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중부 지진

동해 중부 지진
일본 기상청이 발표한 각 지역별 진도를 그린 지도
동해 중부 지진은(는) 일본 도호쿠 안에 위치해 있다
동해 중부 지진
동해 중부 지진은(는) 일본 안에 위치해 있다
동해 중부 지진
본진
UTC 시각1983-05-26 02:59:59
ISC 지진번호577008
USGS-ANSSComCat
현지일1983년 5월 26일
현지시간11시 59분 57초 (일본 표준시)
지속시간약 60초
규모   모멘트 규모 7.8
일본 기상청 규모 M7.7
최대 진도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진도 5 : 아키타현 아키타시, 아오모리현 후카우라정, 무쓰시
진원 깊이24 km
진앙일본 아키타현 해역
북위 40° 27′ 43″ 동경 139° 06′ 07″ / 북위 40.462° 동경 139.102°  / 40.462; 139.102
종류충상단층형 지진
여진
최대여진6월 21일 15시 25분 M7.1 지진
피해
피해 지역일본 아오모리현, 아키타현, 대한민국 동해
피해액1,482억 3,827만엔
지진해일아키타현에 최대 14 m 쓰나미 발생
사상자일본: 104명 사망, 163명 부상
한국: 1명 사망, 2명 실종, 2명 부상

동해 중부 지진 또는 일본에서의 명칭 일본해 중부 지진(일본어: 日本海中部地震 니혼카이추부지신[*][1][2])은 1983년 5월 26일 11시 59분 57초 경에 아키타현 노시로시 서쪽 동해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일본 기상청 규모 기준 규모 M7.7이다.[3][4]

동해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 중 당시 최대 규모의 지진으로 아키타현, 아오모리현, 야마가타현 등 동해 방면 일본 해안가에 10 m가 넘는 쓰나미가 닥쳐 피해를 입었다. 일본 내 사망자가 104명인데 이 중 100명이 쓰나미로 사망했다.[5] 주택 3,049채가 붕괴되거나 반파되었으며, 선박 침몰 혹은 유실 706척의 피해를 입었고[5] 총 피해액은 약 518억엔에 달한다.[6]

지질학적 환경

동해 동연 변동대

혼슈 서북쪽 동해 해안 지역은 일본 해구를 따라 유라시아판 아래로 태평양판섭입하면서 발생하는 배호분지열개로 형성된 동해의 동남쪽 가장자리 지역에 있다. 이 과정은 마이오세 초기에 시작되어 마이오세 중기에 끝났다. 플라이오세 말기에는 지각이 압축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는데 이는 이즈-보닌-마리아나호혼슈의 충돌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7] 이 때문에 열개지의 단층이 역으로 활성화되면서 단층으로 형성된 분지의 반전 현상이 일어났다.[8] 현대 일본은 태평양판, 필리핀해판, 오호츠크판, 아무르판 사이의 수렴 경계 위에 있다. 섬 배호의 동쪽과 동남쪽 해안을 따라 발생하는 태평양판과 필리핀해판의 섭입은 각각 일본 해구와 난카이 해곡에서 일어난다. 동해와 접해 있는 혼슈 서해안은 아무르판과 오호츠크판 사이 남북을 경계로 수렴 현상이 일어난다. 이를 동해 동연 변동대라고 부른다.[9] 특히 이 변동대 경계는 동쪽으로 가라앉는 충상단층으로 구성된 초기 섭입대라고 보여진다.[10]

동해 동연 변동대에서는 열개와 이어진 반전 현상 때문에 경계인 혼슈 서해안를 따라 규모 M6.8~7.9의 지진을 일으킬 수 있는 일련의 여러 단층이 생겨났으며, 이 단층은 많은 경우 지진과 함께 큰 쓰나미도 일으킨다.[9] 동해 동연 변동대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지진으로 1741년, 1833년, 1940년, 1964년, 1983년, 1993년의 지진이 있으나 1741년 지진은 그 발생 여부에 대해 아직 논쟁중이다.[11]

지진

본진에 앞서 5월 14일 22시 49분경(M5), 5월 22일 4시 52분경(M2.4), 같은 날 23시 14분경(M2.3)에 본진과 같은 장소에서 전진으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본진은 약 20초 간격으로 발생한 두 번의 흔들림으로 이루어져 있다.[12] 본진 발생 후 여진은 6월 1일 0시까지 유감 지진 211차례, 무감 지진이 828차례 발생했다. 6월 들어서는 6월 9일 21시 49분에 M6.1, 같은 날 22시 4분에 M5.9의 지진이 발생했으며 본진 발생 한 달 후인 6월 21일 15시 25분에 가장 큰 규모의 여진(M7.1)이 발생했다. 이 여진에서는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일본 기상청이 정식 명칭인 "일본해 중부 지진"(日本海中部地震)을 발표하기 전까지 일본 내 각 언론사에서는 편의상 명칭으로 공식적으로 남진 않은 "아키타 해역 지진"(秋田沖地震)이나 "일본해 아키타 해역 지진"(日本海秋田沖地震)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매커니즘

