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메르의 도시 국가들에서 원래의 신전은 소규모였는데 높이 올린 1실(室)의 구조로 되어 있었다. 초기 왕조 시대에, 신전들은 높이 올린 테라스들과 여러 개의 실(室)이 있는 구조로 발전하였다. 수메르 문명의 말기에는 메소포타미아의 종교적 중심지, 즉 신전으로 지구라트가 가장 선호되었다.[3] 신전들은 루갈(Lu-gal: 인간 + 큰)[2]이라고 칭해진 군사적인 왕이 나타나는 기원전 2500년경까지 수메르의 문화적·종교적·정치적 중심지의 역할을 했다. 이 때 이후로는 정치적·군사적 지도력의 중심지가 신전이 아닌 별도의 궁전에 있는 경우가 더 많아졌다.[3]
성직자
정치적 · 군사적 왕을 뜻하는 루갈이 나타나기 전에는 수메르의 도시 국가들의 정치체제는 엔(En)의 집단, 즉 일군의 대사제들이 지배하는 신정정치 체제였다. 성직자들은 해당 도시 국가의 문화적 · 종교적 전통들이 계속 이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였고 하늘과 땅의 힘들과 인간 사이를 중재하는 매개자로 여겨졌다. 성직자들은 모든 시간을 신전에 거주하면서 보냈는데, 대규모 관개 시설의 행정적 처리 등을 비롯한, 문명의 지속과 유지에 필요한 해당 도시 국가의 행정을 담당
의식
우르 제3왕조(2150?~2000? BC[1]) 시대 동안, 수메르 도시 국가 라가시에는 "애도를 바치는 62명의 사제(62 lamentation priests)"가 있었으며 180명의 성악가들과 악기 연주자들이 이 사제들과 함께 의식에 참여하였다고 한다.
교의
우주론
수메르인들은 우주가 태초의 소금물 바다로 둘러싸여 막혀 있는 반구, 즉 돔의 형태라고 생각하였다.[4] 지상의 대지가 돔의 하부를 이루는데, 대지 아래에는 지하 세계와, 압주(Abzu)라고 불리는, 담수로 이루어진 바다가 있다고 여겼다. 돔 모양의 창공의 남신은 안(An)이라고 불렸으며 대지의 여신은 키(Ki)라고 불렸다. 처음에, 지하 세계는 대지의 여신 키의 연장물이라고 믿었는데, 후대에서 지하 세계는 그리스 신화의 하데스나 유대교의 쉐올 또는 기독교의 지옥과 유사한 개념의 키갈(Kigal)로 발전하였다. 태초의 소금물 바다는 남무(Nammu)라는 이름의 여신으로 불렸다가, 수메르 부흥기인 우르 제3왕조 때와 그 이후에는 티아마트(Tiamat)라는 이름의 여신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수메르 신화에 따르면, 원래 신들은 인간을 자신들의 종으로 삼기 위하여 창조하였다. 그랬지만, 인간이 너무 많아져서 다루기 어려운 상태가 되자 자유롭게 풀어주었다.[5]
안(An: 하늘의 남신)과 키(Ki: 대지의 여신)의 태초의 결합으로부터 엔릴(Enlil)이 나왔고, 엔릴은 수메르 판테온의 주신이 되었다. 엔릴이 공기의 여신 닌릴(Ninlil)을 강간하는 범죄를 저질렀는데, 이 죄를 물어 다른 신들은 엔릴을 신들의 고향인 딜문(Dilmun)에서 추방하였다. 한편, 닌릴은 엔릴의 강간으로 인해 달의 남신(여신이 아님) 난나(Nanna)를 임신하여 낳게 되었다. 달의 남신 난나와 갈대의 여신 닌갈(Ningal)이 결혼하여 전쟁과 풍요의 여신인 인안나(Inanna)와 태양의 남신인 우투(Utu)를 낳았다.[6]
신
수메르인은 원래 다신교를 믿었는데, 수메르인의 종교의 신들은 천상과 지상의 힘들이 의인화된 신들이었다. 기원전 제3천년기(3000~2001 BC) 중반에, 수메르의 신들은 더 인간중심적이 되었고 "자연의 신들이 도시의 신들로 변형되었다". 수메르인은 엔키(Enki)와 인안나(Inanna)와 같은 신들은 하늘의 신인 안(An)이나 수메르 판테온의 최고신인 엔릴(Enlil)로부터 각자의 계급과 힘과 지식을 부여받는다고 여겼다.
