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학 에서 슈톨츠-체사로 정리 (영어 : Stolz–Cesàro theorem )는 두 수열 의 비가 수렴 할 충분조건을 제시하는 정리이다. 체사로 평균 의 일반화로 볼 수 있다. 또한 이는 로피탈의 정리 의 이산적인 형태로 볼 수 있는데, 도함수 의 개념 대신 계차수열 의 개념을 사용한다.
정의
두 실수 열
(
a
n
)
n
∈ ∈ -->
N
{\displaystyle (a_{n})_{n\in \mathbb {N} }}
,
(
b
n
)
n
∈ ∈ -->
N
{\displaystyle (b_{n})_{n\in \mathbb {N} }}
이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분모 수열이 다음 세 조건 가운데 하나를 만족시킨다.
(0에 수렴하는 순단조수열 )
b
1
<
b
2
<
⋯ ⋯ -->
{\displaystyle b_{1}<b_{2}<\cdots }
이거나
b
1
>
b
2
>
⋯ ⋯ -->
{\displaystyle b_{1}>b_{2}>\cdots }
이며, 또한
lim
n
→ → -->
∞ ∞ -->
b
n
=
0
{\displaystyle \lim _{n\to \infty }b_{n}=0}
(양의 무한대에 수렴하는 순증가수열 )
b
1
<
b
2
<
⋯ ⋯ -->
{\displaystyle b_{1}<b_{2}<\cdots }
이며,
lim
n
→ → -->
∞ ∞ -->
b
n
=
+
∞ ∞ -->
{\displaystyle \lim _{n\to \infty }b_{n}=+\infty }
(이는 무계 순증가수열과 동치이다.)[ 1]
(음의 무한대에 수렴하는 순감소수열 )
b
1
>
b
2
>
⋯ ⋯ -->
{\displaystyle b_{1}>b_{2}>\cdots }
이며,
lim
n
→ → -->
∞ ∞ -->
b
n
=
− − -->
∞ ∞ -->
{\displaystyle \lim _{n\to \infty }b_{n}=-\infty }
(이는 무계 순감소수열과 동치이다.)
(계차수열 의 비의 넓은 의미 수렴)
lim
n
→ → -->
∞ ∞ -->
Δ Δ -->
a
n
Δ Δ -->
b
n
∈ ∈ -->
R
⊔ ⊔ -->
{
± ± -->
∞ ∞ -->
}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Delta a_{n}}{\Delta b_{n}}}\in \mathbb {R} \sqcup \{\pm \infty \}}
그렇다면, 슈톨츠-체사로 정리 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lim
n
→ → -->
∞ ∞ -->
a
n
b
n
=
lim
n
→ → -->
∞ ∞ -->
Δ Δ -->
a
n
Δ Δ -->
b
n
∈ ∈ -->
R
⊔ ⊔ -->
{
± ± -->
∞ ∞ -->
}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a_{n}}{b_{n}}}=\lim _{n\to \infty }{\frac {\Delta a_{n}}{\Delta b_{n}}}\in \mathbb {R} \sqcup \{\pm \infty \}}
증명
가장 기본적인,
(
b
n
)
n
∈ ∈ -->
N
{\displaystyle (b_{n})_{n\in \mathbb {N} }}
이 양의 무한대에 수렴하는 순증가수열이고, 비의 극한이 실수에 수렴하는 경우를 증명하자. 우선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lim
n
→ → -->
∞ ∞ -->
Δ Δ -->
a
n
Δ Δ -->
b
n
=
ℓ ℓ -->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Delta a_{n}}{\Delta b_{n}}}=\ell }
그렇다면,
(
b
n
)
n
∈ ∈ -->
N
{\displaystyle (b_{n})_{n\in \mathbb {N} }}
이 순증가수열임을 같이 고려하면, 임의의
ϵ ϵ -->
>
0
{\displaystyle \epsilon >0}
에 대하여,
N
∈ ∈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이 존재하여, 임의의
n
≥ ≥ -->
N
{\displaystyle n\geq 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ℓ ℓ -->
− − -->
ϵ ϵ -->
)
Δ Δ -->
b
n
<
Δ Δ -->
a
n
<
(
ℓ ℓ -->
+
ϵ ϵ -->
)
Δ Δ -->
b
n