사할린섬에서 일본 니가타현 해역까지 이어지는 동해 동연 변동대의 일본 열도 지역 호상지각과 동해 해양 지각 사이 경계 부근에서 발생하는 지진이다.[13] 이후 상세 조사를 통해 판 경계형에 가까운 지진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밝혀졌다.[14] 또한 약 1천년 전에도 비슷한 대지진이 발생했다고 추정된다.[14]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이와사키촌 해역 약 40 km 지점에 있는 길이 약 50 m, 폭 13 m 정도의 암초섬인 큐로쿠섬에서는 약 30~40 cm 정도 가라앉았다고 추정된다.[15]

진원역의 모양은 ">" 모양으로 총 연장은 약 100 km이다. 여러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몇 가지 단층 파괴 모델이 제시되었다. 이 중 하나는 본진을 약 50초 동안 일어난 3차례의 하위 단층 파열 사건으로 구성한다.[16] 첫 번째 단층 파열은 최초의 단층 파열 지점에서 북북동 방향으로 큐로쿠섬 서쪽 해역까지 진행되었다. 두번째 단층 파열은 첫 번째 단층 파열이 끝난 후 10초 지나 북북서 방향으로 진행해 북위 40.8° 부근에서 멈췄다. 세 번째 단층 파열은 두 번째 단층 파열이 멈춘 북위 40.8° 부근 지점에서 단층 파괴 방향이 북북서쪽으로 바뀌어 진행되었다.

또 다른 분석에 따르면 두 차례의 단층 파열로 구성된 주 단층파괴는 30~35 km 떨어진 곳에서 약 24~26초 간격으로 발생했다고 분석했다.[17]

진도

아래는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기준 진도3 이상을 관측한 도도부현의 목록이다.[18]

진도 도도부현
5 아오모리현 아키타현
4 홋카이도 이와테현 야마가타현
3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니가타현 이시카와현

당시 진원과 가장 가까웠던 아키타현 노시로시에는 당시 아직 지진계가 설치되지 않았으나, 최대진도가 진도5 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쓰나미

이 지진으로 일본의 동해 연안 지역에는 10m가 넘는 쓰나미가 밀려왔다.[19] 사망자는 104명이었지만 이 중 100명은 쓰나미에 의해 사망했다.[19][20] 또한 한반도소련에도 이 지진의 쓰나미가 덮쳤다.[3]

대한민국에서는 울릉도에서 126cm, 속초시 묵호항에 최대 200cm가 넘는 쓰나미가 덮쳤으며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 2명이 실종되는 피해가 있었다.[21]

1983년 5월 26일 13시 43분 동해시 속초 앞바다. 갑자기 동해안 바다수면이 최고 3m 폭으로 높아졌다 낮아지는 승강현상을 보인다. 밀물과 썰물의 차이도 최고 6m에 이른다. 곧이어 이 근방 항구들에서‘쾅!’하는 폭음이 들려온다. 수심 5m 정도의 항구 바닥이 드러날 정도로 한꺼번에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들려온 굉음이다. 10분 뒤, 갑자기‘쏵’하는 소리와 함께 이번엔 바닷물이 밀려왔다. 이날 동해안 지역은 갑작스러운 해일의 습격을 받은 것이다. 피해도 심각했다. 인명피해는 사망1명, 실종 2명, 부상 2명에 이재민 405명이 발생했다. 항구주변 선박 81척이 부숴지거나 물에 잠겼고 건물과 시설물 100여 곳이 피해를 입으면서 3억 7000만원의 재산피해를 낳았다.

