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다리꼴 근사. 적분될 함수의 이계도함수가 음수이므로, 사다리꼴 공식 근사는 실제 정적분보다 더 작다.
N
=
1
{\displaystyle N=1}
일 경우의 사다리꼴 근사는 임의의 함수를 선형 함수 로 어림한다.
수치 해석 에서 사다리꼴 공식 (-公式, 영어 : trapezoidal rule )은 정적분 을 근사하는 한 수치적분 방법이다.[ 1] 사다리꼴 공식은 적분이 나타내는 넓이를 일련의 사다리꼴 들의 넓이의 합으로 근사한다. 사다리꼴 공식은 뉴턴-코츠 공식 이라는 적분 근사법들의 족(族)의 특수한 경우이며, 매끄러운 함수 의 경우 비슷한 계산 복잡도를 갖는 심프슨의 법칙 보다 일반적으로 덜 정확하다. 반면, 주기 함수 를 적분할 때 사다리꼴 공식은 특별히 더 정확한데, 이는 오일러-매클로린 합산식 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반면, 비주기적이며, 매끄럽지 않을 수 있는 함수를 적분할 때에는 클렌쇼-커티스 구적법 또는 가우스 구적법 따위가 더 적합하다.
정의
닫힌구간
[
t
0
,
t
N
]
{\displaystyle [t_{0},t_{N}]}
위의 적분 가능 함수
f
: : -->
[
t
0
,
t
N
]
→ → -->
R
{\displaystyle f\colon [t_{0},t_{N}]\to \mathbb {R} }
및 수열
t
0
≤ ≤ -->
t
1
≤ ≤ -->
… … -->
≤ ≤ -->
t
N
− − -->
1
≤ ≤ -->
t
N
{\displaystyle t_{0}\leq t_{1}\leq \dotsc \leq t_{N-1}\leq t_{N}}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에 대한, 적분
F
=
∫ ∫ -->
t
0
t
N
f
(
x
)
d
x
{\displaystyle F=\int _{t_{0}}^{t_{N}}f(x)\,\mathrm {d} x}
의 사다리꼴 공식 근사 는 다음과 같다.
F
~ ~ -->
=
∑ ∑ -->
i
=
0
N
− − -->
1
(
t
i
+
1
− − -->
t
i
)
(
f
(
t
i
+
1
)
+
f
(
t
i
)
)
2
{\displaystyle {\tilde {F}}=\sum _{i=0}^{N-1}{\frac {(t_{i+1}-t_{i})(f(t_{i+1})+f(t_{i}))}{2}}}
특히,
N
=
1
{\displaystyle N=1}
일 때 사다리꼴 공식 근사는 다음과 같다.
F
~ ~ -->
=
(
t
1
− − -->
t
0
)
(
f
(
t
1
)
+
f
(
t
0
)
)
2
{\displaystyle {\tilde {F}}={\frac {(t_{1}-t_{0})(f(t_{1})+f(t_{0}))}{2}}}
성질
사다리꼴 공식 근사의 오차
F
~ ~ -->
− − -->
F
{\displaystyle {\tilde {F}}-F}
를 생각하자. 만약
f
{\displaystyle f}
가
C
2
{\displaystyle {\mathcal {C}}^{2}}
함수라면 (즉, 그 2차 도함수가 존재하며 연속 함수 라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ξ ξ -->
∈ ∈ -->
[
t
0
,
t
N
]
{\displaystyle \xi \in [t_{0},t_{N}]}
가 존재한다.
F
~ ~ -->
− − -->
F
=
1
12
f
″
(
ξ ξ -->
)
∑ ∑ -->
i
=
0
N
− − -->
1
(
t
i
+
1
− − -->
t
i
)
3
{\displaystyle {\tilde {F}}-F={\frac {1}{12}}f''(\xi )\sum _{i=0}^{N-1}(t_{i+1}-t_{i})^{3}}
증명:
다음과 같은 함수들을 정의하자.
