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돌레이스(영어: aldolase) (EC4.1.2.13)는 알돌인 과당 1,6-이중인산을 삼탄당 인산인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과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으로 분해하는 가역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과당-이중인산 알돌레이스(영어: fructose-bisphosphate aldolase), 과당 1,6-이중인산 알돌레이스(영어: fructose 1,6-bisphosphate aldolase)라고도 한다. 알돌레이스는 또한 과당 1-인산 및 세도헵툴로스 1,7-이중인산과 같은 다른 (3S,4R)-케토스 1-인산으로부터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을 생성시킬 수 있다. 동화대사 경로인 포도당신생합성과 캘빈 회로는 알돌레이스의 역반응을 사용한다. 이화대사 경로인 해당과정은 알돌레이스의 정반응을 사용한다. 알돌레이스는 작용 메커니즘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뉜다.
또한, 알돌레이스라는 용어는 보다 일반적으로 시알산을 생성하는 시알산 알돌레이스와 같은 알돌 반응(알돌 생성) 또는 그 역반응(알돌 분해)을 촉매하는 효소를 지칭하기도 한다.
작용 메커니즘 및 구조
클래스 I 단백질은 고도로 보존된 활성 부위의 리신을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의 카보닐 탄소와 연결시키는 양성자화된 쉬프 염기중간생성물을 형성한다. 또한, 티로신 잔기들은 안정화시키는 수소 수용체로 작용하는 이러한 메커니즘에 중요하다. 클래스 II 단백질은 Zn2+와 같은 2가 양이온으로 카보닐기를 극성을 띠게 만드는 다른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타가토스-이중인산 알돌레이스인 대장균의 갈락티톨오페론 단백질인 gatY 및 N-아세틸갈락토사민 오페론 단백질인 agaY는 클래스 II 과당-이중인산 알돌레이스의 상동체이다. 이들 상동체들의 서열의 전반부에 2개의 히스티딘잔기가 아연과 결합하는 것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클래스 I 단백질만이 동물, 식물 및 녹조류에서 발견되었다.[2]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클래스 II 단백질만이 균류에서 발견되었다. 두 클래스 단백질 모두 다른 진핵생물과 세균에서 널리 발견되었다. 두 클래스 단백질 모두 다른 진핵생물과 세균에서 널리 발견되었다. 두 클래스 단백질은 종종 같은 생물체에 함께 존재한다. 식물과 조류는 보통의 세포질 알돌레이스 외에도 때때로 세포 내 공생의 산물인 색소체 알돌레이스를 가지고 있다. 클래스 I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는 이작용성 과당-이중인산 알돌레이스/인산가수분해효소는 고균과 일부 세균에서 널리 발견되었다.[3] 이러한 고균 알돌레이스의 활성 부위는 또한 TIM 배럴에 존재한다.
척추동물에서 3가지 형태의 클래스 I 단백질이 발견된다. 알돌레이스 A는 근육과 뇌에서, 알돌레이스 B는 간, 콩팥 및 장세포에서, 알돌레이스 C는 뇌에서 우선적으로 발현된다. 알돌레이스 A와 알돌레이스 C는 주로 해당과정에 관여하는 반면, 알돌레이스 B는 해당과정과 포도당신생합성 모두에 관여한다.[4] 알돌레이스 B의 일부 결함은 유전성 과당불내증을 유발한다. 간에서 유리 과당의 대사는 알돌레이스 B가 과당 1-인산을 기질로 사용하는 능력을 이용한다.[5] 고균의 과당-이중인산 알돌레이스/인산가수분해효소는 아마도 그 생성물이 과당 6-인산이기 때문에 포도당신생합성과 관련이 있다.[6]
↑Siebers B, Brinkmann H, Dörr C, Tjaden B, Lilie H, van der Oost J, Verhees CH (2001). “Archaeal fructose-1,6-bisphosphate aldolases constitute a new family of archaeal type class I aldolase”. 《J. Biol. Chem.》 276 (31): 28710–8. doi:10.1074/jbc.M103447200. PMID11387336.
↑Ahn AH, Dziennis S, Hawkes R, Herrup K (1994). “The cloning of zebrin II reveals its identity with aldolase C”. 《Development》 120 (8): 2081–90. PMID7925012.
Berry A, Marshall KE (February 1993). “Identification of zinc-binding ligands in the class II fructose-1,6-bisphosphate aldolase of Escherichia coli”. 《FEBS Lett.》 318 (1): 11–6. doi:10.1016/0014-5793(93)81317-S. PMID8436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