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NAD+)
사람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의 결정학적 구조[1]
식별자
EC 번호1.1.1.8
CAS 번호9075-65-4
데이터베이스
IntEnzIntEnz view
BRENDABRENDA entry
ExPASyNiceZyme view
KEGGKEGG entry
MetaCycmetabolic pathway
PRIAMprofile
PDB 구조RCSB PDB PDBj PDBe PDBsum
유전자 온톨로지AmiGO / QuickGO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퀴논)
식별자
EC 번호1.1.5.3
CAS 번호9001-49-4
데이터베이스
IntEnzIntEnz view
BRENDABRENDA entry
ExPASyNiceZyme view
KEGGKEGG entry
MetaCycmetabolic pathway
PRIAMprofile
PDB 구조RCSB PDB PDBj PDBe PDBsum
NAD-의존성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N-말단
아르트로박터 종의 n-(1-D-카복실레틸)-L-노르발린 탈수소효소의 결정 구조
식별자
상징NAD_Gly3P_dh_N
PfamPF01210
Pfam clanCL0063
InterProIPR011128
PROSITEPDOC00740
SCOP1m66
SUPERFAMILY1m66
NAD-의존성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C-말단
아르카에오글로부스 풀기두스(archaeoglobus fulgidus)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의 구조
식별자
상징NAD_Gly3P_dh_C
PfamPF07479
Pfam clanCL0106
InterProIPR006109
PROSITEPDOC00740
SCOP1m66
SUPERFAMILY1m66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영어: glycerol 3-phosphate dehydrogenase, GPDH)는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sn-글리세롤 3-인산으로 가역적 산화환원 전환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2]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는 탄수화물 대사지질 대사의 사이에서 중요한 연결 고리 역할을 한다. 또한 미토콘드리아전자전달계로의 주요 전자 공급원이다.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에 대한 이전 용어로는 알파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및 글리세롤인산 탈수소효소 등이 있다. 그러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는 기질알코올이 아닌 알데하이드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 탈수소효소(GAPDH)와 동일하지 않다.

대사 기능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는 지질 생합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글리세롤 3-인산으로 환원함으로써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는 글리세롤 3-인산을 글리세롤로 신속하게 탈인산화한다.[3] 또한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가로질러 산화환원 전위를 유지하는 데 관여하는 효소 중 하나이다.[3]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의 발효 및 산화적 포도당 대사의 개략도. (A) 두 개의 당 인산화 반응을 포함하는 해당과정의 상단부. (B) 과당 1,6-이중인산 알돌레이스에 의한 6탄소 분자의 2분자 삼탄당 인산으로의 분해. (C) 삼탄당 인산 이성질화효소에 의한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과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의 상호전환. (D)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에 의해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을 글리세롤 3-인산으로 환원시킨 후, 글리세롤 3-인산가수분해효소에 의해 글리세롤로 탈인산화되는 경로. (E) 해당과정의 하단부는 일련의 5가지 효소를 통해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을 피루브산으로 전환시키면서 1분자의 NADH와 2분자의 ATP를 생성한다. (F) 알코올 발효: 피루브산 탈카복실화효소에 의한 피루브산의 탈카복실화에 이어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에탄올로 환원시킴. (G) 미토콘드리아의 피루브산 탈수소효소는 피루브산을 아세틸-CoA로 전환시켜 아세틸-CoA가 시트르산 회로로 유입되도록 한다. (H) 외부 미토콘드리아 NADH 탈수소효소 (I) 미토콘드리아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이들 3가지 탈수소효소의 전자는 퀴논 풀(Q)의 수준에서 전자전달계로 들어간다. (J) 미토콘드리아 내부의 NADH 탈수소효소. (K) ATP 생성효소. (L) 말산-아스파르트산 셔틀. (M) 폼산 탈수소효소에 의한 폼산의 산화[4]

반응

NAD+/NADH 조효소 커플은 물질대사산화환원반응을 위한 전자 저장소 역할을 하며 한 반응에서 다른 반응으로 전자를 운반한다.[5] 이러한 물질대사 반응의 대부분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난다. 추가적인 사용을 위해 NAD+를 재생하려면 세포질NADH 풀을 재산화해야 한다. 미토콘드리아 내막은 NADH와 NAD+ 모두에 대해 불투과성이므로 이들은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 기질 사이에서 자유롭게 교환될 수 없다.[4]

막을 가로질러 이 환원 당량을 이동시키는 한 가지 방법은 2가지 형태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를 사용하는 글리세롤 3-인산 셔틀을 이용하는 것이다.

  • 세포질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GPDH) 또는 GPD1은 세포질과 마주하는 미토콘드리아 외막에 국한되어 있으며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글리세롤 3-인산으로 환원하는 것을 촉매한다.
  • 이와 함께 미토콘드리아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GPDH) 또는 GPD2는 세포질을 내려다보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바깥쪽 표면에 묻혀 있으며 글리세롤 3-인산을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으로 산화하는 것을 촉매한다.[6]

세포질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가용성) 및 미토콘드리아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반응은 다음과 같다.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의 세포질형(GPDH-C) 및 미토콘드리아형(GPDH-M)에 의해 촉매되는 짝지음 반응.[7] GPDH-C와 GPDH-M은 각각 NADH퀴놀(QH)를 전자 공여체로 사용한다. GPDH-M은 또한 FAD를 보조 인자로 사용한다.

