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벳윗수염박쥐

벨벳윗수염박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박쥐목
과: 애기박쥐과
아과: 윗수염박쥐아과
속: 윗수염박쥐속
종: 벨벳윗수염박쥐
(M. simus)
학명
Myotis simus
Thomas, 1901

학명이명

Myotis sima

벨벳윗수염박쥐의 분포

벨벳윗수염박쥐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정보부족(DD):: 직간접적 정보 부족으로 평가 불가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벨벳윗수염박쥐 (Myotis simus)는 애기박쥐과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이다. 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된다.[1]

특징

작은 박쥐지만 윗수염박쥐아과에서 평균 크기로 전체 몸길이가 8~9cm, 몸무게가 5~11g이다. 짧고 벨벳, 오렌지색, 갈색 털이 온 몸에 덮여 있으며, 보존된 표본에서는 갈색조가 사라져 보일 수도 있다. 귀와 비막은 검고 털이 없다.[2]

귀는 짧고 삼각형 모양이며, 이주는 뾰족하다. 벨벳윗수염박쥐는 벨벳 같은 털과 큰 송곳니를 갖고 있으며, 옆구리비막 모양과 털이 없는 꼬리비막 뒷전으로 윗수염박쥐속의 다른 신대륙 종과 구별할 수 있다.[2] 이와 같은 차이때문에 한때는 별도의 아속으로 분류되기도 했지만 이어진 분석 결과로 지지를 얻지는 못했다.[3]

분포

브라질 북부와 서부, 콜롬비아 남부, 에콰도르 동부와 페루, 볼리비아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북서부 지역에서 발견된다.[4] 민물 지역에 가까운 저지대 숲과 사바나 지역에서 서식한다.[2] 현재 인정된 아종은 없지만 볼리비아에서 발견되는 표본이 아종 또는 별도의 종으로 분류될 수는 있다.[5]

생태

벨벳윗수염박쥐는 딱정벌레와 벌레, 나방, 파리 등 주로 물 위에서 곤충을 잡아 먹는다. 일반적으로 강 또는 홍수림 근처에서 발견된다. 낮에는 주로 나무 구멍과 다른 동물이 만들어 놓은 굴 속, 볏짚 등으로 이은 건물 천장 아래에 매달려 시간을 보낸다. 작은불독박쥐 등 유사한 서식지를 좋아하는 근연종이 아닌 박쥐들과 같은 장소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박쥐처럼 생식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9월과 3월 사이에 임신한 암컷이 포획된다.[2]

계통 분류

다음은 윗수염박쥐속의 계통 분류이다.[6]

윗수염박쥐속

넓은주둥이윗수염박쥐

구대륙 분류군

신대륙 분류군
신북구
분류군

서부작은발박쥐, 캘리포니아윗수염박쥐, 동부작은발박쥐

남서부윗수염박쥐, 북부윗수염박쥐

인디애나박쥐, 긴발윗수염박쥐

애리조나윗수염박쥐

작은갈색박쥐, 술꼬리박쥐, 킨윗수염박쥐, 긴귀윗수염박쥐

구북구
분류군

큰수염박쥐, 우수리윗수염박쥐

신열대구
분류군

털다리윗수염박쥐

붉은윗수염박쥐, 벨벳윗수염박쥐, 물가윗수염박쥐, 엘리겐트윗수염박쥐

고기잡이박쥐

회색박쥐, 남동부윗수염박쥐

슈바르츠윗수염박쥐, 도미니카윗수염박쥐, 아타카마윗수염박쥐

동굴윗수염박쥐, 유마윗수염박쥐

칠레윗수염박쥐

은색작은박쥐, 산지윗수염박쥐, 검은윗수염박쥐, 노랑윗수염박쥐

각주

  1. “Myotis sim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3월 16일에 확인함. 
  2. Moratelli, R. (2012). “Myotis simu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Mammalian Species》 44 (1): 26–32. doi:10.1644/892.1. 
  3. Stadelmann, B.; 외. (2007). “Molecular phylogeny of New World Myot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inferred from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gen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3 (1): 32–48. doi:10.1016/j.ympev.2006.06.019. PMID 17049280. 
  4. Moratelli, R.; 외. (2011). “Current and potential distribution of Myotis simu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Mammalia》 75 (3): 227–234. doi:10.1515/MAMM.211.028.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 Moratelli, R.; 외. (2011). “Morphometric and morphological variation in Myotis simus Thoma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with an appraisal of the identity of Myotis guaycuru Proença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ype material” (PDF). 《Zootaxa》 2985: 41–54. 
  6. Stadelmann, B., Lin, L.-K., Kunz, T.H. and Ruedi, M. 2007. Molecular phylogeny of New World Myot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inferred from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genes (subscription required).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3(1):3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