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 분리 공간
일반위상수학 에서 극단 분리 공간 (極端分離空間, 영어 : extremally disconnected space )은 임의의 열린집합 의 폐포 가 열린집합 인 위상 공간 이다. 특정 분리공리 를 가정하였을 때, 완전 분리 공간 이나 각종 ‘0차원’ 조건들보다 더 강한 비연결성을 정의한다.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의 경우, 범주론적으로 사영 대상 으로 묘사할 수 있으며, 스톤 공간 으로서 대응하는 불 대수 는 정확히 완비 불 대수 이다.
정의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위상 공간을 극단 분리 공간 이라고 한다.[ 1] :106–107, Exercise 15G, 1
㈀ 임의의 열린집합
U
⊆ ⊆ -->
X
{\displaystyle U\subseteq X}
에 대하여,
cl
-->
U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U}
는 열린집합 이다.
㈁ 임의의 서로소 열린집합
U
,
V
⊆ ⊆ -->
X
{\displaystyle U,V\subseteq X}
에 대하여,
cl
-->
U
∩ ∩ -->
cl
-->
V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U\cap \operatorname {cl} V=\varnothing }
㈂ 임의의 서로소 열린집합
U
,
V
⊆ ⊆ -->
X
{\displaystyle U,V\subseteq X}
에 대하여,
U
⊆ ⊆ -->
f
− − -->
1
(
0
)
{\displaystyle U\subseteq f^{-1}(0)}
,
V
⊆ ⊆ -->
f
− − -->
1
(
1
)
{\displaystyle V\subseteq f^{-1}(1)}
인 연속 함수
f
: : -->
X
→ → -->
[
0
,
1
]
{\displaystyle f\colon X\to [0,1]}
이 존재한다.
㈃ 임의의 열린집합
U
⊆ ⊆ -->
X
{\displaystyle U\subseteq X}
및 연속 함수
f
: : -->
U
→ → -->
[
0
,
1
]
{\displaystyle f\colon U\to [0,1]}
에 대하여,
f
~ ~ -->
|
U
=
f
{\displaystyle {\tilde {f}}|_{U}=f}
인 연속 함수
f
~ ~ -->
: : -->
X
→ → -->
[
0
,
1
]
{\displaystyle {\tilde {f}}\colon X\to [0,1]}
이 존재한다.
㈀ ⇒ ㈁.
U
,
V
⊆ ⊆ -->
X
{\displaystyle U,V\subseteq X}
가 열린집합 이며,
U
∩ ∩ -->
V
=
∅ ∅ -->
{\displaystyle U\cap V=\varnothing }
이라고 하자.
U
{\displaystyle U}
가 열린집합 이므로,
U
∩ ∩ -->
cl
-->
V
=
∅ ∅ -->
{\displaystyle U\cap \operatorname {cl} V=\varnothing }
이다. 마찬가지로,
cl
-->
V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V}
가 열린집합 이므로,
cl
-->
U
∩ ∩ -->
cl
-->
V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U\cap \operatorname {cl} V=\varnothing }
이다.
㈁ ⇒ ㈀. 임의의 열린집합
U
⊆ ⊆ -->
X
{\displaystyle U\subseteq X}
가 주어졌다고 하자.
U
{\displaystyle U}
와
X
∖ ∖ -->
cl
-->
U
{\displaystyle X\setminus \operatorname {cl} U}
는 서로소 열린집합 이므로,
∅ ∅ -->
=
cl
-->
U
∩ ∩ -->
cl
-->
(
X
∖ ∖ -->
cl
-->
U
)
=
cl
-->
U
∩ ∩ -->
X
∖ ∖ -->
int
-->
(
X
∖ ∖ -->
cl
-->
U
)
{\displaystyle \varnothing =\operatorname {cl} U\cap \operatorname {cl} (X\setminus \operatorname {cl} U)=\operatorname {cl} U\cap X\setminus \operatorname {int} (X\setminus \operatorname {cl} U)}
이다. 즉,
cl
-->
U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U}
는 열린집합 이다.
