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에서 아벨 변환 (-變換, 영어 : Abel transformation ) 또는 아벨 보조정리 (-補助定理, 영어 : Abel's lemma ) 또는 아벨 부분합 공식 (-部分合公式, 영어 : Abel's partial summation formula ) 또는 부분 합산 (部分合算, 영어 : summation by parts )은 두 수열 의 곱의 합을 다른 두 수열의 곱의 합으로 바꾸는 방법이다. 부분 적분 의 이산적 형태다.
정의
아벨 변환 에 따르면, 임의의 자연수
n
≥ ≥ -->
0
{\displaystyle n\geq 0}
및 두 묶음의 복소수
a
0
,
a
1
,
… … -->
,
a
n
∈ ∈ -->
C
{\displaystyle a_{0},a_{1},\dots ,a_{n}\in \mathbb {C} }
및
b
0
,
b
1
,
… … -->
,
b
n
∈ ∈ -->
C
{\displaystyle b_{0},b_{1},\dots ,b_{n}\in \mathbb {C} }
에 대하여,
A
i
=
a
0
+
a
1
+
⋯ ⋯ -->
+
a
i
(
i
=
0
,
1
,
… … -->
,
n
)
{\displaystyle A_{i}=a_{0}+a_{1}+\cdots +a_{i}\qquad (i=0,1,\dots ,n)}
라고 하였을 때, 다음 공식이 성립한다.[ 1] :180
∑ ∑ -->
i
=
0
n
a
i
b
i
=
A
n
b
n
+
∑ ∑ -->
i
=
0
n
− − -->
1
A
i
(
b
i
− − -->
b
i
+
1
)
{\displaystyle \sum _{i=0}^{n}a_{i}b_{i}=A_{n}b_{n}+\sum _{i=0}^{n-1}A_{i}(b_{i}-b_{i+1})}
보다 일반적으로, 가환환
K
{\displaystyle K}
및
K
{\displaystyle K}
-가군
V
{\displaystyle V}
,
W
{\displaystyle W}
,
M
{\displaystyle M}
및
K
{\displaystyle K}
-쌍선형 변환
ϕ ϕ -->
: : -->
V
⊗ ⊗ -->
W
→ → -->
M
{\displaystyle \phi \colon V\otimes W\to M}
이 주어졌을 때, 임의의 자연수
n
≥ ≥ -->
0
{\displaystyle n\geq 0}
및 두 묶음의 가군 원소
a
0
,
a
1
,
… … -->
,
a
n
∈ ∈ -->
V
{\displaystyle a_{0},a_{1},\dots ,a_{n}\in V}
및
b
0
,
b
1
,
… … -->
,
b
n
∈ ∈ -->
W
{\displaystyle b_{0},b_{1},\dots ,b_{n}\in W}
및
A
i
=
a
0
+
a
1
+
⋯ ⋯ -->
+
a
i
∈ ∈ -->
V
(
i
=
0
,
1
,
… … -->
,
n
)
{\displaystyle A_{i}=a_{0}+a_{1}+\cdots +a_{i}\in V\qquad (i=0,1,\dots ,n)}
에 대하여, 다음 공식이 성립한다.
∑ ∑ -->
i
=
0
n
ϕ ϕ -->
(
a
i
,
b
i
)
=
ϕ ϕ -->
(
A
n
,
b
n
)
+
∑ ∑ -->
i
=
0
n
− − -->
1
ϕ ϕ -->
(
A
i
,
b
i
− − -->
b
i
+
1
)
{\displaystyle \sum _{i=0}^{n}\phi (a_{i},b_{i})=\phi (A_{n},b_{n})+\sum _{i=0}^{n-1}\phi (A_{i},b_{i}-b_{i+1})}
이는 단순히 식을 전개하고 재배열하여 증명할 수 있다.
