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행성 탐색시스템(KMTNet, Korean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은 대한민국한국천문연구원이 주관하고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2009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천체관측 사업이다. 이는 대한민국이 기존 국가의 관측사업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형태이다.[1]
상세
지구와 비슷한 외계행성을 발견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나 초신성, 소행성, 외부은하 등의 연구도 함께 병행한다. 구체적인 관측소 위치는 아래와 같다.[2]
3개국에 다중 설치하는 이유는 24시간동안 중단 없이 우리은하 중심부를 관측하기 위해서이다. 관측용 도구는 지름 1.6 미터 거울이 장착된 광시야망원경과 3.4억 화소의 초대형 모자이크 CCD 카메라이며, 행성 감지에 사용하는 기술은 미시중력렌즈법이다.[2] 한국천문연구원은 시스템 구축을 통해 1년에 약 200개 정도의 신규 행성을 찾아낼 것으로 예측하였다.[3] 하루에 생산 가능한 자료의 양은 600기가바이트로 1년 처리량은 500테라바이트에 이르며, 이는 연간 수 억 개 천체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 가능한 양이다.[4] 기존 시스템이 2~4 시간에 1회 빈도로 관측자료를 얻었던 것에 비해 KMTNet은 10분에 1회 자료를 받는 수준으로 질적 향상을 보였다.[5]
경과
2014년 7월 남아프리카공화국, 동년 9월 칠레, 10월 오스트레일리아에 각각 KMTNet 관측시설이 설치되었다.[3]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관측활동을 시작했다.[1] 같은 해 10월 2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소식이 열렸다.[6] 같은 해 12월 1일, 외계행성 탐색시스템의 시험 관측 도중 얻어진 자료를 활용한 결과가 미국 천체물리학회지에 게재되었다.[7]
2016년 7월 28일 한국천문연구원의 보도자료[8]에 따르면 외계행성 탐색시스템을 이용해 2개의 외계행성(OGLE-2015-BLG-0954Lb 그리고 OGLE-2015-BLG-0051Lb)을 연속 발견했다고 한다. OGLE-2015-BLG-0954Lb는 목성 질량의 4배 정도 되는 행성으로 지구로부터 2,000광년 떨어져있으며[9], OGLE-2015-BLG-0051Lb는 목성 질량의 0.7배 정도의 질량을 가지며 지구로부터 27,000광년 떨어져있다[10]. 이번 발표로 인해 몇몇 시민들은 외계행성 이름 명명법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됐고, 외계행성 명명법에 대한 한국천문연구원의 답변이다.
2017년 4월 27일, 한국천문연구원은 외계행성 탐색시스템과 미국항공우주국의 스피처 우주망원경의 공동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질량 및 중심별로부터 거리가 지구와 비슷한 외계행성인 OGLE-2016-BLG-1195Lb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11][12]. OGLE-2016-BLG-1195Lb은 지구로부터 13,0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구 질량의 1.43배, 중심별로부터 1.16AU(천문단위) 만큼 떨어져서 공전하고 있다[13].
2017년 10월 19일 한국천문연구원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외계행성 탐색시스템의 3대의 망원경을 이용하여 중력파GW170817 의 기원이 되는 천체를 동년 8월 19일부터 약 3주 동안 추적 관측을 하였다고 한다[14]. 중력파 신호는 8월 17일 오후 9시 41분(한국시간 기준) 미국의 라이고(LIGO)와 유럽의 비르고(Virgo)에서 검출되었다. 관측 자료는 중성자별 충돌 이후에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던 킬로노바 현상을 증명하는 연구에 중요하게 활용되었다[15][16].
대중문화
대한민국의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의 주인공 도민준의 고향 행성의 이름은 'KMT 184.05'이며 앞의 영문자는 이 사업명에서 따 온 것이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