㈀㈁ ⇒ ㈂. 서로소 열린집합
U
,
V
⊆ ⊆ -->
X
{\displaystyle U,V\subseteq X}
가 주어졌을 때,
cl
-->
U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U}
,
cl
-->
V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V}
,
X
∖ ∖ -->
(
cl
-->
U
∩ ∩ -->
cl
-->
V
)
{\displaystyle X\setminus (\operatorname {cl} U\cap \operatorname {cl} V)}
는 서로소 열린닫힌집합 이다. 따라서, 함수
f
: : -->
X
→ → -->
[
0
,
1
]
{\displaystyle f\colon X\to [0,1]}
f
|
cl
-->
U
=
0
{\displaystyle f|_{\operatorname {cl} U}=0}
f
|
cl
-->
V
=
1
{\displaystyle f|_{\operatorname {cl} V}=1}
f
|
X
∖ ∖ -->
(
cl
-->
U
∩ ∩ -->
cl
-->
V
)
=
1
/
2
{\displaystyle f|_{X\setminus (\operatorname {cl} U\cap \operatorname {cl} V)}=1/2}
은 연속 함수 이다.
㈂ ⇒ ㈁. 서로소 열린집합
U
,
V
⊆ ⊆ -->
X
{\displaystyle U,V\subseteq X}
가 주어졌다고 하자. 조건 ㈂에 따라,
U
⊆ ⊆ -->
f
− − -->
1
(
0
)
{\displaystyle U\subseteq f^{-1}(0)}
,
V
⊆ ⊆ -->
f
− − -->
1
(
1
)
{\displaystyle V\subseteq f^{-1}(1)}
인 연속 함수
f
: : -->
X
→ → -->
[
0
,
1
]
{\displaystyle f\colon X\to [0,1]}
를 고르자. 그렇다면,
cl
-->
U
∩ ∩ -->
cl
-->
V
⊆ ⊆ -->
cl
-->
f
− − -->
1
(
0
)
∩ ∩ -->
cl
-->
f
− − -->
1
(
1
)
=
f
− − -->
1
(
0
)
∩ ∩ -->
f
− − -->
1
(
1
)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U\cap \operatorname {cl} V\subseteq \operatorname {cl} f^{-1}(0)\cap \operatorname {cl} f^{-1}(1)=f^{-1}(0)\cap f^{-1}(1)=\varnothing }
이다.
㈀㈁㈂ ⇒ ㈃. 티체 확장 정리 의 증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을 보일 수 있다. 임의의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및 부분 집합
U
⊆ ⊆ -->
X
{\displaystyle U\subseteq 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임의의 연속 함수
f
: : -->
U
→ → -->
[
0
,
1
]
{\displaystyle f\colon U\to [0,1]}
에 대하여,
f
~ ~ -->
|
U
=
f
{\displaystyle {\tilde {f}}|_{U}=f}
인 연속 함수
f
~ ~ -->
: : -->
X
→ → -->
[
0
,
1
]
{\displaystyle {\tilde {f}}\colon X\to [0,1]}
가 존재한다.
임의의 연속 함수
f
: : -->
U
→ → -->
[
0
,
1
]
{\displaystyle f\colon U\to [0,1]}
에 대하여,
f
− − -->
1
(
0
)
⊆ ⊆ -->
f
~ ~ -->
− − -->
1
(
1
)
{\displaystyle f^{-1}(0)\subseteq {\tilde {f}}^{-1}(1)}
,
f
− − -->
1
(
1
)
⊆ ⊆ -->
f
~ ~ -->
− − -->
1
(
1
)
{\displaystyle f^{-1}(1)\subseteq {\tilde {f}}^{-1}(1)}
인 연속 함수
f
~ ~ -->
: : -->
X
→ → -->
[
0
,
1
]
{\displaystyle {\tilde {f}}\colon X\to [0,1]}
가 존재한다.
따라서, 임의의 열린집합
U
⊆ ⊆ -->
X
{\displaystyle U\subseteq X}
가 두 번째 조건을 만족시킴을 보이는 것으로 족하다. 연속 함수
f
: : -->
U
→ → -->
[
0
,
1
]
{\displaystyle f\colon U\to [0,1]}
가 주어졌다고 하자.
