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끝 표시보다 왼쪽으로 가거나 오른쪽 끝 표시보다 오른쪽으로 갈 수 없다.[1]:225
즉, 일반적인 튜링 기계처럼 무한한 길이의 테이프 위에서 계산하지 못하고, 테이프에서 입력 내용과 양쪽 끝 표시를 포함하는 부분 안에서만 계산할 수 있다.
이보다 덜 제한적인 또다른 정의가 있다.
튜링 기계와 마찬가지로, 선형유한 자동 기계는 다음 요소로 구성된다.
칸들로 이루어진 테이프. 테이프의 각 칸에는 유한한 알파벳에서 나온 기호 하나를 기록할 수 있다.
테이프 헤드. 테이프 헤드는 좌우로 움직이면서 칸에 있는 기호를 읽거나 다른 기호를 덮어쓸 수 있다.
유한한 수의 상태. 현재 상태와 헤드가 읽은 기호에 따라 기계의 다음 동작이 정해진다.
튜링 기계와 달리, 선형유한 자동 기계가 사용할 수 있는 테이프의 길이는 입력의 길이에 대한 일차함수로 제한된다. ‘선형유한’이라는 이름은 여기서 나온 것이다.[1]:225
이러한 제한 때문에 선형유한 자동 기계는 무한한 테이프 길이를 가정하는 튜링 기계에 비해 현실의 컴퓨터와 더 비슷하다.
선형 가속 정리 때문에 위의 두 가지 정의는 사실 똑같은 계산 능력을 지닌다.[1]:225
선형유한 자동 기계와 문맥 의존 언어
선형유한 자동 기계는 문맥 의존 언어에 대응하는 기계이다.[1]:225-226 문맥 의존 언어를 만드는 형식 문법에 대한 제약은 하나뿐으로, 어떤 생성 규칙도 문자열을 더 짧은 문자열로 바꿔선 안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문맥 의존 언어에 속한 문자열의 도출 과정에서는 그 문자열보다 더 긴 중간 단계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문법은 선형유한 자동 기계와 일대일 대응하므로, 선형유한 자동 기계가 어느 문자열을 인식하는 데는 이 문자열을 입력할 테이프 공간보다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역사
1960년에 존 마이힐은 오늘날 결정론적 선형유한 자동 기계라 불리는 개념을 도입했다.[2] 1963년에 피터 랜드웨버는 결정론적 선형유한 자동 기계가 수용하는 언어들이 문맥 의존 언어임을 증명했다.[3] 1964년에 구로다 시게유키는 보다 일반적인 개념인 (비결정론적) 선형유한 자동 기계의 개념을 도입하고, 랜드웨버의 증명이 비결정론적 LBA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지적했으며, 비결정론적 LBA가 수용하는 언어들의 집합이 정확히 문맥 의존 언어들의 집합과 같음을 증명했다.[4][5]
LBA 문제
구로다가 1964년 논문에서 제기한 두 가지 문제는 이후 “LBA 문제”라는 이름으로 유명해졌다. 첫번째 LBA 문제는 일반적인 LBA와 결정론적 LBA가 수용하는 언어들의 집합이 같냐는 것이었다. 계산 복잡도 이론의 용어로는 다음과 같이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구로다가 지적했듯이, 두번째 LBA 문제의 답이 ‘거짓’이라면 첫번째 문제의 답도 ‘거짓’이다. 그러나 20년 뒤에 증명된 이머만-셀레프체니 정리에 따라 두번째 문제의 답은 ‘참’으로 드러났다.[6][7] 현재까지도 첫번째 LBA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사비치의 정리에 따라 NSPACE(O(n)) ⊆ DSPACE(O(n2))이라는 사실은 알려져 있다.[8]
↑John Myhill (June 1960). Linear Bounded Automata (WADD Technical Note). Wright Patterson AFB, Wright Air Development Division, Ohio.
↑P.S. Landweber (1963). “Three Theorems on Phrase Structure Grammars of Type 1”. 《Information and Control》 6 (2): 131–136. doi:10.1016/s0019-9958(63)901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