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곰자리 베타(β UMa) 또는 공식명칭 메라크(Merak)[12][13]는 북반구 하늘의 극주위 별자리인 큰곰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이다. 거문성(巨門星)이라고도 한다.
메라크의 겉보기등급은 +2.37로[4] 맨눈으로 쉽게 볼 수 있다. 영어권 국가에서 이 별은 큰 국자(Big Dipper) 또는 쟁기(Plough) 별자리(동아시아에서는 북두칠성으로 부름)에서 '지시자 항성들' 중 하나로서 더 유명하다. 메라크에서 출발하는 가상의 직선을 근처 별 두베까지 이은 뒤 이를 연장하면 북극성폴라리스가 나온다.
관측
메라크는 천구 북반구에 위치한 항성으로 적위가 천구북극에 크게 치우쳐 있기에 북반구 거주자들이 관측하기에 적합하다. 북반구의 온난한 영역 대부분에서 메라크는 주극성으로 보이나 남반구에서는 온난한 영역 중 위도가 낮은 곳과 남회귀선 근처로 관측 가능 영역이 제한된다. 겉보기등급은 +2.34로 광공해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는 곳에서도 맨눈으로 볼 수 있다.
저녁 하늘에서 이 별을 가장 쉽게 관측할 수 있는 때는 2월부터 6월까지이다. 북반구에서는 별의 높은 고도 때문에 더 긴 시간 동안 볼 수 있지만 남반구에서는 가을에 해당되는 몇 달로 관측 기간이 제약된다.
특성
1943년 큰곰자리 베타는 A1 V형 항성의 분광표준별로 등재되었다.[14] 이후 관측 도구의 수준이 향상되어 뜨거운 A 분광형 항성들이 광도분류상 준거성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메라크는 분광형 A0 IV를 부여받았고[15] 이후 분광형은 A1 IV로 개정되었다.[9] 메라크는 특정 금속 원소들의 선이 비정상적으로 강하게 나타나는, 화학적으로 특이한 항성의 형태인 Am 별의 성격을 약하게 띠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16]
연주시차 측정 자료에 기초하면 큰곰자리 베타는 지구로부터 약 79.7 광년 (24.4 파섹) 떨어져 있다. 베타는 준거성으로 중심핵에 있던 수소를 소진한 뒤 중심핵 바깥쪽 껍질에서 수소 열핵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다. 외포층의 유효온도는 대략 9225 켈빈으로[10] 이 온도에서 메라크는 A형 항성의 전형적인 외관인 흰색 빛을 띤다.[17] 메라크는 태양보다 거대한 별로 질량은 태양의 약 2.7 배, 반지름은 태양의 2.84 배이다. 만약 메라크를 태양과 같은 거리에서 바라본다면 태양보다 훨씬 밝아서 태양 광도의 약 68 배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복사할 것이다.[10][18]
메라크를 적외선으로 관측한 결과 적외선 초과 방출이 관측되었으며 이는 포말하우트나 베가 주변에서 발견되는 것과 매우 흡사한 별주위 먼지 원반 또는 별을 공전하는 먼지가 메라크 주변에 있음을 보여준다.[10] 이 원반의 평균 온도는 120 켈빈으로[18] 원반이 항성으로부터 47 천문단위 떨어져 있음을 보여준다.[10] 이 먼지의 질량은 대략 지구의 0.27 %일 것으로 계산된다.[18]
북두칠성의 일곱 별들 중, 헐거운 산개성단인 큰곰자리 운동성군에 속하는 구성원은 총 다섯으로 이들은 지구에서 보았을 때 가까이 모여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성군의 나이는 대략 4억 ~ 6억 년 정도로 추정된다. 성군을 구성하는 별들은 같은 곳에서 태어난 뒤 우주 공간을 같은 움직임을 보이면서 이동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메라크의 나이도 측정할 수 있다.[8] 메라크로부터 가까운 별로 큰곰자리 37(5.2 광년)과 큰곰자리 감마(11 광년) 둘을 들 수 있다.[19]
명칭
큰곰자리 베타(β Ursae Majoris)는 이 별을 바이어 명명법에 의해 부른 명칭이다.
베타의 전통적 명칭 메라크 Merak는 아랍어 المراق ('알-마라크', 곰의 허리)에서 유래한 것이다.[1]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목록화 및 표준화할 목적으로 산하에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결성했다.[20] WGSN은 2016년 7월 첫 번째로 고유명칭 목록을 고시했으며 메라크가 여기에 포함되었다.[21]
↑ 가나다라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Eggen, Olin J. (August 1998), “The Sirius Supercluster and Missing Mass near the Sun”, 《The Astronomical Journal》 116 (2): 782–788, Bibcode:1998AJ....116..782E, doi:10.1086/300465.
↑Evans, D. S. (June 20–24, 1966). 〈The Revision of the General Catalogue of Radial Velocities〉. Batten, Alan Henry; Heard, John Frederick.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Proceedings from IAU Symposium no. 30》.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30 (University of Toronto: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57쪽. Bibcode:1967IAUS...30...57E.
↑ 가나Phillips, N. M.; Greaves, J. S.; Dent, W. R. F.; Matthews, B. C.; Holland, W. S.; Wyatt, M. C.; Sibthorpe, B. (2010). “Target selection for the SUNS and DEBRIS surveys for debris discs in the solar neighbourhood”.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3 (3): 1089. arXiv:0911.3426. Bibcode:2010MNRAS.403.1089P. doi:10.1111/j.1365-2966.2009.15641.x.
↑Morgan, William Wilson; Keenan, Philip Childs; Kellman, Edith (1943). “An atlas of stellar spectra, with an outline of spectral classification”. 《Chicago》. Bibcode:1943assw.book.....M.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Shaya, Ed J.; Olling, Rob P. (January 2011), “Very Wide Binaries and Other Comoving Stellar Companions: A Bayesian Analysis of the Hipparcos Catalogue”,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192 (1): 2, arXiv:1007.0425, Bibcode:2011ApJS..192....2S, doi:10.1088/0067-0049/19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