U
{\displaystyle U}
가 열린집합 이므로,
V
=
f
− − -->
1
(
[
0
,
1
/
3
)
)
{\displaystyle V=f^{-1}([0,1/3))}
W
=
f
− − -->
1
(
(
2
/
3
,
1
]
)
{\displaystyle W=f^{-1}((2/3,1])}
은
X
{\displaystyle X}
의 서로소 열린집합 이다. 조건 ㈂에 따라,
V
⊆ ⊆ -->
f
~ ~ -->
− − -->
1
(
0
)
{\displaystyle V\subseteq {\tilde {f}}^{-1}(0)}
W
⊆ ⊆ -->
f
~ ~ -->
− − -->
1
(
1
)
{\displaystyle W\subseteq {\tilde {f}}^{-1}(1)}
인 연속 함수
f
~ ~ -->
: : -->
X
→ → -->
[
0
,
1
]
{\displaystyle {\tilde {f}}\colon X\to [0,1]}
이 존재한다. 따라서
f
− − -->
1
(
0
)
⊆ ⊆ -->
V
⊆ ⊆ -->
f
~ ~ -->
− − -->
1
(
0
)
{\displaystyle f^{-1}(0)\subseteq V\subseteq {\tilde {f}}^{-1}(0)}
f
− − -->
1
(
1
)
⊆ ⊆ -->
W
⊆ ⊆ -->
f
~ ~ -->
− − -->
1
(
1
)
{\displaystyle f^{-1}(1)\subseteq W\subseteq {\tilde {f}}^{-1}(1)}
이다.
㈃ ⇒ ㈁. 서로소 열린집합
U
,
V
⊆ ⊆ -->
X
{\displaystyle U,V\subseteq X}
가 주어졌다고 하자. 조건 ㈃에 따라,
U
⊆ ⊆ -->
f
− − -->
1
(
0
)
{\displaystyle U\subseteq f^{-1}(0)}
,
V
⊆ ⊆ -->
f
− − -->
1
(
1
)
{\displaystyle V\subseteq f^{-1}(1)}
인 연속 함수
f
: : -->
X
→ → -->
[
0
,
1
]
{\displaystyle f\colon X\to [0,1]}
가 존재한다. 따라서,
cl
-->
U
∩ ∩ -->
cl
-->
V
⊆ ⊆ -->
cl
-->
f
− − -->
1
(
0
)
∩ ∩ -->
cl
-->
f
− − -->
1
(
1
)
=
f
− − -->
1
(
0
)
∩ ∩ -->
f
− − -->
1
(
1
)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U\cap \operatorname {cl} V\subseteq \operatorname {cl} f^{-1}(0)\cap \operatorname {cl} f^{-1}(1)=f^{-1}(0)\cap f^{-1}(1)=\varnothing }
이다.
성질
함의 관계
모든 이산 공간 은 극단 분리 공간이다. 모든 극단 분리 하우스도르프 공간 은 완전 분리 공간 이다. 극단 분리 하우스도르프 공간 에서, 수렴 점렬은 결국 상수 점렬밖에 없다. 따라서, 제1 가산 공간 인 극단 분리 하우스도르프 공간 은 이산 공간 밖에 없다. 모든 극단 분리 정칙 공간 은 완비 정칙 공간 이다. 임의의 극단 분리 정규 하우스도르프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dim
-->
X
=
0
{\displaystyle \dim X=0}
이다 (
dim
{\displaystyle \dim }
은 르베그 덮개 차원 ).[ 2] :328, Theorem 6.2.25 이는
ind
-->
X
=
0
{\displaystyle \operatorname {ind} X=0}
이나 완전 분리 공간 보다 강한 조건이다.
이산 공간 의 부분 집합은 스스로의 폐포 이므로, 모든 이산 공간 은 자명하게 극단 분리 공간이다.
X
{\displaystyle X}
가 극단 분리 공간이자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며,
S
⊆ ⊆ -->
X
{\displaystyle S\subseteq X}
가 두 점 이상을 포함하는 부분 집합이며,
x
,
y
∈ ∈ -->
S
{\displaystyle x,y\in S}
가 서로 다른 두 점이라고 하자. 하우스도르프 조건에 따라,
y
∉
cl
-->
U
{\displaystyle y\not \in \operatorname {cl} U}
인 열린 근방
U
∋ ∋ -->
x
{\displaystyle U\ni x}
가 존재한다.
X
{\displaystyle X}
가 극단 분리 공간이므로,
cl
-->
U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U}
는 열린닫힌집합 이다. 따라서
S
{\displaystyle S}
는 연결 집합 이 아니며,
X
{\displaystyle X}
는 완전 분리 공간 이다.
