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는 서울특별시중구 정동길3에 소재해 있으며, 현재 언론 중 열독률 1위로 대표적인 언론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2009년 한국기자협회의 언론인 대상 여론조사에서 경향신문이 1위를 차지했으며, 영향력으로는 각각 2위, 6위로 꼽혔다.
역사
광복 이듬해인 1946년 5월,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으로 조선정판사 사옥과 그 시설 일체를 미군정이 압수하여 가톨릭에 넘겨줌으로써 같은 해 10월 경성천주교 재단에서 창간했다. 초기에는 가톨릭 계열 언론사로 이승만의 단정 노선에도 매우 비판적이었으며, 김구의 남북협상론은 비현실이라 주장했다.[4] 반면, 미소공위와 좌우합작에 많은 기대를 걸기도 했다.[4] 또한 미군정에 협조적이면서도 옳지 않는 일에는 날카롭게 비판도 하고 책임을 물기도 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후 친 민국당, 친민주당적 노선을 견지했다. 제1공화국 기간 내내 국무총리와 부통령을 지낸 장면(張勉)을 정치적으로 지지하였다. 이때문에 1958년이승만과 자유당으로부터 정간처분을 당하기도 했다.(경향신문 필화 사건 참조.) 1959년 이후 자유당 독재체제가 굳어지자 반독재 노선을 분명히 했으며, 장면 부통령 피습사건 이후 비판의 목소리를 더욱 높였다. 장면의 인척인 한창우가 사주로 취임하였고, 경향신문은 제2공화국 기간 내내 장면을 비판적으로 지지하였다.
5·16 쿠데타 이후 민간에게 불하되면서 종교 성향을 띠지 않고 있다.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는 비판적 논조가 거슬린다며, 경향신문 주요 인사 교체, 주가와 판권매각으로 정수장학회와 여러 대기업의 소유가 되었으며, 당시 언론통폐합으로 합쳐진 MBC와 함께 친군부 성향 언론사로 변질되었다. 문화방송 계열사이던 1980년만 해도 미테랑프랑스 대통령의 장기 집권을 유럽의 좌경화로 표현하는 등 친군부, 반공주의적 논조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신문의 반(反) 민주적이고 친독재정권 성향의 논조 때문에 1987년6월 항쟁 당시 경향신문에 대해 분노한 시위 군중, 시민들이 지방 배송을 위해 서울역 앞에 쌓여 있던 경향신문을 대량으로 소각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었다.[5] 이후 1990년에 한화그룹에 매각되었다가 1998년에 사원주주회사로 독립한 이후부터는 진보와 개혁세력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여러 사설, 칼럼, 기사 등에서 진보 성향을 띠는 신문이 되었으며 해당 신문에 GTV가 세들어있었던 탓인지 1997년 첫 모체 진로그룹의 부도로 어려움에 놓인 GTV 인수 물망에 한때 거론됐으나[6] 불발됐다.
주5일제 신문을 발행한다. 매주 토요일일요일 신문 발행하지 않고[8], 온라인 서비스를 계속한다.
논란
천안함 침몰 영상
2010년 9월, 경찰 내부 교육자료로 쓸 목적으로 만든 천안함 침몰 홍보 동영상을 상영하는 것에 대해서 일선 초등학교들이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2개 초등학교에서 상영을 강행하였다는 주장이 경향신문을 통해 제기되었다. 또한 이 동영상을 한 인터넷 보수언론이 제작해 웹사이트상에 올려놓은 영상과 동일하다고 보도하였는데,[9] 의문이 제기된 코나스넷측은 '북한문제연구소'가 제작한 것이라고 반박했다.[10] 코나스는 이 동영상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11]
류근일 영입
2011년 8월, 경향신문은 칼럼진에 뉴데일리 고문이자 조선일보 칼럼니스트 출신인 류근일을 영입하였다. 이에 대해 내부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인 반면, 독자층을 포함한 외부에서는 경향신문이 균형강박증에 걸렸다, 헛발질이라면서 많은 우려와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12][13][14]
사장선거 외압
2012년 5월 1일의 사장선거를 앞두고 송영승 사장과 강병국 변호사가 경합하게 되자, 송영승 사장의 측근인 이대근 편집국장이 강병국 변호사에게 "무슨 일이 있더라도 당신의 입후보를 막겠다"고 불출마를 종용했고, 결국 강병국 변호사가 불출마하면서 송영승 사장이 연임되었다.[1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