{\displaystyle (\ell -\epsilon )\Delta b_{n}<\Delta a_{n}<(\ell +\epsilon )\Delta b_{n}}
이를
n
{\displaystyle n}
에
N
,
N
+
1
,
… … -->
,
n
{\displaystyle N,N+1,\dots ,n}
를 대입하여 합을 구하면
(
ℓ ℓ -->
− − -->
ϵ ϵ -->
)
(
b
n
− − -->
b
N
)
<
a
n
− − -->
a
N
<
(
ℓ ℓ -->
+
ϵ ϵ -->
)
(
b
n
− − -->
b
N
)
{\displaystyle (\ell -\epsilon )(b_{n}-b_{N})<a_{n}-a_{N}<(\ell +\epsilon )(b_{n}-b_{N})}
이다. 또한
(
b
n
)
n
∈ ∈ -->
N
{\displaystyle (b_{n})_{n\in \mathbb {N} }}
의 모든 항이 0보다 크다 가정할 수 있으므로,
(
ℓ ℓ -->
− − -->
ϵ ϵ -->
)
(
1
− − -->
b
N
b
n
)
<
a
n
b
n
− − -->
a
N
b
n
<
(
ℓ ℓ -->
+
ϵ ϵ -->
)
(
1
− − -->
b
N
b
n
)
{\displaystyle (\ell -\epsilon )\left(1-{\frac {b_{N}}{b_{n}}}\right)<{\frac {a_{n}}{b_{n}}}-{\frac {a_{N}}{b_{n}}}<(\ell +\epsilon )\left(1-{\frac {b_{N}}{b_{n}}}\right)}
이다. 여기서
lim
n
→ → -->
∞ ∞ -->
b
n
=
+
∞ ∞ -->
{\displaystyle \lim _{n\to \infty }b_{n}=+\infty }
이므로,
N
′
∈ ∈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이 존재하여, 임의의
n
≥ ≥ -->
N
′
{\displaystyle n\geq N'}
에 대하여,
ℓ ℓ -->
− − -->
2
ϵ ϵ -->
<
a
n
b
n
<
ℓ ℓ -->
+
2
ϵ ϵ -->
{\displaystyle \ell -2\epsilon <{\frac {a_{n}}{b_{n}}}<\ell +2\epsilon }
이다. 즉,
lim
n
→ → -->
∞ ∞ -->
a
n
b
n
=
ℓ ℓ -->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a_{n}}{b_{n}}}=\ell }
관련 명제
부분적 역
슈톨츠-체사로 정리의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두 수열
(
a
n
)
=
(
10
,
10
,
100
,
100
,
1000
,
1000
,
… … -->
)
{\displaystyle (a_{n})=(10,10,100,100,1000,1000,\ldots )}
(
b
n
)
=
(
10
,
11
,
100
,
101
,
1000
,
1001
,
… … -->
)
{\displaystyle (b_{n})=(10,11,100,101,1000,1001,\ldots )}
을 정의하였을 때,
(
b
n
)
n
∈ ∈ -->
N
{\displaystyle (b_{n})_{n\in \mathbb {N} }}
은 양의 무한대에 수렴하는 순증가수열이고,
lim
n
→ → -->
∞ ∞ -->
a
n
b
n
=
1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a_{n}}{b_{n}}}=1}
이지만,
Δ Δ -->
a
n
Δ Δ -->
b
n
{\displaystyle {\frac {\Delta a_{n}}{\Delta b_{n}}}}
의 극한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부분적 역인 다음 명제는 참이다. 두 실수열
(
a
n
)
n
∈ ∈ -->
N
{\displaystyle (a_{n})_{n\in \mathbb {N} }}
,
(
b
n
)
n
∈ ∈ -->
N
{\displaystyle (b_{n})_{n\in \mathbb {N} }}
이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b
n
,
Δ Δ -->
b
n
≠ ≠ -->
0
∀ ∀ -->
n
∈ ∈ -->
N
{\displaystyle b_{n},\Delta b_{n}\neq 0\qquad \forall n\in \mathbb {N} }
(
b
n
Δ Δ -->
b
n
)
n
∈ ∈ -->
N
{\displaystyle \left({b_{n} \over \Delta b_{n}}\right){}_{n\in \mathbb {N} }}
은 유계 수열이다.