이제, 극단 분리 하우스도르프 공간
X
{\displaystyle X}
에서, 점렬
(
x
n
)
n
=
0
∞ ∞ -->
{\displaystyle (x_{n})_{n=0}^{\infty }}
이 점
x
∈ ∈ -->
X
{\displaystyle x\in X}
로 수렴하지만, 결국 상수 점렬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x
∉
cl
-->
U
k
(
k
=
0
,
1
,
… … -->
)
{\displaystyle x\not \in \operatorname {cl} U_{k}\qquad (k=0,1,\ldots )}
가 되는 부분 점렬
(
x
n
k
)
k
=
0
∞ ∞ -->
{\displaystyle (x_{n_{k}})_{k=0}^{\infty }}
및 서로소 열린 근방
U
k
∋ ∋ -->
x
n
k
(
k
=
0
,
1
,
… … -->
)
{\displaystyle U_{k}\ni x_{n_{k}}\qquad (k=0,1,\ldots )}
들을 재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부분 점렬
(
x
n
0
,
… … -->
,
x
n
k
− − -->
1
)
{\displaystyle (x_{n_{0}},\ldots ,x_{n_{k-1}})}
및 서로소 열린 근방
U
i
∋ ∋ -->
x
n
i
{\displaystyle U_{i}\ni x_{n_{i}}}
(
i
=
0
,
… … -->
,
k
− − -->
1
{\displaystyle i=0,\ldots ,k-1}
)이 존재하며,
x
∉
cl
-->
U
i
{\displaystyle x\not \in \operatorname {cl} U_{i}}
(
i
=
0
,
… … -->
,
k
− − -->
1
{\displaystyle i=0,\ldots ,k-1}
)라고 하자. 그렇다면
x
n
k
∈ ∈ -->
X
∖ ∖ -->
(
cl
-->
U
0
∪ ∪ -->
⋯ ⋯ -->
cl
-->
U
k
− − -->
1
)
{\displaystyle x_{n_{k}}\in X\setminus (\operatorname {cl} U_{0}\cup \cdots \operatorname {cl} U_{k-1})}
,
x
n
k
≠ ≠ -->
x
{\displaystyle x_{n_{k}}\neq x}
인
n
k
>
n
k
− − -->
1
{\displaystyle n_{k}>n_{k-1}}
가 존재한다. 하우스도르프 조건에 따라,
x
∉
cl
-->
V
{\displaystyle x\not \in \operatorname {cl} V}
인 열린 근방
V
∋ ∋ -->
x
n
k
{\displaystyle V\ni x_{n_{k}}}
이 존재한다. 이제
U
k
=
V
∖ ∖ -->
(
cl
-->
U
0
∪ ∪ -->
⋯ ⋯ -->
cl
-->
U
k
− − -->
1
)
{\displaystyle U_{k}=V\setminus (\operatorname {cl} U_{0}\cup \cdots \operatorname {cl} U_{k-1})}
로 잡는다. 이제,
U
=
⋃ ⋃ -->
i
=
0
∞ ∞ -->
U
2
i
{\displaystyle U=\bigcup _{i=0}^{\infty }U_{2i}}
라고 하자.
X
{\displaystyle X}
가 극단 분리 공간이므로
cl
-->
U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U}
는 열린집합 이며,
x
{\displaystyle x}
가
(
x
n
2
i
)
i
=
0
∞ ∞ -->
{\displaystyle (x_{n_{2i}})_{i=0}^{\infty }}
의 극한 이므로
x
∈ ∈ -->
cl
-->
U
{\displaystyle x\in \operatorname {cl} U}
이다. 따라서, 충분히 큰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x
n
∈ ∈ -->
cl
-->
U
{\displaystyle x_{n}\in \operatorname {cl} U}
이다. 특히
x
n
k
∈ ∈ -->
cl
-->
U
{\displaystyle x_{n_{k}}\in \operatorname {cl} U}
인 홀수
k
{\displaystyle k}
가 존재한다. 그러나
x
n
k
∈ ∈ -->
U
k
{\displaystyle x_{n_{k}}\in U_{k}}
이며
U
k
∩ ∩ -->
U
=
∅ ∅ -->
{\displaystyle U_{k}\cap U=\varnothing }
이므로
x
n
k
∈ ∈ -->
cl
-->
U
{\displaystyle x_{n_{k}}\in \operatorname {cl} U}
일 수 없다. 이는 모순이다. 즉,
X
{\displaystyle X}
에서 모든 수렴 점렬은 결국 상수 점렬이다. 만약
X
{\displaystyle X}
가 극단 분리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자 제1 가산 공간 이라면, 임의의 부분 집합
S
⊆ ⊆ -->
X
{\displaystyle S\subseteq X}
은 점렬 극한에 대하여 닫혀 있으므로, 닫힌집합 이다. 즉,
X
{\displaystyle X}
는 이산 공간 이다.