응용
아벨 변환을 사용하여, 급수의 수렴과 관련된 여러 명제들을 증명할 수 있다.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예
등차수열의 합
처음
n
{\displaystyle n}
개의 양의 정수의 합
∑ ∑ -->
k
=
1
n
k
=
1
+
2
+
⋯ ⋯ -->
+
n
{\displaystyle \sum _{k=1}^{n}k=1+2+\cdots +n}
을 구하자.
a
n
=
1
{\displaystyle a_{n}=1}
b
n
=
k
{\displaystyle b_{n}=k}
라고 하자. 그렇다면 첫 번째 수열의 부분합은
A
n
=
a
1
+
a
2
+
⋯ ⋯ -->
+
a
n
=
1
+
1
+
⋯ ⋯ -->
+
1
⏟ ⏟ -->
n
=
n
{\displaystyle A_{n}=a_{1}+a_{2}+\cdots +a_{n}=\underbrace {1+1+\cdots +1} _{n}=n}
이다. 따라서, 등차수열의 합에 아벨 변환을 가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k
=
1
n
k
=
∑ ∑ -->
k
=
1
n
(
1
⋅ ⋅ -->
k
)
=
n
⋅ ⋅ -->
n
+
∑ ∑ -->
k
=
1
n
− − -->
1
k
(
k
− − -->
(
k
+
1
)
)
=
n
2
− − -->
∑ ∑ -->
k
=
1
n
− − -->
1
k
=
n
2
− − -->
(
∑ ∑ -->
k
=
1
n
k
− − -->
n
)
=
n
2
+
n
− − -->
∑ ∑ -->
k
=
1
n
k
{\displaystyle {\begin{aligned}\sum _{k=1}^{n}k&=\sum _{k=1}^{n}(1\cdot k)\\&=n\cdot n+\sum _{k=1}^{n-1}k(k-(k+1))\\&=n^{2}-\sum _{k=1}^{n-1}k\\&=n^{2}-\left(\sum _{k=1}^{n}k-n\right)\\&=n^{2}+n-\sum _{k=1}^{n}k\end{aligned}}}
우변의 급수를 이항하고 양변을 2로 나누면, 처음
n
{\displaystyle n}
개의 양의 정수의 합
∑ ∑ -->
k
=
1
n
k
=
n
2
+
n
2
{\displaystyle \sum _{k=1}^{n}k={\frac {n^{2}+n}{2}}}
을 얻는다.
제곱수의 합
제곱수의 합
∑ ∑ -->
k
=
1
n
k
2
=
1
+
4
+
⋯ ⋯ -->
+
n
2
{\displaystyle \sum _{k=1}^{n}k^{2}=1+4+\cdots +n^{2}}
을 생각하자.
a
n
=
b
n
=
n
{\displaystyle a_{n}=b_{n}=n}
라고 하였을 때, 등차수열의 합의 공식에 따라
A
n
=
a
1
+
⋯ ⋯ -->
+
a
n
=
1
+
2
+
⋯ ⋯ -->
+
n
=
n
2
+
n
2
{\displaystyle A_{n}=a_{1}+\cdots +a_{n}=1+2+\cdots +n={\frac {n^{2}+n}{2}}}
이다. 아벨 변환을 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
k
=
1
n
k
2
=
n
2
+
n
2
⋅ ⋅ -->
n
+
∑ ∑ -->
k
=
1
n
− − -->
1
k
2
+
k
2
⋅ ⋅ -->
(
k
− − -->
(
k
+
1
)
)
=
n
3
+
n
2
2
− − -->
∑ ∑ -->
k
=
1
n
− − -->
1
k
2
+
k
2
=
n
3
+
n
2
2
− − -->
∑ ∑ -->
k
=
1
n
k
2
+
k
2
+
n
2
+
n
2
=
n
3
+
n
2
2
− − -->
1
2
∑ ∑ -->
k
=
1
n
k
2
− − -->
1
2
∑ ∑ -->
k
=
1
n
k
+
n
2
+
n
2
=
n
3
+
n
2
2
− − -->
1
2
∑ ∑ -->
k
=
1
n
k
2
− − -->
n
2
+
n
4
+
n
2
+
n
2
=
2
n
3
+
3
n
2
+
n
4
− − -->
1
2
∑ ∑ -->
k
=
1
n
k
2
{\displaystyle {\begin{aligned}\sum _{k=1}^{n}k^{2}&={\frac {n^{2}+n}{2}}\cdot n+\sum _{k=1}^{n-1}{\frac {k^{2}+k}{2}}\cdot (k-(k+1))\\&={\frac {n^{3}+n^{2}}{2}}-\sum _{k=1}^{n-1}{\frac {k^{2}+k}{2}}\\&={\frac {n^{3}+n^{2}}{2}}-\sum _{k=1}^{n}{\frac {k^{2}+k}{2}}+{\frac {n^{2}+n}{2}}\\&={\frac {n^{3}+n^{2}}{2}}-{\frac {1}{2}}\sum _{k=1}^{n}k^{2}-{\frac {1}{2}}\sum _{k=1}^{n}k+{\frac {n^{2}+n}{2}}\\&={\frac {n^{3}+n^{2}}{2}}-{\frac {1}{2}}\sum _{k=1}^{n}k^{2}-{\frac {n^{2}+n}{4}}+{\frac {n^{2}+n}{2}}\\&={\frac {2n^{3}+3n^{2}+n}{4}}-{\frac {1}{2}}\sum _{k=1}^{n}k^{2}\end{aligned}}}
이다. 따라서, 제곱수의 합은
∑ ∑ -->
k
=
1
n
k
2
=
2
n
3
+
3
n
2
+
n
6
{\displaystyle \sum _{k=1}^{n}k^{2}={\frac {2n^{3}+3n^{2}+n}{6}}}
이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거듭제곱수의 합을 아벨 변환을 통하여 귀납적으로 구할 수 있다.