lim
n
→ → -->
∞ ∞ -->
a
n
b
n
∈ ∈ -->
R
⊔ ⊔ -->
{
± ± -->
∞ ∞ -->
}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a_{n}}{b_{n}}}\in \mathbb {R} \sqcup \{\pm \infty \}}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lim
n
→ → -->
∞ ∞ -->
Δ Δ -->
a
n
Δ Δ -->
b
n
=
lim
n
→ → -->
∞ ∞ -->
a
n
b
n
∈ ∈ -->
R
⊔ ⊔ -->
{
± ± -->
∞ ∞ -->
}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Delta a_{n}}{\Delta b_{n}}}=\lim _{n\to \infty }{\frac {a_{n}}{b_{n}}}\in \mathbb {R} \sqcup \{\pm \infty \}}
한 가지 변형
슈톨츠-체사로 정리의 한 가지 변형은 다음과 같다. 두 실수열
(
a
n
)
n
∈ ∈ -->
N
{\displaystyle (a_{n})_{n\in \mathbb {N} }}
,
(
b
n
)
n
∈ ∈ -->
N
{\displaystyle (b_{n})_{n\in \mathbb {N} }}
이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a
n
,
b
n
>
0
∀ ∀ -->
n
∈ ∈ -->
N
{\displaystyle a_{n},b_{n}>0\qquad \forall n\in \mathbb {N} }
(
b
n
)
n
∈ ∈ -->
N
{\displaystyle (b_{n})_{n\in \mathbb {N} }}
은 양의 무한대에 수렴하는 순증가수열이다.
lim
n
→ → -->
∞ ∞ -->
a
n
+
1
a
n
b
n
+
1
− − -->
b
n
∈ ∈ -->
R
⊔ ⊔ -->
{
± ± -->
∞ ∞ -->
}
{\displaystyle \lim _{n\to \infty }{\sqrt[{b_{n+1}-b_{n}}]{\frac {a_{n+1}}{a_{n}}}}\in \mathbb {R} \sqcup \{\pm \infty \}}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lim
n
→ → -->
∞ ∞ -->
a
n
b
n
=
lim
n
→ → -->
∞ ∞ -->
a
n
+
1
a
n
b
n
+
1
− − -->
b
n
∈ ∈ -->
R
⊔ ⊔ -->
{
± ± -->
∞ ∞ -->
}
{\displaystyle \lim _{n\to \infty }{\sqrt[{b_{n}}]{a_{n}}}=\lim _{n\to \infty }{\sqrt[{b_{n+1}-b_{n}}]{\frac {a_{n+1}}{a_{n}}}}\in \mathbb {R} \sqcup \{\pm \infty \}}
일반화
슈톨츠-체사로 정리의 일반화된 형식은 다음과 같다.[ 2] 실수열
(
a
n
)
n
∈ ∈ -->
N
{\displaystyle (a_{n})_{n\in \mathbb {N} }}
과, 양의 무한대에 수렴하는 순증가 실수열
(
b
n
)
n
∈ ∈ -->
N
{\displaystyle (b_{n})_{n\in \mathbb {N}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lim inf
n
→ → -->
∞ ∞ -->
Δ Δ -->
a
n
Δ Δ -->
b
n
≤ ≤ -->
lim inf
n
→ → -->
∞ ∞ -->
a
n
b
n
≤ ≤ -->
lim sup
n
→ → -->
∞ ∞ -->
a
n
b
n
≤ ≤ -->
lim sup
n
→ → -->
∞ ∞ -->
Δ Δ -->
a
n
Δ Δ -->
b
n
{\displaystyle \liminf _{n\to \infty }{\frac {\Delta a_{n}}{\Delta b_{n}}}\leq \liminf _{n\to \infty }{\frac {a_{n}}{b_{n}}}\leq \limsup _{n\to \infty }{\frac {a_{n}}{b_{n}}}\leq \limsup _{n\to \infty }{\frac {\Delta a_{n}}{\Delta b_{n}}}}
예
슈톨츠-체사로 정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극한을 구해보자.
