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글랜드 국교회(영어: Church of England) 또는 잉글랜드 성공회는 잉글랜드의 국교로 헨리 8세가 1532년에서 1536년 사이 로마 가톨릭을 벗어난 독자적인 성공회를 표방하며 성립되었다.[1]잉글랜드 교회라고도 부른다.
영국은 연합 왕국으로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 등은 독자적 의회와 사법 기관을 갖고 있어 잉글랜드 성공회의 국교 지위는 잉글랜드 내로만 한정되며 영국 전체의 공식 종교는 기독교로 북아일랜드의 다수 종교인 로마 가톨릭과 스코틀랜드의 국교인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역시 공식 종교에 포함된다.[2] 잉글랜드 성공회는 영국 상원에 26명의 성직 의원이 배정되어 국가 종교로서의 지위를 드러내고 있다.[3] 헨리 8세의 수장령 이후 잉글랜드의 군주가 잉글랜드 성공회의 수장을 겸하고 있으며 2023년 5월 6일 찰스 3세가 대관식을 치름으로써 공식적인 잉글랜드 성공회의 수장직을 계승하였다.[4] 군주의 수장직은 상징적 지위이고, 실제 잉글랜드 성교회의 총괄은 캔터베리 대주교가 맞는다. 2023년 현재 캔터베리 대주교는 저스틴 웰비이다.[5] 캔터베리 대주교는 당연직으로 영국 상원에 소속된다.
잉글랜드 성공회의 성립은 잉글랜드의 종교개혁에 따른 결과이다. 헨리 8세는 아라곤의 캐서린과 이혼이 교황 클레멘스 7세에 의해 거부되자 잉글랜드 교회를 로마 가톨릭에서 분리하여 독자적 교회로 선언하고 자신을 수장으로 하는 수장령을 선포하였다. 이후 클레멘스 7세는 헨리 8세를 파문하였으나 이전의 다른 군주에 대한 파문들과 달리 별다른 실효를 거두지는 못했다. 가톨릭은 잉글랜드 성공회의 성립을 헨리 8세의 정치적 목적에 따른 교회의 분열로 파악하지만[6] 성공회 측은 잉글랜드의 기독교 역사 초창기 부터 있었던 독립적 전통이 바탕에 있었음을 강조한다.[7] 잉글랜드 성공회는 성립 이후에도 가톨릭의 의례와 교리를 유지하였으나 에드워드 6세 시기부터 가톨릭의 의례에서 벗어나기 시작하였고 뒤를 이은 메리 1세의 가톨릭 복귀 시도가 실패한 가운데 그 뒤의 엘리자베스 1세가 잉글랜드 성공회의 의례들을 정비하였다.[8] 엘리자베스 1세의 성공회 신조와 의례 정비는 로마 가톨릭과 당시 유럽에서 한창 진행중이던 개신교의 종교 개혁을 절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9]
잉글랜드는 성공회를 국교로 선포한 뒤 한 동안 다른 믿음을 허용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많은 갈등과 폭력적 대립이 있었다. 찰스 1세 시기 개신교인 청교도가 주축이 되어 발생한 잉글랜드 내전은 결국 찰스 1세를 처형하고 공화국을 선포하였으며, 올리버 크롬웰의 사후 왕정 복고로 잉글랜드의 왕위에 오른 찰스 2세는 잉글랜드 성공회의 수장이 되었으나 즉위 전 자신이 지니고 있던 로마 가톨릭 신앙을 보호하고자 1672년 종교 관용령을 선포하였다. 이를 가톨릭 복귀 시도로 파악한 영국 의회는 이듬해인 1673년 심사율을 의결하고 국왕의 선포를 강제하여 잉글랜드 성공회 신자만이 공직을 맡을 수 있도록 하였다.[10] 심사율은 기독교 의례의 핵심 가운데 하나인 성찬례에서 밀병과 포도주의 성변화에 대한 로마 가톨릭과 성공회 사이의 해석 차이를 확인하는 것으로 공직에 임명되는 사람은 서면으로 자신이 로마 가톨릭의 해석을 따르지 않는다고 확인하여야 하였다. 심사율에 따른 공직 제한은 이후 잉글랜드 내에서 19세기 까지도 유지되면서 많은 사회적 갈등을 일으켰고 1828년에 이르러서야 폐지되었다.[11]
오늘날 영국에서 기독교 신자의 비율은 계속하여 내려가 2021년 잉글랜드-웨일스 인구 센서스에서 처음으로 과반에 미치지 못하였고 이 때문에 잉글랜드 내에서는 성공회의 국교 지위 폐지 주장이 나오기도 하였다.[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