X
{\displaystyle X}
가 극단 분리 공간이자 정칙 공간 이며,
F
⊆ ⊆ -->
X
{\displaystyle F\subseteq X}
가 닫힌집합 이며,
x
∈ ∈ -->
X
∖ ∖ -->
F
{\displaystyle x\in X\setminus F}
라고 하자. 정칙 공간 조건에 따라,
cl
-->
U
⊆ ⊆ -->
X
∖ ∖ -->
F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U\subseteq X\setminus F}
인 열린 근방
U
∋ ∋ -->
x
{\displaystyle U\ni x}
가 존재한다.
X
{\displaystyle X}
가 극단 분리 공간이므로,
cl
-->
U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U}
는 열린닫힌집합 이다. 따라서, 함수
f
: : -->
X
→ → -->
[
0
,
1
]
{\displaystyle f\colon X\to [0,1]}
f
|
cl
-->
U
=
0
{\displaystyle f|_{\operatorname {cl} U}=0}
f
|
X
∖ ∖ -->
cl
-->
U
=
1
{\displaystyle f|_{X\setminus \operatorname {cl} U}=1}
는 연속 함수 이며,
x
{\displaystyle x}
와
F
{\displaystyle F}
를 분리한다. 따라서
X
{\displaystyle X}
는 완비 정칙 공간 이다.
정규 하우스도르프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dim
-->
X
=
0
{\displaystyle \dim X=0}
임의의 서로소 닫힌집합
E
,
F
⊆ ⊆ -->
X
{\displaystyle E,F\subseteq X}
에 대하여,
E
⊆ ⊆ -->
U
⊆ ⊆ -->
X
∖ ∖ -->
F
{\displaystyle E\subseteq U\subseteq X\setminus F}
인 열린닫힌집합
U
{\displaystyle U}
가 존재한다.
X
{\displaystyle X}
가 극단 분리 정규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며,
E
,
F
⊆ ⊆ -->
X
{\displaystyle E,F\subseteq X}
가 서로소 닫힌집합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우리손 보조정리 에 따라
E
⊆ ⊆ -->
f
− − -->
1
(
0
)
⊆ ⊆ -->
X
∖ ∖ -->
f
− − -->
1
(
1
)
⊆ ⊆ -->
X
∖ ∖ -->
F
{\displaystyle E\subseteq f^{-1}(0)\subseteq X\setminus f^{-1}(1)\subseteq X\setminus F}
인 연속 함수
f
: : -->
X
→ → -->
[
0
,
1
]
{\displaystyle f\colon X\to [0,1]}
가 존재한다. 이 경우
U
=
cl
-->
f
− − -->
1
(
[
0
,
1
/
2
)
)
{\displaystyle U=\operatorname {cl} f^{-1}([0,1/2))}
은 열린닫힌집합 이며,
E
⊆ ⊆ -->
f
− − -->
1
(
0
)
⊆ ⊆ -->
U
⊆ ⊆ -->
f
− − -->
1
(
[
0
,
1
/
2
]
)
⊆ ⊆ -->
X
∖ ∖ -->
f
− − -->
1
(
1
)
⊆ ⊆ -->
X
∖ ∖ -->
F
{\displaystyle E\subseteq f^{-1}(0)\subseteq U\subseteq f^{-1}([0,1/2])\subseteq X\setminus f^{-1}(1)\subseteq X\setminus F}
을 만족시킨다.
연산에 대한 닫힘
극단 분리 공간의 열린집합 은 극단 분리 공간이다. 극단 분리 공간의 조밀 집합 은 극단 분리 공간이다. 극단 분리 공간의 닫힌집합 은 극단 분리 공간일 필요가 없다. 극단 분리 티호노프 공간
X
{\displaystyle X}
의 스톤-체흐 콤팩트화
β β -->
X
{\displaystyle \beta X}
는 극단 분리 공간이다.[ 2] :328, Theorem 6.2.27 특히, 이산 공간 의 스톤-체흐 콤팩트화 는 극단 분리 공간이다. 극단 분리 공간들의 곱공간 은 극단 분리 공간일 필요가 없다.
범주론적 성질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동치 이다.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3] :488, Theorem 4.2
예
유리수 의 공간
Q
{\displaystyle \mathbb {Q} }
는 완전 분리 공간 이며, 르베그 덮개 차원 이 0이지만, 극단 분리 공간이 아니다. 예를 들어,
(
0
,
1
)
∩ ∩ -->
Q
{\displaystyle (0,1)\cap \mathbb {Q} }
는 열린집합 이지만, 그 폐포
[
0
,
1
]
∩ ∩ -->
Q
{\displaystyle [0,1]\cap \mathbb {Q} }
는 열린집합 이 아니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