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하여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11월) |
사이버 코리아 21(Cyber Korea 21)은 정보통신부가 1999년 3월에 발표하여 추진한 정보화 정책으로, 1999년부터 2002년까지 4년간 민간 자본 17조 3,000억 원을 포함하여 모두 28조 원을 투입하는 정부의 정보인프라 기본 계획이다.[1][2][3][4]
2002년까지 정보 인프라 구축 등에 28조 원을 들여 1백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118조 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가져온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에 따르면 2002년까지 초고속 기간망을 전국 144개 통화권에 연결해 일반인의 인터넷 사용 속도를 1999년보다 100배 빠르게 고속화할 방침이며 국민 1천만 명에게 ID를 부여하여 정보처리능력을 향상시키기로 했다. 또한 자동차, 전자 등 주요 8대 업종을 운영하는 대기업과 중소하청업체를 정보네트워크(CALS)로 연결하여 기업 간 정보 유통의 효율화를 극대화하고 22위인 세계 정보화 순위를 10위권으로 끌어 올린다는 계획이다.
정보화 구축으로 창조적 지식기반국가를 건설하고, 국가경쟁력과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선진국 수준의 투자를 함으로써 2002년에는 세계 10위권의 지식정보화 선진국으로 발돋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의거하여 2002년은 1999년보다 100배 빠른 인터넷을 구현하여 초고속정보통신망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고자 하였고 세계에서 컴퓨터를 가장 잘 쓰는 나라로 만들기 위해 2001년까지 인터넷 사용자를 1천만 명 이상으로 확대하고자 하였다.
사이버 코리아 21의 성공적인 추진으로 2001년 대한민국은 OECD 회원국 중 인터넷초고속망 구축 세계 1위를 차지했다.[5]
세부 사항
정보인프라 구축
- 2002년까지 1.5/2Mbps급 고속 통신 서비스 제공
- 컴퓨터 운영시스템을 인터넷표준으로 전환해 범세계적 지식공유체계 참여
국가 전반의 생산성 향상
- 세입, 세출 업무 등 재정종합정보시스템 구축, 2002년까지 개별 업무망을 정부 인트라넷으로 통합
- 주민·부동산·자동차 등록, 건축물대장과 부동산등기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 2002년까지 버스터미널, 지하철역, 우체국, 읍·면·동사무소에 통합정부무인정보단말기 개발·보급 32개 민원증명서류 발급
- 출생, 결혼, 이사, 졸업 등 민원통합처리시스템 구축
- 2001년까지 4대 사회보험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신지식인화 운동
- 2002년까지 학습시간의 25%이상 멀티미디어교육 실시
- 2000년까지 전국 1만 개 학교에 1학교 2컴퓨터실습실 구축
- 매년 전체 교원의 25%씩 정보화 연수 교육
신비즈니스 육성
- 정보유통사업 육성 및 지원
- 중소기업 영문전자쇼핑몰 구축
- 정보제공자 지원 및 우체국 집배원 IP화
- 서울 소프트웨어타운 지정
- 정보통신 전문인력 양성
- 인터넷정보검색사 등 민간자격제도 활성화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