이러한 우주론적인 천이는 이웃하고 있던 아카드 문명의 종교의 점증하고 있던 영향을 받아 일어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수메르 도시 국가(Sumerian city-states)들 사이에서 전쟁이 빈발해짐에 따른 결과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전쟁이 빈발해짐에 따라 해당 도시 국가와 그 도시 국가의 성직자 집단에 의해 힘과 권위를 부여받은 군사적 · 정치적 실권자로서의 루갈이 등장하게 되었던 사회적 현상이 신들에게 특정한 힘을 지정하는 형태로 종교에 반영된 것일 수도 있다.[7]
판테온
수메르 신들의 대다수는 "안의 [후손]"이라는 뜻의 "아눈나(Anunna)"라는 부류에 속하였다. 한편, 엔릴과 인안나를 포함한 일곱 신들은 "아눈나키(Anunnaki: 안(An)의 후손 + 키(Ki))"라고 알려진 "하계 또는 사후세계의 심판관(underworld judges)"에 속하였다.[8]우르 제3왕조 시대 동안, 수메르 판테온에는 60 곱하기 60 (3600)의 신이 있었다고 한다.[9]
엔키(Enki): 남신. 담수의 바다, 남성의 생식력 그리고 지식의 신. 도시 국가 에리두의 수호신
우투(Utu): 남신. 도시 국가 시파르의 에바르바라 신전(E'barbara temple)에 거주하는 태양신[14]
인안나(Inanna): 여신. 전쟁, 여성의 생식력 그리고 성애(性愛)의 신. 도시 국가 우루크의 수호여신
유산
아카드인
기원전 2340년에 아카드의 사르곤이 수메르 지역을 정복하기 전까지, 메소포타미아 남부에 살았던 수메르인들과 메소포타미아 북부에 살았던 셈족 계통의 아카드인들은 언어와 문화 면에서 지속적인 영향력을 서로 주고받았다. 사르곤에 의한 정복 후 수메르의 신화와 종교적 실천은 급속히 아카드 문화에 급속히 통합되었는데,[15] 아마도, 역사가 흐르면서 상실된, 아카드인의 원래의 신앙 체계와 융합한 것으로 보인다. 수메르의 신들은 대응되는 아카드의 신들로 나타났으며, 어떤 신들은 후대의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의 패권기까지 사실상 변함없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예를 들어, 수메르의 신 안(An)에 대응되는 신으로 아카드의 신 아누(Anu)가 나타났으며, 수메르의 신 엔키(Enki)는 아카드의 신 에아(Ea)가 되었다. 그리고 수메르의 신 닌우르타(Ninurta)와 엔릴(Enlil)은 아카드의 판테온에서 거의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가장 늦게 잡아도 기원전 1200년경에 후르리인은 아카드의 신 아누(Anu: 수메르의 안)를 자신들의 판테온으로 들였다. 이와 같이 아카드 신들을 들여서 성립된 후르리인의 다른 신들로는 아야스(Ayas)와 샤우슈카(Shaushka)와 닌릴(Ninlil)이 있다. 아야스는 아카드의 신으로 물의 남신인 에아(Ea: 수메르의 엔키)에 대응한다. 샤우슈카는 사랑 · 풍요 · 전쟁의 여신인 이슈타르(Ishtar: 수메르의 인안나)에 대응한다. 수메르와 아카드의 여신 닌릴은 명칭 변경 없이 그대로 들어왔다.[16] 하지만, 닌릴을 들일 당시, 이 여신의 신화 내용은 수메르와 아카드의 신화 내용에 비할 때 바빌로니아인에 의해 이미 대폭으로 변경된 상태로, 이 바뀐 내용이 들어왔다.
↑ 가나“Inside a Sumerian Temple”. The Neal A. Maxwell Institute for Religious Scholarship at Brigham Young University. 2009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29일에 확인함.
↑“Sumerian Myth”. Grand Valley State University. 2010년 2월 20일에 확인함.
↑“Enlil and Ninlil”.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09년 6월 22일에 확인함.
↑Karen Rhea Nemet-Nejat, (1998). "Daily Life in Ancient Mesopotamia", 178-179.
↑"Anunnaki"[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네이버 영한사전. 2012년 7월 4일에 확인. “Anunnaki 아눈나키: 슈메르의 무명의 신들의 총칭; An과 Enlil이 의장(議長)직을 맡아하는 신들의 회의의 구성원이며, 그 중 7인은 사후(死後) 세계의 심판원.”
↑Karen Rhea Nemet-Nejat, (1998). 《Daily Life in Ancient Mesopotamia》, p.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