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론에서 클럽 집합(club集合, 영어: club set)은 주어진 순서수보다 작은 순서수들 가운데 "거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집합이며, 정상 집합(定常集合, 영어: stationary set)은 주어진 순서수보다 작은 순서수들 가운데 "충분한 수"를 포함하여, 임의의 클럽 집합과 하나 이상의 원소를 공유하는 집합이다. 즉, 이 두 개념의 관계는 공집합이 아닌 열린집합과 조밀 집합의 관계와 같다.
정의
클럽 집합
극한 순서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부분 집합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면 -클럽 집합(영어: -club set)이라고 한다.
- 순서 위상에 대하여 닫힌집합이다. 즉,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라면, 이다.
- 이다. 즉,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가 존재한다.
정상 집합
임의의 기수 및 부분 집합 가 주어졌으며, 의 공종도가 비가산이라고 하자.
만약 와 임의의 -클럽 집합의 교집합이 공집합이 아니라면, 를 정상 집합이라고 한다.
성질
연산에 대한 닫힘
클럽 집합들은 유한 교집합에 대하여 닫혀 있다. 즉, 기수 및 두 -클럽 집합 가 주어졌을 때, 역시 -클럽 집합이다. 즉, 클럽 집합들은 필터 기저를 이루며, 클럽 집합을 포함하는 집합들은 필터를 이룬다. 이를 의 클럽 필터(영어: club filter)라고 한다.
클럽 집합과 정상 집합의 교집합은 정상 집합이다. 즉, 기수 및 -정상 집합 와 -클럽 집합 가 주어졌을 때, 역시 정상 집합이다.
솔로베이 분할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정칙 비가산 기수
- 정상 집합
그렇다면, 솔로베이 정상 집합 분할 정리(Solovay定常集合分割定理, 영어: Solovay’s theorem on partitions of stationary sets)에 따르면, 는 개의 정상 집합들로 분할될 수 있다.
포도르 정리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정칙 비가산 기수
- 정상 집합
- 함수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고 하자.
- 임의의 에 대하여,
포도르 정리(영어: Fodor’s theorem)에 따르면, 인 정상 부분 집합 와 순서수 가 존재한다.[1]:Theorem 1.5
말로 기수
-정상 집합들의 모임을 로 표기하자.
기수의 모임 의 부분 모임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모임을 정의할 수 있다.
이를 말로 연산(Mahlo演算, 영어: Mahlo operation)이라고 한다.[2]:18
기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기수를 말로 기수(Mahlo基數, 영어: Mahlo cardinal)라고 한다.
- 만약 가 도달 불가능한 기수의 모임일 경우, 이다.[2]:21
- 임의의 에 대하여, 가 되는 도달 불가능한 기수 가 존재한다.[2]:57, Proposition 6.2(b)
여기서 는 폰 노이만 전체의 단계이며, 는 이항 연산 과 상수 기호 를 갖춘 구조이며, 는 기본 매장의 존재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만약 가 약하게 도달 불가능한 기수의 모임일 경우, 의 원소를 약한 말로 기수(弱-Mahlo基數, 영어: weakly Mahlo cardinal)라고 한다.[2]:17 일반화 연속체 가설을 가정한다면 약하게 도달 불가능한 기수의 개념은 도달 불가능한 기수의 개념과 일치하므로,[2]:18 마찬가지로 약한 말로 기수의 개념은 말로 기수의 개념과 일치한다.
말로 연산은 다음과 같이 초한 귀납법으로 반복할 수 있다.
이를 사용하여, -말로 기수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즉, 0-말로 기수는 도달 불가능한 기수이며, 1-말로 기수는 말로 기수이다.
말로 기수는 큰 기수의 일종이다. 즉, 말로 기수의 존재 또는 부재는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선택 공리(ZFC)로부터 증명할 수 없다. (이는 물론 ZFC가 무모순적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기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존재한다. (즉, 이는 무모순성 관계보다 더 강하다.)
- 도달 불가능한 기수 ⇐ 말로 기수 ⇐ 약콤팩트 기수 ⇐ 강콤팩트 기수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3]:§9
여기서
- : 도달 불가능한 기수의 모임
- : 가측 기수의 모임
- : 초콤팩트 기수의 모임
- : 확장 가능 기수(영어: extendible cardinal)의 모임
- : 초거대 기수(영어: superhuge cardinal)의 모임
다이아몬드 원리
기수 및 -정상 집합 에 대하여, -다이아몬드 집합렬(영어: -diamond sequence)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 임의의 에 대하여, 는 -정상 집합이다.
