ -->
V
B
{\displaystyle A\setminus B\subseteq U_{A}\cap V_{B}}
이며,
Q
× × -->
(
(
0
,
1
)
∩ ∩ -->
Q
)
{\displaystyle \mathbb {Q} \times ((0,1)\cap \mathbb {Q} )}
가 조밀 집합 이므로,
∅ ∅ -->
≠ ≠ -->
U
A
∩ ∩ -->
V
B
∩ ∩ -->
(
Q
× × -->
(
(
0
,
1
)
∩ ∩ -->
Q
)
)
⊆ ⊆ -->
(
U
A
∩ ∩ -->
(
Q
× × -->
(
(
0
,
1
)
∩ ∩ -->
Q
)
)
)
∖ ∖ -->
(
U
B
∩ ∩ -->
(
Q
× × -->
(
(
0
,
1
)
∩ ∩ -->
Q
)
)
)
{\displaystyle \varnothing \neq U_{A}\cap V_{B}\cap (\mathbb {Q} \times ((0,1)\cap \mathbb {Q} ))\subseteq (U_{A}\cap (\mathbb {Q} \times ((0,1)\cap \mathbb {Q} )))\setminus (U_{B}\cap (\mathbb {Q} \times ((0,1)\cap \mathbb {Q} )))}
이다. 이에 따라, 위 함수는 단사 함수 이며,
2
2
ℵ ℵ -->
0
=
|
P
(
R
× × -->
{
0
}
)
|
≤ ≤ -->
|
P
(
Q
× × -->
(
(
0
,
1
)
∩ ∩ -->
Q
)
)
|
=
2
ℵ ℵ -->
0
{\displaystyle 2^{2^{\aleph _{0}}}=|{\mathcal {P}}(\mathbb {R} \times \{0\})|\leq |{\mathcal {P}}(\mathbb {Q} \times ((0,1)\cap \mathbb {Q} ))|=2^{\aleph _{0}}}
이다. 이는 모순이다.
역사
안드레이 티호노프 의 이름이 붙어 있다.
같이 보기
각주
↑ 가 나 다 라 마 바 유정옥 (2013). 《알기쉬운 위상수학》 2판. 교우사. ISBN 978-89-8172-528-0 .
↑ 가 나 다 Gillman, Leonard; Jerison, Meyer (1976). 《Rings of continuous function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43 Reprint ofe 1960 Van Nora판. New York - Heidelberg - Berlin: Springer-Verlag. doi :10.1007/978-1-4615-7819-2 . ISBN 978-0-387-90198-5 . MR 0407579 . Zbl 0327.46040 .
↑ 가 나 다 Engelking, Ryszard (1989). 《General topology》. Sigma Series in Pure Mathematics (영어) 6 개정 완결판. Berlin: Heldermann Verlag. ISBN 3-88538-006-4 . MR 1039321 . Zbl 0684.54001 .
↑ James, I. M. (1987). 《Topological and Uniform Spaces》 . Under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New York, NY: Springer-Verlag. doi :10.1007/978-1-4612-4716-6 . ISBN 978-1-4612-9128-2 . ISSN 0172-6056 . Zbl 0625.54001 .
↑ Munkres, James R. (2000). 《Topology》 (영어) 2판. Prentice Hall. ISBN 978-0-13-181629-9 . MR 0464128 . Zbl 0951.54001 .
↑ Mysior, A. (1981). “A regular space which is not completely regular”.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81 (4): 652–653. doi :10.2307/2044178 . ISSN 0002-9939 . MR 0601748 . Zbl 0451.54019 .
↑ Steen, Lynn Arthur; Seebach, J. Arthur Jr. (1978) [1970]. 《Counterexamples in Topology》 (영어) 2판. New York, NY: Springer-Verlag. doi :10.1007/978-1-4612-6290-9 . ISBN 978-0-387-90312-5 . MR 507446 . Zbl 0386.54001 .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