변형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형태가 있다.

효소 단백질 유전자
EC 번호 이름 공여체 / 수용체 이름 세포 내 위치 약어 이름 기호
1.1.1.8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NADH / NAD+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NAD+] 세포질 GPDH-C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1 (가용성) GPD1
1.1.5.3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퀴놀 / 퀴논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미토콘드리아 GPDH-M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2 (미토콘드리아) GPD2

다음의 사람 유전자는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1 (가용성)
식별자
상징GPD1
NCBI 유전자2819
HGNC4455
OMIM138420
RefSeqNM_005276
UniProtP21695
다른 정보
EC 번호1.1.1.8
유전자 자리Chr. 12 q12-q13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2 (미토콘드리아)
식별자
상징GPD2
NCBI 유전자2820
HGNC4456
OMIM138430
RefSeqNM_000408
UniProtP43304
다른 정보
EC 번호1.1.5.3
유전자 자리Chr. 2 q24.1

GPD1

세포질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GPD1)는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글리세롤 3-인산으로 환원시키는 NAD+ 의존성 효소이다.[8] 동시에 NADH는 다음의 반응에서 NAD+로 산화된다.

세포질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GPD1)의 반응 메커니즘

결과적으로 NAD+는 추가적인 대사를 위해 재생된다.

GPD1은 2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9] 다음과 같은 상호작용을 통해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 및 NAD+와 반응한다.

GPD2

미토콘드리아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GPD2)는 글리세롤 3-인산에서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으로의 비가역적 산화를 촉매하고 동시에 2개의 전자를 FAD로 전달하여 FADH2를 생성한다. GPD2는 4개의 동일한 소단위체들로 구성된다.[10]

미토콘드리아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GPD2)의 반응 메커니즘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 연구에 따르면 글리세롤 3-이난 탈수소효소는 pH 변화에 대해 대부분 영향을 받지 않는다. 특정 pH 조건에서는 GPD1 또는 GPD2가 선호되지 않는다.
  • 높은 염 농도(예: NaCl)에서 배지의 염도가 증가하면 반응으로 글리세롤이 축적되기 때문에 GPD1의 활성이 GPD2보다 향상된다.
  • 온도의 변화는 GPD1과 GPD2 모두에게 유리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11]

글리세롤 3-인산 셔틀

미토콘드리아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와 세포질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는 서로 협력하여 작동한다. 세포질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에 의해 NADH는 NAD+로 산화되고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이 글리세롤 3-인산으로 전환된다. 일단 글리세롤 3-인산이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통해 이동하면 퀴논산화제로 사용하고 FAD보조 인자로 사용하는 미토콘드리아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에 의해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으로 산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ATP 1분자에 필적하는 에너지의 순손실이 일어난다.[7]

이러한 효소의 조합된 작용은 NAD+/NADH 비율을 유지하여 대사의 지속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질병에서의 역할

NAD+/NADH 퍼텐셜을 유지하는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의 기본적인 역할과 지질 대사에서의 역할을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를 비만과 같은 지질 불균형 질환의 요인으로 만든다.

약리학적 표적

미토콘드리아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는 제2형 당뇨병의 1차 약물인 메트포르민에 의해 저해되는 것으로 생각된다.[14]

생물학적 연구

사르코파가 바르바타(Sarcophaga barbata)는 미토콘드리아에서 글리세롤 3-인산의 산화를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다. 글리세롤 3-인산은 피루브산과는 달리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들어가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있는 글리세롤 3-인산 플라보단백질 산화환원효소를 찾는 데 도움을 준다.

구조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는 두 개의 단백질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N-말단 도메인은 NAD 결합 도메인이고, C-말단 도메인은 기질 결합 도메인으로 작용한다.[15] 그러나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는 RNA 결합 및 안정성의 조절을 포함하여 여러 달빛(moonlighting) 활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이량체사량체 계면 잔기는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와 RNA의 결합에 관여한다.[16]