— [지진해일_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보고서 분석]"한반도 지진해일, 동해안 북부가 가장 위험"[22]

피해

지진해일 피해(아키타현)
동해 중부 지진의 피해
일본 일본피해 사망자 104명 (100명이 쓰나미에 의해 사망했다)[23]
부상자 163명[24]
피해액 약 1500억엔
대한민국 한국피해
해일 한정
사망자 1명
실종자 2명
부상자 2명
이재민 405명
피해액 3억 7천만원

같이 보기

각주

  1. “秋田)津波の教訓生かし備え 日本海中部地震から35年:朝日新聞デジタル” (일본어). 2021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17일에 확인함. 
  2. (일본어)日本海中部地震』 - Kotobank
  3. “秋田地方気象台”. 2021년 5월 17일에 확인함. 
  4. “日本海中部地震 地震の概要”. 2013년 6월 26일. 2009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17일에 확인함. 
  5. 宇佐美 龍夫(2003)『最新版 日本被害地震総覧 416‐2001』東京大学出版会
  6. 日本海中部地震 被害の概要 防災科学技術研究所
  7. Tamaki, Kensaku; Honza, Eiichi (1985). “Incipient subduction and deduction along the eastern margin of the Japan Sea”. 《Tectonophysics》 (Elsevier) 119 (1–4): 381–406. Bibcode:1985Tectp.119..381T. doi:10.1016/0040-1951(85)90047-2. ISSN 0040-1951. 
  8. Van Horne, Anne; Sato, Hiroshi; Ishiyama, Tatsuya (2017). “Evolution of the Sea of Japan back-arc and some unsolved issues” (PDF). 《Tectonophysics》 (Elsevier). 710–711: 6–20. Bibcode:2017Tectp.710....6V. doi:10.1016/j.tecto.2016.08.020. ISSN 0040-1951. 2022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3일에 확인함. 
  9. Mulia, Iyan E.; Ishibe, Takeo; Satake, Kenji; Gusman, Aditya Riadi; Murotani, Satoko (2020년 9월 3일). “Regional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ssessment associated with active faults along the eastern margin of the Sea of Japan”. 《Earth, Planets and Space》 72 (123): 123. Bibcode:2020EP&S...72..123M. doi:10.1186/s40623-020-01256-5. S2CID 221463717. 
  10. Hurukawa, Nobuo; Harada, Tomoya (2013). “Fault plane of the 1964 Niigata earthquake, Japan, derived from relocation of the mainshock and aftershocks by using the modified joint hypocenter determination and grid search methods”. 《Earth, Planets and Space65 (12): 1441–1447. Bibcode:2013EP&S...65.1441H. doi:10.5047/eps.2013.06.007. S2CID 73567424. 
  11. Satake, Kenji (2007). “Volcanic origin of the 1741 Oshima-Oshima tsunami in the Japan Sea” (PDF). 《Earth Planets Space》 59 (5): 381–390. Bibcode:2007EP&S...59..381S. doi:10.1186/BF03352698. S2CID 55372867. 2021년 8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1일에 확인함. 
  12. 弘前大学構内で観測された日本海中部地震の加速度記録 弘前大学理学部(地震予知連絡会会報 第31巻)
  13. 第199回地震予知連絡会(2013年5月30日)議事概要 p.23 (PDF) 地震予知連絡会
  14. 第199回地震予知連絡会重点検討課題「日本海で発生する地震と津波」概要(北海道大) (PDF) 地震予知連絡会 会報第90巻
  15. 山科健一郎, 中村一明, 福留高明 ほか、「1983年日本海中部地震による久六島の沈下」 地震 第2輯 1985年 38巻 1号 p.81-91, doi 10.4294/zisin1948.38.1_81
  16. 小菅正裕, 池田仁美, 鎌塚吉忠 ほか、余震分布・地殻変動・津波データによる1983年日本海中部地震の静的断層モデル 測地学会誌 Vol.32 (1986) No.4 P.290-302, doi 10.11366/sokuchi1954.32.290
  17. 伊藤潔, 梅田康弘, 黒磯章夫 ほか、広帯域地震観測記録による1983年日本海中部地震の特性 地震 第2輯 Vol.39 (1986) No.2 P.301-311
  18.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2021년 5월 17일에 확인함. 
  19. NHK. “日本海中部地震” (일본어). 2021년 5월 17일에 확인함. 
  20. “日本海中部地震(1983年5月26日) | 災害カレンダー” (일본어). 2021년 5월 17일에 확인함. 
  21. “지진해일 사례”. 대한민국 기상청. 2021년 5월 18일에 확인함. 
  22. 이태준 (2005년 2월). “[지진해일_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보고서 분석]"한반도 지진해일, 동해안 북부가 가장 위험". 
  23. “日本海中部地震(1983年):時事ドットコム” (일본어). 2021년 6월 26일에 확인함. 
  24. “日本海中部地震・1983年(昭和58年)5月26日~自然災害の記録~NHK東日本大震災アーカイブス”. 2021년 6월 2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