lim
n
→ → -->
∞ ∞ -->
1
+
2
k
+
⋯ ⋯ -->
+
n
k
n
k
+
1
=
1
k
+
1
(
k
∈ ∈ -->
N
)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1+2^{k}+\cdots +n^{k}}{n^{k+1}}}={\frac {1}{k+1}}\qquad (k\in \mathbb {N} )}
분모는 정리의 전제를 만족시킨다. 즉,
(
n
k
+
1
)
n
∈ ∈ -->
N
(
k
∈ ∈ -->
N
)
{\displaystyle (n^{k+1})_{n\in \mathbb {N} }\qquad (k\in \mathbb {N} )}
는 양의 무한대에 수렴하는 증가수열이다. 이에 따라, 이 극한은 계차수열의 비의 극한과 같다.
lim
n
→ → -->
∞ ∞ -->
1
+
2
k
+
⋯ ⋯ -->
+
n
k
n
k
+
1
=
lim
n
→ → -->
∞ ∞ -->
(
n
+
1
)
k
(
n
+
1
)
k
+
1
− − -->
n
k
+
1
=
lim
n
→ → -->
∞ ∞ -->
n
k
+
k
n
k
− − -->
1
+
⋯ ⋯ -->
(
k
+
1
)
n
k
+
k
(
k
+
1
)
2
n
k
− − -->
1
+
⋯ ⋯ -->
=
lim
n
→ → -->
∞ ∞ -->
1
+
k
⋅ ⋅ -->
1
n
+
⋯ ⋯ -->
(
k
+
1
)
+
k
(
k
+
1
)
2
⋅ ⋅ -->
1
n
+
⋯ ⋯ -->
=
1
k
+
1
{\displaystyle {\begin{aligned}\lim _{n\to \infty }{\frac {1+2^{k}+\cdots +n^{k}}{n^{k+1}}}&=\lim _{n\to \infty }{\frac {(n+1)^{k}}{(n+1)^{k+1}-n^{k+1}}}\\&=\lim _{n\to \infty }{\frac {n^{k}+kn^{k-1}+\cdots }{(k+1)n^{k}+{\frac {k(k+1)}{2}}n^{k-1}+\cdots }}\\&=\lim _{n\to \infty }{\frac {1+k\cdot {\frac {1}{n}}+\cdots }{(k+1)+{\frac {k(k+1)}{2}}\cdot {\frac {1}{n}}+\cdots }}\\&={\frac {1}{k+1}}\end{aligned}}}
평균의 극한
슈톨츠-체사로 정리를 사용하여 일부 평균 의 극한에 대한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즉,
lim
n
→ → -->
∞ ∞ -->
a
n
=
a
{\displaystyle \lim _{n\to \infty }a_{n}=a}
인 실수열
(
a
n
)
n
∈ ∈ -->
N
{\displaystyle (a_{n})_{n\in \mathbb {N}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산술 평균 의 극한)
lim
n
→ → -->
∞ ∞ -->
a
1
+
a
2
+
⋯ ⋯ -->
+
a
n
n
=
a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a_{1}+a_{2}+\cdots +a_{n}}{n}}=a}
(기하 평균 의 극한)
lim
n
→ → -->
∞ ∞ -->
a
1
a
2
⋯ ⋯ -->
a
n
n
=
a
{\displaystyle \lim _{n\to \infty }{\sqrt[{n}]{a_{1}a_{2}\cdots a_{n}}}=a}
(조화 평균 의 극한)
lim
n
→ → -->
∞ ∞ -->
n
1
a
1
+
1
a
2
+
⋯ ⋯ -->
+
1
a
n
=
a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n}{{\frac {1}{a_{1}}}+{\frac {1}{a_{2}}}+\cdots +{\frac {1}{a_{n}}}}}=a}
(멱평균 의 극한)
lim
n
→ → -->
∞ ∞ -->
a
1
p
+
a
2
p
+
⋯ ⋯ -->
+
a
n
p
n
p
=
a
(
p
≠ ≠ -->
0
)
{\displaystyle \lim _{n\to \infty }{\sqrt[{p}]{\frac {a_{1}^{p}+a_{2}^{p}+\cdots +a_{n}^{p}}{n}}}=a\qquad (p\neq 0)}
(일반화된 f-평균 의 극한)
lim
n
→ → -->
∞ ∞ -->
f
− − -->
1
(
f
(
a
1
)
+
f
(
a
2
)
+
⋯ ⋯ -->
+
f
(
a
n
)
n
)
=
a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1}\left({\frac {f(a_{1})+f(a_{2})+\cdots +f(a_{n})}{n}}\right)=a}
(
f
{\displaystyle f}
는 가역 연속 함수 )
마찬가지로, 다음이 성립한다. (여기서
w
n
>
0
∀ ∀ -->
n
∈ ∈ -->
N
{\displaystyle w_{n}>0\forall n\in \mathbb {N} }
이며
∑ ∑ -->
n
=
0
∞ ∞ -->
w
n
=
+
∞ ∞ -->
{\displaystyle \sum _{n=0}^{\infty }w_{n}=+\infty }
이다.)
