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슈 방언

규슈 방언(일본어: 九州方言 규슈호겐[*])은 규슈 지방에서 사용되는 일본어의 방언이다.[1] 흔히 규슈벤(九州弁 きゅうしゅうべん[*])이라고도 한다. 크게 호니치 방언(豊日方言), 히치쿠 방언(肥筑方言), 사쓰구 방언(薩隅方言)의 셋으로 나눈다.[1][2] 동일본 방언, 서일본 방언과 함께 일본어의 본토 방언을 구성하지만, 오쿠무라 미쓰오(奥村三雄) 등의 학자는 서일본 방언에 포함된다고 본다.

분류

호니치 방언(豊日方言)은 후쿠오카현 동부(기타큐슈 지방, 치쿠호 지방), 오이타현, 미야자키현(남서부 제외)의 방언으로, 세토 내해 건너의 주고쿠 방언이나 시코쿠 방언과 몇 가지 특징을 공유한다. 히치쿠 방언(肥筑方言)은 후쿠오카현 남부(후쿠오카 지방, 치쿠고 지방), 사가현, 나가사키현, 구마모토현의 방언으로, 이 방언의 특징이 규슈벤의 특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사쓰구 방언(薩隅方言)은 가고시마현(아마미 제도 제외)과 미야자키현 남서부의 모로카타 지방의 방언으로, 폐음절의 발달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또한 쓰시마나 고토, 오스미 제도 등의 낙도에서는 각 섬마다의 특징적인 방언이 사용된다.

규슈 방언 전체의 기본적인 문법은 서일본 방언과 공통되는 부분이 많으며, 규슈 방언을 서일본 방언의 하위 구분으로 보는 경우도 많다.

발음

  • 모음무성화가 잘 일어난다.[3]이누(犬, 개)를 (いん)이라 하거나 아키가(秋が, 가을이)를 악가(あっが)라 하는 등 모음 탈락에 따른 발음화, 촉음화가 잘 일어난다.[4]
  • 옛날의 연모음 'ou, oo, eu'(합음)이 'uː'로 바뀌어 있다. 예로는 오오카미(狼, 늑대)를 우-카미(うーかみ)라 하는 것과 쿄-(今日, 오늘)를 큐-(きゅー)라 하는 것 따위가 있다. 이들은 공통어에서 'oː'로 발음된다.[5][6]
  • 악센트는 크게 북동부의 도쿄식 악센트, 남서부의 2형식 악센트, 그 중간의 무악센트로 나뉜다. 후쿠오카현 지쿠젠, 부젠에서 오이타현에 걸친 지역에서는 도쿄식 악센트를 사용한다. 나가사키현 중남부, 사가현 남서부, 구마모토현 서부, 가고시마현 대부분에서는 이형식 악센트를 사용하며 그 둘 사이에 끼인 나가사키현 고토 열도, 나가사키현 북부, 사가현 북부, 후쿠오카현 치쿠고, 구마모토현 동부, 미야자키현 대부분에서는 무악센트를 사용한다. 한편 미야자키현 고바야시시-미야코노조시-가고시마현 소오시-시부시시의 일부에 남북으로 좁고 길게 걸쳐진 지역에서는 1형식 악센트가 사용된다.
  • 세・제(せ・ぜ)가 셰・졔(しぇ・じぇ)로, 에(え)가 예(いぇ)로 발음되거나 합요음 콰・과(くゎ・ぐゎ)가 남아있는 등 고음(古音)이 고령층을 중심으로 남아있다.[7][8]
  •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ぢ와 じ, ず와 づ를 구별한다(요츠가나의 구별).[9]
  •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ガ행 비탁음이 나타나지 않는다.[10]
  • 종종 에(エ)가 이(イ)가 되거나, 오(オ)가 우(ウ)가 되는 협모음화가 일어난다.
  • エイ를 [ei]라 발음한다. 예를 들어 선생님(先生)을 센세-(センセー)가 아니라 센세이(センセイ)라고 한다.[11]

