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잡이라쿤

게잡이라쿤
우루과이 카르멜로 야생 보호구의 게잡이라쿤
우루과이 카르멜로 야생 보호구의 게잡이라쿤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아목: 개아목
과: 아메리카너구리과
속: 아메리카너구리속
종: 게잡이라쿤
(P. cancrivorus)
학명
Procyon cancrivorus
(Cuvier, 1798)
아종
  • 본문 참조
게잡이라쿤의 분포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게잡이라쿤(Procyon cancrivorus)은 중앙아메리카남아메리카(트리니다드 토바고 포함)의 습지와 정글 지역에 사는 라쿤의 일종이다.

코스타리카부터 남쪽으로 안데스산맥 동부의 아르헨티나 북부와 우루과이에 이르는 대부분의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발견된다.[1] 게잡이라쿤으로 불리지만, 이 종만이 게를 먹는 것은 아니고 라쿤(아메리카너구리) 또한 게를 먹는다.

게잡이라쿤은 바닷가재 그리고 기타 갑각류 등을 먹이로 먹지만, 잡식성 동물로 예를 들어 작은 양서류와 거북의 알, 식물 열매 등도 먹는다. 북부 지역에 서식하는 사촌 종이며, 털이 더부룩한 반지 모양 꼬리와 눈 둘레에 "산적 가면" 모양의 털을 가진 라쿤을 닮았다. 아메리카너구리와는 달리, 목덜미의 털이 뒷쪽으로 향하지 않고 머리 쪽 방향으로 나 있다.[2]

아종

4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

  • P. c. cancrivorus
  • P. c. aequatorialis
  • P. c. nigripes
  • P. c. panamensis

계통 분류

다음은 라쿤과의 계통 분류이다.[3][4][5]

라쿤과
킨카주속

킨카주

올링고속

올링기토

북부올링고

서부저지대올링고

동부저지대올링고

긴코너구리

남아메리카코아티

흰코코아티

마운틴코아티속

동부마운틴코아티

서부마운틴코아티

라쿤속

라쿤

게잡이라쿤

카코미슬고양이속

카코미슬고양이

알락꼬리고양이

사진 y

각주

  1. “Procyon cancrivor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1월 26일에 확인함. 
  2. Zeveloff, Samuel (2002). 《Raccoons: a natural history》. Smithsonian Books. ISBN 978-1588340337. 
  3. K.-P. Koepfli, M. E. Gompper, E. Eizirik, C.-C. Ho, L. Linden, J. E. Maldonado, R. K. Wayne (2007). “Phylogeny of the Procyonidae (Mammalia: Carvnivora): Molecules, morphology and the Great American Interchang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3 (3): 1076–1095. doi:10.1016/j.ympev.2006.10.003. PMID 17174109. 
  4. Helgen, K. M.; Pinto, M.; Kays, R.; Helgen, L.; Tsuchiya, M.; Quinn, A.; Wilson, D.; Maldonado, J. (2013년 8월 15일). “Taxonomic revision of the olingos (Bassaricyon),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the Olinguito”. 《ZooKeys》 324: 1–83. doi:10.3897/zookeys.324.5827. 
  5. Eizirik, E.; Murphy, W. J.; Koepfli, K.-P.; Johnson, W. E.; Dragoo, J. W.; Wayne, R. K.; O’Brien, S. J. (2010년 2월 4일).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56 (1): 49–63. doi:10.1016/j.ympev.2010.01.033. PMID 201382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