(가중 산술 평균 의 극한)
lim
n
→ → -->
∞ ∞ -->
w
1
a
1
+
w
2
a
2
+
⋯ ⋯ -->
+
w
n
a
n
w
1
+
w
2
+
⋯ ⋯ -->
+
w
n
=
a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w_{1}a_{1}+w_{2}a_{2}+\cdots +w_{n}a_{n}}{w_{1}+w_{2}+\cdots +w_{n}}}=a}
(가중 기하 평균 의 극한)
lim
n
→ → -->
∞ ∞ -->
a
1
w
1
a
2
w
2
⋯ ⋯ -->
a
n
w
n
w
1
+
w
2
+
⋯ ⋯ -->
+
w
n
=
a
{\displaystyle \lim _{n\to \infty }{\sqrt[{w_{1}+w_{2}+\cdots +w_{n}}]{a_{1}^{w_{1}}a_{2}^{w_{2}}\cdots a_{n}^{w_{n}}}}=a}
(가중 조화 평균 의 극한)
lim
n
→ → -->
∞ ∞ -->
w
1
+
w
2
+
⋯ ⋯ -->
+
w
n
w
1
a
1
+
w
2
a
2
+
⋯ ⋯ -->
+
w
n
a
n
=
a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w_{1}+w_{2}+\cdots +w_{n}}{{\frac {w_{1}}{a_{1}}}+{\frac {w_{2}}{a_{2}}}+\cdots +{\frac {w_{n}}{a_{n}}}}}=a}
(가중 멱평균 의 극한)
lim
n
→ → -->
∞ ∞ -->
w
1
a
1
p
+
w
2
a
2
p
+
⋯ ⋯ -->
+
w
n
a
n
p
w
1
+
w
2
+
⋯ ⋯ -->
+
w
n
p
=
a
{\displaystyle \lim _{n\to \infty }{\sqrt[{p}]{\frac {w_{1}a_{1}^{p}+w_{2}a_{2}^{p}+\cdots +w_{n}a_{n}^{p}}{w_{1}+w_{2}+\cdots +w_{n}}}}=a}
(가중 일반화된 f-평균 의 극한)
lim
n
→ → -->
∞ ∞ -->
f
− − -->
1
(
w
1
f
(
a
1
)
+
w
2
f
(
a
2
)
+
⋯ ⋯ -->
+
w
n
f
(
a
n
)
w
1
+
w
2
+
⋯ ⋯ -->
+
w
n
)
=
a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1}\left({\frac {w_{1}f(a_{1})+w_{2}f(a_{2})+\cdots +w_{n}f(a_{n})}{w_{1}+w_{2}+\cdots +w_{n}}}\right)=a}
(
f
{\displaystyle f}
는 가역 연속 함수 )
기타
슈톨츠-체사로 정리는 로피탈의 정리 의 증명에 사용될 수 있다.
역사
오스트리아 의 수학자 오토 슈톨츠 (독일어 : Otto Stolz )[ 3] 와 이탈리아 의 수학자 에르네스토 체사로 (이탈리아어 : Ernesto Cesàro )[ 4] 가 제시하였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Mureşan, Marian (2008), 《A Concrete Approach to Classical Analysis》 (영어), Berlin: Springer, 85쪽, ISBN 978-0-387-78932-3 .
Pólya, George ; Szegő, Gábor (1925), 《Aufgaben und Lehrsätze aus der Analysis》 (독일어) I , Berlin: Springer .
Фихтенгольц Г. М. Курс дифференциального и интегрального исчисления. — М .: Физматлит, 2001. — Т. 1.
G. M., Fichtenholz (2002). 《Rachunek różniczkowy i całkowy》 (폴란드어) 1 12판. Warszawa: Wydawnictwo Naukowe PWN. 55-56쪽. ISBN 83-01-02175-6 .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