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표현론에서, 매케이 화살집(영어: McKay quiver)은 유한군의 표현에 대하여 대응되는 유한 화살집이다. SL(2;ℂ)의 유한 부분군의 경우 이는 ADE형의 딘킨 도표이다.
정의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유한군
- 체 . 또한, 라고 하자.
그렇다면, 마슈케 정리(영어: Maschke’s theorem)에 의하여 모든 유한 차원 표현은 기약 표현의 직합으로 유일하게 분해된다.
이제, 의 계수 기약 표현들이
라고 하자. 그렇다면, 의 임의의 유한 차원 표현 에 대하여
라고 하자 ().
그렇다면, 에 대응되는 매케이 화살집 는 다음과 같은 화살집이다.
- . 즉, 의 꼭짓점은 의 기약 표현이다.
- 에 대하여, 만약 라면 변이 존재하며, 그 변의 수는 이다.
성질
유한군 의 표현 의 쌍대 표현 의 매케이 화살집은 의 매케이 화살집의 반대 화살집(즉, 변의 방항을 모두 뒤집은 화살집)이다. 특히, 만약 가 스스로의 쌍대 표현과 동형이라면, 그 매케이 화살집은 스스로의 반대 화살집과 동형이다.
예
자명한 표현의 메케이 화살집
의 자명한 표현 에 대한 매케이 화살집은 모든 꼭짓점에 각각 고리(영어: self-loop)가 하나씩 달리며 다른 변은 존재하지 않는 화살집이다.
SU(2)의 부분군
특히, 만약 가 의 유한 부분군이라고 하고, 가 2차원 복소수 정의(定義) 표현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 이며, 이다. 즉, 이 경우 매케이 화살집은 단순히 그래프이며, 이 경우를 매케이 그래프라고 한다.
- 이 그래프는 ADE형의 확장 딘킨 도표의 하나이다.
이들은 다음과 같다.
매케이 그래프에서, 각 꼭짓점에 붙어 있는 정수는 해당 표현의 크기이다.
SU(3)의 부분군
SU(3)의 정의 표현 3을 사용하여 SU(3)의 유한 부분군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매케이 화살집을 정의할 수 있다.[1] G2의 부분군의 경우에도 매케이 화살집들이 분류되었다.[2]
응용
유한군으로 정의된 오비폴드에 D-막을 배치하면, 그 위에는 화살집 게이지 이론이 존재하며, 이 경우 사용되는 화살집은 유한군의 매케이 화살집이다. 이 경우 사용되는 표현은 (각 초다중항에 대하여) R대칭의 표현이다.
역사
존 매케이(영어: John McKay)가 도입하였다.[3][4]
참고 문헌
- ↑ Hanany, Amihay; He, Yang-Hui (2003). “Non-Abelian finite gauge theories”.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0302: 023. arXiv:hep-th/9811183. doi:10.1088/1126-6708/2003/02/023.
- ↑ He, Yang-Hui. “G2 quivers” (영어). arXiv:hep-th/0210127.
- ↑ McKay, John (1981). 〈Graphs, singularities and finite groups〉. Cooperstein, Bruce; Mason, Geoffrey. 《The Santa Cruz Conference on Finite Groups》. Proceedings of Symposia in Pure Mathematics (영어) 37.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83–186쪽. doi:10.1090/pspum/037/604577. ISBN 978-0-8218-1440-6.
- ↑ Ford, David; McKay, John (1982). 〈Representations and Coxeter Graphs〉. Davis, C.; Grünbaum, B.; Sherk, F.A. 《The geometric vein. The Coxeter Festschrift》 (영어).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2-5648-9_36. ISBN 978-1-4612-5650-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