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뉴질랜드를 대표하는 여자 축구 대표팀으로 뉴질랜드 축구 협회에서 운영 및 관리한다. 오세아니아의 여자 축구 강호로 손꼽히며 1975년 8월 25일 홍콩과의 1975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B조 조별리그 1차전에서 국제 A매치 첫 경기를 치렀고 이 경기에서 2-0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국제 대회 경력
여자 월드컵 본선에는 6번 출전하여 6번의 대회에서 모두 조별리그 탈락의 쓴 잔을 들이켰지만 홈에서 열린 2023년 대회 개막전에서 1995년 대회 우승팀인 강호 노르웨이를 꺾는 대이변을 일으키며 뉴질랜드 남녀 A대표팀을 통틀어 월드컵 통산 첫 승의 감격을 맛보았다.
OFC 여자 네이션스컵 11번의 대회 가운데 3위에 머물렀던 1986년 대회를 제외한 모든 대회에서 결승에 올라 6번의 우승과 4번의 준우승을 차지했고 이와 더불어 라이벌팀이자 이 대회 최다 우승국이었던 호주가 2006년 AFC로 소속을 옮기면서 자연스럽게 이 대회 최다 우승국 타이틀을 보유하게 되었다.
AFC 여자 아시안컵 초대 대회인 1975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 초청팀 자격으로 출전하여 이 대회에서 초청팀으로는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고 1993년 CONCACAF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도 초청팀 자격으로 출전하여 이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올림픽 축구 본선에는 3번 출전하여 이 가운데 2012년 대회에서 8강에 오르며 역대 올림픽 축구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
알가르브컵에는 2번 출전하여 처음으로 출전한 2016년 대회에서 4위에 이름을 올렸고 키프로스컵에는 7번 출전하여 2010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2013년 대회에서는 3위에 입상하는 등 3번의 대회에서 4위 이상의 성적을 기록했다.
역대 성적
FIFA 여자 월드컵
뉴질랜드의 FIFA 여자 월드컵 기록
|
|
지역 예선 기록
|
년도
|
개최국
|
단계
|
순위
|
전
|
승
|
무*
|
패
|
득
|
실
|
Squad
|
결과
|
전
|
승
|
무
|
패
|
득
|
실
|
1991 |
|
조별 리그 |
11th |
3 |
0 |
0 |
3 |
1 |
11 |
Squad
|
본선 진출 |
4 |
3 |
0 |
1 |
28 |
1
|
1995 |
|
지역예선 탈락
|
2위 |
4 |
3 |
0 |
1 |
10 |
2
|
1999 |
|
2위 |
4 |
3 |
0 |
1 |
41 |
3
|
2003 |
|
2위 |
4 |
3 |
0 |
1 |
29 |
2
|
2007 |
|
조별 리그 |
14th |
3 |
0 |
0 |
3 |
0 |
9 |
Squad
|
본선 진출 |
3 |
3 |
0 |
0 |
21 |
1
|
2011 |
|
12th |
3 |
0 |
1 |
2 |
4 |
6 |
Squad
|
본선 진출 |
5 |
5 |
0 |
0 |
50 |
0
|
2015 |
|
19th |
3 |
0 |
2 |
1 |
2 |
3 |
Squad
|
본선 진출 |
3 |
3 |
0 |
0 |
30 |
0
|
2019 |
|
20th |
3 |
0 |
0 |
3 |
1 |
5 |
Squad
|
본선 진출 |
5 |
5 |
0 |
0 |
43 |
0
|
2023 |
|
조별 리그 |
3 |
1 |
1 |
1 |
1 |
1 |
Squad
|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본선진출
|
Total |
조별 리그 |
6/9 |
18 |
1 |
4 |
13 |
9 |
35 |
|
|
32 |
28 |
0 |
4 |
252 |
9
|
FIFA 여자 월드컵 역사
|
Year
|
Host
|
Round
|
Date
|
Opponent
|
Result
|
Stadium
|
1991
|
틀:나라자료 China
|
Group stage |
17 November |
덴마크 |
L 0–3 |
Tianhe Stadium, Guangzhou
|
19 November |
노르웨이 |
L 0–4 |
Guangdong Provincial Stadium, Guangzhou
|
21 November |
중화인민공화국 |
L 1–4 |
New Plaza Stadium, Foshan
|
2007
|
틀:나라자료 China
|
Group stage |
12 September |
브라질 |
L 0–5 |
Wuhan Stadium, Wuhan
|
15 September |
덴마크 |
L 0–2
|
20 September |
중화인민공화국 |
L 0–2 |
Tianjin Olympic Centre Stadium, Tianjin
|
2011
|
틀:나라자료 Germany
|
Group stage |
27 June |
일본 |
L 1–2 |
Ruhrstadion, Bochum
|
1 July |
잉글랜드 |
L 1–2 |
Rudolf-Harbig-Stadion, Dresden
|
5 July |
멕시코 |
D 2–2 |
Rhein-Neckar-Arena, Sinsheim
|
2015
|
틀:나라자료 Canada
|
Group stage |
6 June |
네덜란드 |
L 0–1 |
Commonwealth Stadium, Edmonton
|
11 June |
캐나다 |
D 0–0
|
15 June |
중화인민공화국 |
D 2–2 |
Winnipeg Stadium, Winnipeg
|
2019
|
틀:나라자료 France
|
Group stage |
11 June |
네덜란드 |
L 0–1 |
Stade Océane, Le Havre
|
15 June |
캐나다 |
L 0–2 |
Stade des Alpes, Grenoble
|
20 June |
카메룬 |
L 1–2 |
Stade de la Mosson, Montpellier
|
2023
|
틀:나라자료 Australia 틀:나라자료 New Zealand
|
Group stage |
20 July |
노르웨이 |
W 1–0 |
Eden Park, Auckland
|
25 July |
필리핀 |
L 0–1 |
Wellington Regional Stadium, Wellington
|
30 July |
스위스 |
D 0–0 |
Forsyth Barr Stadium, Dunedin
|
올림픽 축구
OFC 여자 네이션스컵
- 1983년: 우승
- 1986년: 3위
- 1989년: 준우승
- 1991년: 우승
- 1995년: 준우승
- 1998년: 준우승
- 2003년: 준우승
- 2007년: 우승
- 2010년: 우승
- 2014년: 우승
- 2018년: 우승
- 2022년: 불참
AFC 여자 아시안컵
CONCACAF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역대 감독
같이 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