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세자빈(王世子嬪) 또는 대한제국의 황태자비(皇太子妃)는 조선에서 왕세자의 정배(正配, 嫡室)에게 내린 작위이다. 흔히 빈궁(嬪宮)이라고도 한다. 경칭은 왕세자와 동등하게 저하(邸下)이며 품계는 없다. 세자빈은 장차 일국의 왕비가 될 몸이었기 때문에 간택을 할 때도 일정한 절차를 통해 신중히 골랐다. 간택이 확정되면 책봉의 가례를 거행하며, 임금의 교지가 전달된다. 그러나 가끔은 정치적 함수 관계에 따라 세자빈이 아니라 세제빈, 세손빈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왕세자빈의 품계
내명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왕세자빈(王世子嬪)의 품계는 왕비(王妃)와 마찬가지로 무계(無階)에 속한다.
정일품(正一品) 빈(嬪)은 왕의 후궁(후실)을 일컫는 것이고 세자빈의 품계는 무계(無階)이다.
- 배위(配位)의 원칙
- 왕세자빈의 경칭은 왕세자(王世子)와 마찬가지로 저하(邸下)인데 이것은 배위(配位)의 원칙에 입각한 것이다.[1] 따라서 왕세자빈은 왕세자와 마찬가지로 복장에서도 곤룡포(사조룡보)가 가슴과 등, 그리고 양 어깨에 붙어있다.
- 경국대전 이전(吏典) 1면
- 경국대전 이전 1면에서는 내명부(內命婦)와 세자궁(世子宮)이 구분되어 있고, 왕비(王妃)와 세자빈(世子嬪)은 품계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다.[2] 세자빈은 세자궁 소속으로[3] 왕비(王妃)와 마찬가지로 표기가 되어있지 않는 점을 보아 무계(無階)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역대 왕세자빈
다음은 조선시대의 역대 왕세자빈을 나열한 것이다.
역대 황태자비
기타
- 조선 제10대 왕인 연산군(燕山君)의 폐세자 황(皇+頁)은 정세명(丁世明)의 딸을 세자빈으로 맞았으나 길례를 행하기 전에 중종반정이 일어났기에 정식 세자빈이 아니었다. 그 뒤 정세명(丁世明)의 딸은 강희신(姜熙臣)에게 시집갔다.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