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록 집합
볼록 집합이 아닌 집합
기하학 에서 볼록 집합 (영어 : convex set )은 임의의 두 점을 잇는 선분 을 포함하는, 유클리드 공간 의 부분 집합 이다.
정의
K
∈ ∈ -->
{
R
,
C
}
{\displaystyle K\in \{\mathbb {R} ,\mathbb {C} \}}
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라고 하자.
K
{\displaystyle K}
-위상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의 부분 집합
S
⊆ ⊆ -->
V
{\displaystyle S\subseteq V}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볼록 집합 이라고 한다.
임의의
u
,
v
∈ ∈ -->
S
{\displaystyle u,v\in S}
및
t
∈ ∈ -->
[
0
,
1
]
{\displaystyle t\in [0,1]}
에 대하여,
(
1
− − -->
t
)
u
+
t
v
∈ ∈ -->
S
{\displaystyle (1-t)u+tv\in S}
국소 볼록 집합 (영어 : locally convex set )은 임의의 점이 (그 부분 집합에서의) 볼록 근방 을 갖는 부분 집합 이다.
다각 연결 집합
실수 위상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의 부분 집합
S
⊆ ⊆ -->
V
{\displaystyle S\subseteq V}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다각 연결 집합 (영어 : polygonally connected set )이라고 한다.
임의의
u
,
v
∈ ∈ -->
S
{\displaystyle u,v\in S}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
∈ ∈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및
u
0
,
u
1
,
u
2
,
… … -->
,
u
n
∈ ∈ -->
S
{\displaystyle u_{0},u_{1},u_{2},\dotsc ,u_{n}\in S}
가 존재한다.
u
0
=
u
{\displaystyle u_{0}=u}
u
n
=
v
{\displaystyle u_{n}=v}
각
i
∈ ∈ -->
{
1
,
2
,
… … -->
,
n
}
{\displaystyle i\in \{1,2,\dots ,n\}}
및 임의의
t
∈ ∈ -->
[
0
,
1
]
{\displaystyle t\in [0,1]}
에 대하여,
(
1
− − -->
t
)
u
i
− − -->
1
+
t
u
i
∈ ∈ -->
S
{\displaystyle (1-t)u_{i-1}+tu_{i}\in S}
위 정의에서
n
{\displaystyle n}
을 어떤 자연수로 고정하면,
n
{\displaystyle n}
-다각 연결 집합 (영어 :
n
{\displaystyle n}
-polygonally connected set )의 정의를 얻는다. 이 경우, 볼록 집합은 1-다각 연결 집합과 동치 이다.
성질
연산에 대한 닫힘
볼록 집합들의 교집합 은 볼록 집합이다. 볼록 집합들의 상향 집합 의 합집합 은 볼록 집합이다. (더 일반적인 결과는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로 만나는 두 직선의 합집합은 볼록 집합이 아니다.) 볼록 집합의 폐포 ·내부 는 볼록 집합이다.
함의 관계
모든 다각 연결 집합은 경로 연결 공간 이다. 모든
n
{\displaystyle n}
-다각 연결 집합은 다각 연결 집합이다. (그러나 다각 연결 집합은 어떤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n
{\displaystyle n}
-다각 연결 집합일 필요가 없다.) 모든 별모양 집합 은 2-다각 연결 집합이다. 모든 (공집합 이 아닌) 볼록 집합은 별모양 집합 이다.
실수 노름 공간 의 연결 열린집합 은 항상 다각 연결 집합이다.[ 1] :81, Exercise 3.4.2
유클리드 공간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의 부분 집합
S
⊆ ⊆ -->
R
n
{\displaystyle S\subseteq \mathbb {R} ^{n}}
에 대하여, 만약
S
{\displaystyle S}
가 닫힌집합 이며, 연결 공간 이며, 국소 볼록 집합이라면,
S
{\displaystyle S}
는 볼록 집합이다 (티체-나카지마 정리 , 영어 : Tietze–Nakajima theorem ).[ 2] :1306 보다 일반적으로, 만약
S
{\displaystyle S}
가 닫힌집합 이며, 연결 집합 이며,
n
{\displaystyle n}
개 이하의 국소 비볼록점을 갖는다면,
S
{\displaystyle S}
는
(
n
+
1
)
{\displaystyle (n+1)}
-다각 연결 집합이다.[ 2] :1305, Theorem 1 보다 일반적으로, 만약
S
{\displaystyle S}
가 닫힌집합 이며, 연결 집합 이며,
S
{\displaystyle S}
의 국소 비볼록점의 집합이 (서로소 일 필요가 없는)
n
{\displaystyle n}
개의 볼록 집합의 합집합 이라면,
S
{\displaystyle S}
는
(
2
n
+
1
)
{\displaystyle (2n+1)}
-다각 연결 집합이다.[ 2] :1305, Theorem 2
부분 집합의 극대 볼록 집합
실수 위상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의 부분 집합
S
⊆ ⊆ -->
V
{\displaystyle S\subseteq V}
가 주어졌다고 하자.
S
{\displaystyle S}
의 볼록 집합들은 포함 관계에 따라 부분 순서 집합 을 이룬다. 그 극대 원소 를
S
{\displaystyle S}
의 볼록 성분 (영어 : convex component )이라고 한다.
S
{\displaystyle S}
의 임의의 볼록 집합은
S
{\displaystyle S}
의 볼록 성분에 포함되며, 임의의 볼록 성분은 연결 집합 이므로,
S
{\displaystyle S}
의 유일한 연결 성분 에 포함된다. 그러나 연결 성분 과 달리, 볼록 성분들은 서로소 일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
S
{\displaystyle S}
의 주어진 볼록 집합을 포함하는 극대 볼록 집합은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S
{\displaystyle S}
가 닫힌집합 이라면, 모든 볼록 성분 역시 닫힌집합 이다.
실수 위상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의 부분 집합
S
⊆ ⊆ -->
V
{\displaystyle S\subseteq V}
가 가산 개의
S
{\displaystyle S}
의 서로소 볼록 닫힌집합
S
i
{\displaystyle S_{i}}
들의 합집합이라면,
S
{\displaystyle S}
의 볼록 성분들은 정확히
S
i
{\displaystyle S_{i}}
들이며, 특히
S
{\displaystyle S}
의 볼록 성분들은
S
{\displaystyle S}
의 분할 을 이룬다.[ 3] :Theorem 2.10
예
실수선
R
{\displaystyle \mathbb {R} }
의 볼록 집합은 단순히 구간 이다.
집합
{
(
x
,
x
2
)
: : -->
x
∈ ∈ -->
R
}
{\displaystyle \{(x,x^{2})\colon x\in \mathbb {R} \}}
은 경로 연결 공간 이지만,
R
2
{\displaystyle \mathbb {R} ^{2}}
의 다각 연결 집합이 아니다.
역사
티체-나카지마 정리는 하인리히 프란츠 프리드리히 티체(독일어 : Heinrich Franz Friedrich Tietze , 1880~1964)[ 4] 와 나카지마(영어 : S. Nakajima )[ 5] 가 모두 1928년 논문에서 독립적으로 증명하였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