g
i
: : -->
[
0
,
t
i
+
1
− − -->
t
i
]
→ → -->
R
{\displaystyle g_{i}\colon [0,t_{i+1}-t_{i}]\to \mathbb {R} }
g
i
(
s
)
=
1
2
s
(
f
(
t
i
)
+
f
(
t
i
+
s
)
)
− − -->
∫ ∫ -->
t
i
t
i
+
t
f
(
x
)
d
x
{\displaystyle g_{i}(s)={\frac {1}{2}}s(f(t_{i})+f(t_{i}+s))-\int _{t_{i}}^{t_{i}+t}f(x)\,\mathrm {d} x}
즉,
F
~ ~ -->
− − -->
F
=
∑ ∑ -->
i
=
0
N
− − -->
1
g
i
(
t
i
+
1
− − -->
t
i
)
{\displaystyle {\tilde {F}}-F=\sum _{i=0}^{N-1}g_{i}(t_{i+1}-t_{i})}
이다. 그러면
g
i
(
0
)
=
g
i
′
(
0
)
=
g
i
″
(
0
)
=
0
{\displaystyle g_{i}(0)=g_{i}'(0)=g_{i}''(0)=0}
g
i
′
(
s
)
=
1
2
(
f
(
t
i
)
− − -->
f
(
t
i
+
s
)
)
+
1
2
s
f
′
(
t
i
+
s
)
{\displaystyle g_{i}'(s)={\frac {1}{2}}\left(f(t_{i})-f(t_{i}+s)\right)+{\frac {1}{2}}sf'(t_{i}+s)}
g
i
″
(
s
)
=
1
2
s
f
″
(
t
i
+
s
)
{\displaystyle g_{i}''(s)={\frac {1}{2}}sf''(t_{i}+s)}
이다. 즉,
K
=
min
x
∈ ∈ -->
[
t
0
,
t
N
]
f
″
(
x
)
{\displaystyle K=\min _{x\in [t_{0},t_{N}]}f''(x)}
L
=
max
x
∈ ∈ -->
[
t
0
,
t
N
]
f
″
(
x
)
{\displaystyle L=\max _{x\in [t_{0},t_{N}]}f''(x)}
를 정의하면,
1
2
K
s
≤ ≤ -->
g
i
″
(
s
)
≤ ≤ -->
1
2
L
s
{\displaystyle {\frac {1}{2}}Ks\leq g''_{i}(s)\leq {\frac {1}{2}}Ls}
이며, 이를 두 번 적분하면
1
12
K
s
3
≤ ≤ -->
g
i
(
s
)
≤ ≤ -->
1
12
L
s
3
{\displaystyle {\frac {1}{12}}Ks^{3}\leq g_{i}(s)\leq {\frac {1}{12}}Ls^{3}}
가 된다. 즉,
K
12
∑ ∑ -->
i
=
0
N
− − -->
1
(
t
i
+
1
− − -->
t
i
)
3
≤ ≤ -->
F
~ ~ -->
− − -->
F
≤ ≤ -->
L
12
∑ ∑ -->
i
=
0
N
− − -->
1
(
t
i
+
1
− − -->
t
i
)
3
{\displaystyle {\frac {K}{12}}\sum _{i=0}^{N-1}(t_{i+1}-t_{i})^{3}\leq {\tilde {F}}-F\leq {\frac {L}{12}}\sum _{i=0}^{N-1}(t_{i+1}-t_{i})^{3}}
이다.
f
″
{\displaystyle f''}
가 연속 함수 라고 가정하였으므로, 중간값 정리 에 따라
f
″
(
ξ ξ -->
)
=
F
~ ~ -->
− − -->
F
∑ ∑ -->
i
=
0
N
− − -->
1
(
t
i
+
1
− − -->
t
i
)
3
{\displaystyle f''(\xi )={\frac {{\tilde {F}}-F}{\sum _{i=0}^{N-1}(t_{i+1}-t_{i})^{3}}}}
인
ξ ξ -->
∈ ∈ -->
[
t
0
,
t
N
]
{\displaystyle \xi \in [t_{0},t_{N}]}
가 존재한다.
특히, 만약
t
i
{\displaystyle t_{i}}
들이 산술 수열 을 이룬다면,
1
12
∑ ∑ -->
i
=
0
N
− − -->
1
(
t
i
+
1
− − -->
t
i
)
3
=
(
t
N
− − -->
t
0
)
3
12
N
− − -->
2
{\displaystyle {\frac {1}{12}}\sum _{i=0}^{N-1}(t_{i+1}-t_{i})^{3}={\frac {(t_{N}-t_{0})^{3}}{12}}N^{-2}}
가 된다. 즉,
N
→ → -->
∞ ∞ -->
{\displaystyle N\to \infty }
일 때, 오차는
N
− − -->
2
{\displaystyle N^{-2}}
의 속도로 0으로 수렴한다.
특히, 만약
f
″
{\displaystyle f''}
가 항상 양수일 때, 사다리꼴 공식 근사
F
~ ~ -->
{\displaystyle {\tilde {F}}}
는
F
{\displaystyle F}
보다 더 작으며, 반대로
f
‴
{\displaystyle f'''}
가 항상 음수일 때, 사다리꼴 공식 근사
F
~ ~ -->
{\displaystyle {\tilde {F}}}
는
F
{\displaystyle F}
보다 더 크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