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수 치사량

반수 치사량(Lethal Dose 50, LD50) 또는 반수 치사농도(LC50), 반수 치사농도 및 시간(LCt50)는 피실험동물에 실험대상물질을 투여할 때 피실험동물의 절반이 죽게 되는 양을 말한다. 독성물질의 경우, 해당 약물의 LD50을 나타낼때는 체중 kg당 mg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니코틴의 경우 LD50은 50 mg/kg이며, 아스피린의 경우 LD50은 200 mg/kg이다. 대체로 설치류 등의 시험동물에 시험물질을 한 번 투여하고 2주일 동안의 사망률을 관찰해 반수치사량을 계산한다.

방사선 등의 경우는 흡입 및 전신조사를 통한 인체 실험에서 30일 이내에 피실험체의 50%가 사망한 방사선 양을 말하며, R(뢴트겐), Rad 등의 단위로 LD50을 나타낸다.

LD50은 유해화학물질관리법의 유독물과 특정유독물 지정기준으로 이용되는데, 경구투여를 이용한 설치류 실험에서 해당 약물의 LD50이 300mg/kg이하이면 유독물, 15mg/kg 이하이면 특정유독물로 지정한다. 또한 경피투여를 이용한 설치류 실험에서 특정 약물의 LD50이 1000mg/kg 이하 이면 유독물, 50mg/kg 이하이면 특정유독물로 지정하게 된다.

치사량의 예

다음 예는 LD50 값과 관련하여 나열한다.

화합물 동물, 경로 LD50
{LC50}
LD50 : g/kg
{LC50 : g/L}

표준화

참고
쥐, 경구 &&&&&&&&&&&90000.&&&&&090,000 mg/kg 90 [1]
자당 쥐, 경구 &&&&&&&&&&&29700.&&&&&029,700 mg/kg 29.7 [2]
비타민 C 쥐, 경구 &&&&&&&&&&&11900.&&&&&011,900 mg/kg 11.9 [3]
에탄올 쥐, 경구 &&&&&&&&&&&&7060.&&&&&07,060 mg/kg 7.06 [4]
염화나트륨 쥐, 경구 3,000 mg/kg 3 [5]
이부프로펜 쥐, 경구 636 mg/kg 0.636 [6]
카페인 쥐, 경구 192 mg/kg 0.192 [7]
니코틴 쥐, 경구 50 mg/kg 0.05 [8]
[9]
삼산화 비소 쥐, 경구 14 mg/kg 0.014 [10]
시안화 나트륨 쥐, 경구 6.4 mg/kg 0.0064 [11]
백린 쥐, 경구 3.03 mg/kg 0.00303 [12]
염화 수은 (II) 쥐, 경구 1 mg/kg 0.001 [13]
테트로도톡신 쥐, 구강 334 µg/kg 0.000334 [14]
TCDD 쥐, 경구 &&&&&&&&&&&&&&-0.&2000020 µg/kg 0.00002 [15]
디프테리아 독소 쥐, 구강 &&&&&&&&&&&&&&-0.&&&&1010 ng/kg 0.00000001 [16]
보툴리눔 독소 인간; 구두로 &&&&&&&&&&&&&&-0.&&&&&11 ng/kg (추정) 0.000000001 [17]

독 규모

물은 LD50의 로그 스케일에서 1의 값을 가진다.[18]

독 규모

같이 보기

기타 독성 측정

관련 측정

  • TCID50 조직적 문화 감염복용량(Tissue Culture Infective Dosage)
  • EID50 달걀 감염투약량
  • ELD50 달걀 치명량
  • 균 형성 단위 (Plaque forming units, pfu)

각주

  1. “Material Safety Data Sheet Water MSDS”. Section 11: Toxicological Information for the LD50 verification. 2012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9일에 확인함. 
  2. “Safety (MSDS) data for sucrose”. 《ox.ac.uk》. 2011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 “Safety (MSDS) data for ascorbic acid”. Oxford University. 2005년 10월 9일. 2007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2월 21일에 확인함. 
  4. “Safety (MSDS) data for ethyl alcohol”. 《ox.ac.uk》. 2011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5. “Safety (MSDS) data for sodium chloride”. 《ox.ac.uk》. 2011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 “IBUPROFEN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SDB Database”. 《toxnet.nlm.nih.gov》. 
  7. Boyd EM (May 1959). “The acute oral toxicity of caffeine”.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1 (3): 250–257. doi:10.1016/0041-008X(59)90109-7. PMID 13659532. 
  8. “Safety (MSDS) data for nicotine”. 2007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3일에 확인함. 
  9. IPCS INCHEM
  10. “Safety (MSDS) data for arsenic trioxide”. 《ox.ac.uk》. 2010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1. “Safety (MSDS) data for sodium cyanide”. 《ox.ac.uk》. 2009년 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2. “Hexachloroethane” (PDF). 2014년 1월 3일에 확인함. 
  13. “Mercuric Chloride Safety Data Sheet” (PDF). 《LabChem》. 6쪽. 2019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6일에 확인함. 
  14. “Material Safety Data Sheet Tetrodotoxin ACC# 01139”. Acros Organics N.V.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27일에 확인함. 
  15. 반수 치사량 - ChemIDplus 데이터베이스
  16. “Archived copy” (PDF). 2015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26일에 확인함. 
  17. Fleming DO, Hunt DL (2000). 《Biological Safety: principles and practices》. Washington, DC: ASM Press. 267쪽. ISBN 978-1-55581-180-8. 
  18. Strey K (Dec 2019). “Die Gifte-Skala”. 《Chemie in Unserer Zeit》 53 (6): 386–399. doi:10.1002/ciuz.20190082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