문법

  • 단정조동사 じゃ・や, 부정조동사 ん, おる(居る), よる와 とる・ちょる의 구별, 형용사와 ワ행 5단동사의 연용형 ウ음편 등은 서일본 방언과 공통된다.
  • 동사의 하2단활용이 있는 것 말고도 일부에는 상2단활용도 있다.[12]
  • 상황가능을 가능동사 또는 미연형+るる・らるる, 능력가능을 연용형+きる・ゆる・がなる 등으로 나누어 사용한다.[13]
    • 예: この魚は食べられん(이 물고기는 (상했기 때문에) 먹을 수 없어), この魚は食べきらん(이 물고기는 (내가 좋아하는 음식이 아니기 때문에) 먹을 수 없어)
  • 공통어에서 연용형+ている라 하는 것을, 습관이나 현재 이동・변화하고 있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경우에 연용형+よる로,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에 연용형+とる/ちょる로 구분하여 말한다(의 구별).[14]
    • 예: 電車が来よる(전철이 다가오고 있다), 電車が来とる/来ちょる(이미 전철이 도착했다)
    • 예: 雨が降りよる(지금 비가 내리고 있다), 雨が降っとる/降っちょる(아까까지 비가 내리고 있었다)
  • 호니치 방언을 제외하고 형용사종지형연체형 어미가 か가 될 적이 많다(カ 어미).[15]
    • 예: すごか(すごい, 굉장하다)
  • 후쿠오카현 동부와 오이타현을 제외하고 준체조사로 と를 사용한다.[16][17][18]
    • 예: 何ばしよるとですか(何をしているのですか,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로 さい나 さん 등이 사용된다.[19]
  • 원인이나 이유의 접속조사로는 けに・けん・けー・きー・き를 후쿠오카, 오이타, 사가, 구마모토현에서 사용하며, から・かい를 미야자키현과 가고시마현 다네가섬야쿠섬에서 사용한다. 또한 가고시마현(사쓰구 방언)에서 で를 사용하고 나가사키현의 일부 등지에서는 せん(しぇん)・せに・せーに 따위를 사용한다.[19]
  • 5단동사의 연용형 음편은 위의 ワ행 5단이 ウ음편이 되며, マ행 5단과 バ행 5단도 ウ음편이 된다. 한편 サ행 5단은 イ음편을 취한다.[20]
    • 예: のーだ・ぬーだ(飲んだ, 마셨다), だいた・でーた・じゃーた(出した, 냈다)

하위 구분

각주

  1. 東条 1953.
  2. 上村 1983.
  3. 上村 1983, 9쪽.
  4. 平山 1998.
  5. 上村 1983, 10쪽.
  6. 佐藤 2002, 24-25쪽.
  7. 上村 1983, 8, 11-12, 14쪽.
  8. 佐藤 2002, 30–32쪽.
  9. 上村 1983, 12쪽.
  10. 佐藤 2002, 26–27쪽.
  11. 平山輝男 (1968)『日本の方言』, 東京:講談社
  12. 上村 1983, 17쪽.
  13. 上村 1983, 20쪽.
  14. 上村 1983, 21쪽.
  15. 上村 1983, 18쪽.
  16. 都竹 1986, 143쪽.
  17. 平山輝男編『日本のことばシリーズ40福岡県のことば』明治書院、1997年、33頁。
  18. 『講座方言学 9 ―九州地方の方言―』265頁。
  19. 上村 1983, 23쪽.
  20. 都竹 1986, 124쪽.

참고문헌

  • 上村孝二 (1983). 〈九州方言の概説〉. 《講座方言学 9 九州地方の方言》. 国書刊行会. 
  • 佐藤亮一 (2002). 〈現代日本語の発音分布〉. 飛田良文・佐藤武義. 《現代日本語講座 第3巻 発音》. 明治書院. 
  • 都竹通年雄 (1986). 〈文法概説〉. 飯豊毅一・日野資純・佐藤亮一. 《講座方言学 1 ―方言概説―》. 国書刊行会. 
  • 東条操 (1953). 〈序説〉. 東条操. 《日本方言学》. 吉川弘文館. 
  • 平山輝男 (1998). 〈全日本の発音とアクセント〉. NHK放送文化研究所. 《NHK日本語発音アクセント辞典》. 日本放送出版協会.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