교대급수
교대급수
∑ ∑ -->
n
=
1
∞ ∞ -->
(
− − -->
1
)
n
− − -->
1
n
{\displaystyle \sum _{n=1}^{\infty }{\frac {(-1)^{n-1}}{n}}}
는 교대급수 판정법 에 따라 수렴한다. 이 교대급수의 부분합 에 대하여 아벨 변환을 직접 적용해 보자.
a
n
=
(
− − -->
1
)
n
− − -->
1
{\displaystyle a_{n}=(-1)^{n-1}}
b
n
=
1
n
(
n
∈ ∈ -->
Z
+
)
{\displaystyle b_{n}={\frac {1}{n}}\qquad (n\in \mathbb {Z} ^{+})}
로 놓자. 그렇다면
A
n
=
a
1
+
⋯ ⋯ -->
+
a
n
=
{
1
n
=
1
,
3
,
5
,
… … -->
0
n
=
2
,
4
,
6
,
… … -->
{\displaystyle A_{n}=a_{1}+\cdots +a_{n}={\begin{cases}1&n=1,3,5,\dots \\0&n=2,4,6,\dots \end{cases}}}
이다. 따라서 아벨 변환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 -->
x
⌋ ⌋ -->
{\displaystyle \lfloor x\rfloor }
는 바닥 함수 ).
∑ ∑ -->
k
=
1
n
(
− − -->
1
)
k
− − -->
1
k
=
A
n
⋅ ⋅ -->
1
n
+
∑ ∑ -->
k
=
1
n
− − -->
1
A
k
(
1
k
− − -->
1
k
+
1
)
=
A
n
⋅ ⋅ -->
1
n
+
∑ ∑ -->
k
=
1
n
− − -->
1
A
k
⋅ ⋅ -->
1
k
(
k
+
1
)
{\displaystyle {\begin{aligned}\sum _{k=1}^{n}{\frac {(-1)^{k-1}}{k}}&=A_{n}\cdot {\frac {1}{n}}+\sum _{k=1}^{n-1}A_{k}\left({\frac {1}{k}}-{\frac {1}{k+1}}\right)\\&=A_{n}\cdot {\frac {1}{n}}+\sum _{k=1}^{n-1}A_{k}\cdot {\frac {1}{k(k+1)}}\end{aligned}}}
여기에 극한
n
→ → -->
∞ ∞ -->
{\displaystyle n\to \infty }
를 취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n
=
1
∞ ∞ -->
(
− − -->
1
)
k
− − -->
1
k
=
∑ ∑ -->
n
=
1
∞ ∞ -->
1
2
n
(
2
n
− − -->
1
)
{\displaystyle \sum _{n=1}^{\infty }{\frac {(-1)^{k-1}}{k}}=\sum _{n=1}^{\infty }{\frac {1}{2n(2n-1)}}}
새로운 급수는 비교 판정법 에 의하여 수렴하므로, 교대급수 역시 수렴한다.
역사
닐스 헨리크 아벨 의 이름이 붙어 있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