같이 보기

각주

  1. PDB 1X0V; Ou X, Ji C, Han X, Zhao X, Li X, Mao Y, Wong LL, Bartlam M, Rao Z (Mar 2006). “Crystal structures of human glycerol 3-phosphate dehydrogenase 1 (GPD1)”.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357 (3): 858–69. doi:10.1016/j.jmb.2005.12.074. PMID 16460752. 
  2. Ou X, Ji C, Han X, Zhao X, Li X, Mao Y, Wong LL, Bartlam M, Rao Z (Mar 2006). “Crystal structures of human glycerol 3-phosphate dehydrogenase 1 (GPD1)”.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357 (3): 858–69. doi:10.1016/j.jmb.2005.12.074. PMID 16460752. 
  3. Harding JW, Pyeritz EA, Copeland ES, White HB (Jan 1975). “Role of glycerol 3-phosphate dehydrogenase in glyceride metabolism. Effect of diet on enzyme activities in chicken liver”. 《The Biochemical Journal》 146 (1): 223–9. doi:10.1042/bj1460223. PMC 1165291. PMID 167714. 
  4. Geertman JM, van Maris AJ, van Dijken JP, Pronk JT (Nov 2006). “Physiological and genetic engineering of cytosolic redox metabolism in Saccharomyces cerevisiae for improved glycerol production”. 《Metabolic Engineering》 8 (6): 532–42. doi:10.1016/j.ymben.2006.06.004. PMID 16891140. 
  5. Ansell R, Granath K, Hohmann S, Thevelein JM, Adler L (May 1997). “The two isoenzymes for yeast NAD+-dependent glycerol 3-phosphate dehydrogenase encoded by GPD1 and GPD2 have distinct roles in osmoadaptation and redox regulation”. 《The EMBO Journal》 16 (9): 2179–87. doi:10.1093/emboj/16.9.2179. PMC 1169820. PMID 9171333. 
  6. Kota V, Rai P, Weitzel JM, Middendorff R, Bhande SS, Shivaji S (Sep 2010). “Role of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2 in mouse sperm capacitation”. 《Molecular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77 (9): 773–83. doi:10.1002/mrd.21218. PMID 20602492. S2CID 19691537. 
  7. Stryer, Lubert; Berg, Jeremy Mark; Tymoczko, John L. (2002). 〈Chapter 18.5: Glycerol 3-Phosphate Shuttle〉. 《Biochemistry》. San Francisco: W.H. Freeman. ISBN 0-7167-4684-0. 
  8. Guindalini C, Lee KS, Andersen ML, Santos-Silva R, Bittencourt LR, Tufik S (Jan 2010). “The influence of obstructive sleep apnea on the expression of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1 gene”. 《Experimental Biology and Medicine》 235 (1): 52–6. doi:10.1258/ebm.2009.009150. PMID 20404019. S2CID 207194967. 2011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16일에 확인함. 
  9. Bunoust O, Devin A, Avéret N, Camougrand N, Rigoulet M (Feb 2005). “Competition of electrons to enter the respiratory chain: a new regulatory mechanism of oxidative metabolism in Saccharomyces cerevisiae”.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0 (5): 3407–13. doi:10.1074/jbc.M407746200. PMID 15557339. 
  10. Kota V, Dhople VM, Shivaji S (Apr 2009). “Tyrosine phosphoproteome of hamster spermatozoa: role of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2 in sperm capacitation”. 《Proteomics》 9 (7): 1809–26. doi:10.1002/pmic.200800519. PMID 19333995. S2CID 9248320. 
  11. Kumar S, Kalyanasundaram GT, Gummadi SN (Feb 2011). “Differential response of the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and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to different environmental stresses in Debaryomyces nepalensis NCYC 3413”. 《Current Microbiology》 62 (2): 382–7. doi:10.1007/s00284-010-9717-z. PMID 20644932. S2CID 41613712. 
  12. Xu SP, Mao XY, Ren FZ, Che HL (Feb 2011). “Attenuating effect of casein glycomacropeptide o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lipid accumulation of in vitro Sprague-Dawley rat preadipocytes”. 《Journal of Dairy Science》 94 (2): 676–83. doi:10.3168/jds.2010-3827. PMID 21257036. 
  13. Van Norstrand DW, Valdivia CR, Tester DJ, Ueda K, London B, Makielski JC, Ackerman MJ (Nov 2007). “Molecular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novel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1 like gene (GPD1-L) mutations in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Circulation》 116 (20): 2253–9. doi:10.1161/CIRCULATIONAHA.107.704627. PMC 3332545. PMID 17967976. 
  14. Ferrannini E (Oct 2014). “The target of metformin in type 2 diabete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1 (16): 1547–8. doi:10.1056/NEJMcibr1409796. PMID 25317875. 
  15. Suresh S, Turley S, Opperdoes FR, Michels PA, Hol WG (May 2000). “A potential target enzyme for trypanocidal drugs revealed by the crystal structure of NAD-dependent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from Leishmania mexicana”. 《Structure》 8 (5): 541–52. doi:10.1016/s0969-2126(00)00135-0. PMID 10801498. 
  16. White MR, Khan MM, Deredge D, Ross CR, Quintyn R, Zucconi BE, Wysocki VH, Wintrode PL, Wilson GM, Garcin ED (Jan 2015). “A dimer interface mutation in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regulates its binding to AU-rich RNA”.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영어) 290 (3): 1770–85. doi:10.1074/jbc.M114.618165. PMC 4340419. PMID 25451934. 

더 읽을거리

외부 링크

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PfamInterPro: IPR011128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PfamInterPro: IPR006109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