-다이아몬드 원리(-diamond原理, 영어: -diamond principle) 는 -다이아몬드 집합렬이 존재한다는 명제이다.[4]
은 흔히 다이아몬드 원리 라고 표기한다.
구성 가능성 공리는 다이아몬드 원리를 함의하며, 다이아몬드 원리는 수슬린 가설의 부정 및 연속체 가설을 함의한다.
즉, 이는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선택 공리로 증명하거나 반증할 수 없다.
역사
1911년에 프리드리히 파울 말로(독일어: Friedrich Paul Mahlo, 1883~1971)가 약한 말로 기수의 개념을 "ρ0-수"(독일어: ρ0-Zahl)라는 이름으로 1911년에 도입하였다.[5][6][7]
정상 집합의 개념은 제라르 블로크(프랑스어: Gérard Bloch)가 1953년에 도입하였다.[8][1]:§1.1
포도르 정리는 포도르 게저(헝가리어: Fodor Géza, 1927~1977)가 1956년에 증명하였다.[9] 솔로베이 정상 집합 분할 정리는 로버트 솔로베이가 1971년에 증명하였다.[10]
다이아몬드 원리는 로널드 비언 젠슨(영어: Ronald Björn Jensen, 1936~)이 1972년에 도입하였다.[11]
"클럽 집합"(영어: club set)이라는 이름은 영어로 "닫힌집합이자 비유계 집합"(영어: closed and unbounded)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1]:Definition 1.1
각주
- ↑ 가 나 다 Jech, Thomas (2010). 〈Stationary sets〉 (PDF). Foreman, Matthew; Kanamori, Akihiro. 《Handbook of set theory》 (영어). Springer-Verlag. 93–128쪽. doi:10.1007/978-1-4020-5764-9_2. ISBN 978-1-4020-4843-2. 2016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Kanamori, Akihiro (2003). 《The higher infinite: large cardinals in set theory from their beginnings》.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영어) 2판. Springer-Verlag. doi:10.1007/978-3-540-88867-3. ISBN 978-3-540-88866-6. ISSN 1439-7382. Zbl 1022.03033.
- ↑ Shulman, Michael A. (2008). “Set theory for category theory” (영어). arXiv:0810.1279. Bibcode:2008arXiv0810.1279S.
- ↑ Rinot, Assaf (2011). 〈Jensen’s diamond principle and its relatives〉. Babinkostova, L.; Caicedo, A. E.; Geschke, S.; Scheepers, M. 《Set Theory and Its Applications》. Contemporary Mathematics (영어) 533. arXiv:0911.2151. Bibcode:2009arXiv0911.2151R. doi:10.1090/conm/533/10506. ISBN 978-0-8218-4812-8. MR 2777747.
- ↑ Mahlo, Paul (1911). “Über lineare transfinite Mengen”. 《Berichte über die Verhandlungen der Königlich Sächsischen Gesellschaft der Wissenschaften zu Leipzig. Mathematisch-Physische Klasse》 (독일어) 63: 187–225. Zbl 42.0090.02.
- ↑ Mahlo, Paul (1912). “Zur Theorie und Anwendung der ρ0-Zahlen”. 《Berichte über die Verhandlungen der Königlich Sächsischen Gesellschaft der Wissenschaften zu Leipzig. Mathematisch-Physische Klasse》 (독일어) 64: 108–112. Zbl 43.0113.01.
- ↑ Mahlo, Paul (1913). “Zur Theorie und Anwendung der ρ0-Zahlen II”. 《Berichte über die Verhandlungen der Königlich Sächsischen Gesellschaft der Wissenschaften zu Leipzig. Mathematisch-Physische Klasse》 (독일어) 65: 268–282. JFM 44.0092.02.
- ↑ Bloch, Gérard (1953). “Sur les ensembles stationnaires de nombres ordinaux et les suites distinguées de fonctions régressives”.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프랑스어) 236: 265–268.
- ↑ Fodor, G. (1956). “Eine Bemerkung zur Theorie der regressiven Funktionen”. 《Acta Scientiarum Mathematicarum Universitatis Szegediensis》 (독일어) 17: 139-142. 2016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1일에 확인함.
- ↑ Solovay, Robert M. (1971). 〈Real-valued measurable cardinals〉. Scott, Dana S. 《Axiomatic set theory. Part 1》. Proceedings of Symposia in Pure Mathematics (영어) 13.1.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97–428쪽. doi:10.1090/pspum/013.1/0290961. MR 0290961.
- ↑ Jensen, Ronald Björn (1972). “The fine structure of the constructible hierarchy”. 《Annals of Mathematical Logic》 (영어) 4: 229–308. doi:10.1016/0003-4843(72)90001-0. MR 030972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