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톳페스트

가래톳페스트 또는 림프절페스트페스트균에 의해 야기되는 3가지 페스트중 하나이다.[1]박테리아에 노출된 후 1~7일 후 독감같은 증상이 나타나는데, 여기에는 열, 두통, 구토가 포함된다.[1] 박테리아가 피부에 들어간 곳과 가장 가까운 부위에서 림프절이 부어오르고 통증이 느껴진다.[2] 때로는 부어오른 림프절이 끊어지기도 한다.[1]

세 종류의 페스트는 감염 경로에 따른 구분인데, 선 페스트, 폐 페스트, 패혈 페스트가 있다.[1] 선 페스트는 주로 작은 동물에 기생하는 감염된 벼룩에 의해 전염된다.[1] 또한 죽은 전염병에 감염된 동물의 체액에 노출되어 생길 수도 있다.[3] 페스트균인 벼룩이 문 피부를 통해 몸 속으로 침입하면, 박테리아는 림프관을 타고 림프절로 들어와 부어오르게 한다.[1] 혈액과 가래, 림프액 등을 검사하여 박테리아를 찾아냄으로써 진단한다.[1]

예방은 전염병이 존재하는 지역에서 죽은 동물을 다루지 않는 것과 같은 공중 보건 조치를 통해 이루어진다.[1] 백신은 예방에 효과가 거의 없으며,[1] 스트렙토마이신, 젠타마이신, 독시 사이클린을 포함한 여러 항생제가 치료에 효과적이다.[4][5] 치료를 받지 않으면 감염자의 30~90% 가량이 사망할 수 있다.[1][4] 사망은 주로 발병 10일 이내로 일어나며,[6] 치료시에도 10%가량의 사망률을 보인다.[4] 전 세계적으로 1년에 약 650건의 문서화된 사례가 발생하며, 120명 가량이 사망한다.[1] 21세기에 이 병이 주로 발생하는 지역은 아프리카이다.[1]

페스트는 14세기에 발생하여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를 휩쓴 흑사병의 원인으로 여겨지며, 이때 사망자는 5천만 명 가량으로 추정된다.[1] 이것은 당시 유럽 인구의 약 25~60% 에 달했다.[1][7] 흑사병으로 인해 많은 노동 인구가 사망했기 때문에 노동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임금이 상승하는 결과를 낳았다.[7] 따라서 일부 역사 학자들은 이를 유럽 경제 발전의 전환점으로 여기기도 한다.[7]

징후와 증상

선 페스트의 가장 잘 알려진 증상으로 알려진 하나 이상의 감염과 서혜 임파선종이라는 림프절의 통증이 있다. 감염된 벼룩에 물려 전염된 후, 페스트균은 염증이 있는 림프절에 국한되어 식민지화되고 번식하기 시작한다. 서혜 임파선종은 겨드랑이, 대퇴부, 사타구니 및 목 부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사지 말단의 괴저 (즉, 손가락, 발가락, 입술과 코)는 또 다른 흔한 증상이다.

물려서 전염되는 형태의 전염 때문에, 전염병은 병의 진행 중 첫 번째로 일어나기도 한다. 증상은 박테리아에 노출 며칠 후 갑자기 나타나며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오한
  • 일반적인 아픈 느낌 (불쾌감)
  • 높은 발열 > 39 ° C (102.2 ° F)
  • 근육 경련[8]
  • 발작
  • 부드럽고 통증이 있는 림프샘 부종으로 일반적으로 사타구니에서 발견되는 서혜 임파서종. 겨드랑이 또는 목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가장 흔히 초기 감염 부위 (물린 상처 또는 긁힘)에서 발생한다.
  • 붓기가 나타나기 전에 통증이 있을 수 있다.
  • 발가락, 손가락, 입술, 코끝과 같은 말단의 괴저 .[9]

다른 증상으로는 호흡 곤란, 혈액을 토하거나, 사지가 아프고, 기침, 극단적 통증 등이 있다. 추가 증상으로는 극심한 피로감, 위장 장애, 치근 (검은 점이 몸 전체에 흩어짐), 섬망, 혼수 상태 등이 있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Alexander, John T. (2003) [First published 1980]. Bubonic Plague in Early Modern Russia: Public Health and Urban Disaster. Oxford, UK;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5818-2. OCLC 50253204.
  • Carol, Benedict (1996). Bubonic Plague in Nineteenth-Century China.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2661-0. OCLC 34191853.
  • Biddle, Wayne (2002). A Field Guide to Germs (2nd Anchor Books ed.). New York: Anchor Books. ISBN 978-1-4000-3051-4. OCLC 50154403.
  • Little, Lester K. (2007). Plague and the End of Antiquity: The Pandemic of 541–750.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4639-4. OCLC 65361042.
  • Rosen, William (2007). Justinian's Flea: Plague, Empire and the Birth of Europe. London, England: Viking Penguin. ISBN 978-0-670-03855-8.
  • Scott, Susan, and C. J. Duncan (2001). Biology of Plagues: Evidence from Historical Populations. Cambridge, UK;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0150-8. OCLC 44811929.
  • Batten-Hill, David (2011). This Son of York. Kendal, England: David Batten-Hill. ISBN 978-1-78176-094-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y 2013. Retrieved 27 August 2018.
  • Kool, J. L. (2005). "Risk of Person-to-Person Transmission of Pneumonic Plague".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40 (8): 1166&ndash, 1172. doi:10.1086/428617. PMID 15791518.

각주

  1. Lombard, Pamela J. (2010). “Flood of April and May 2008 in Northern Maine”. 《Fact Sheet》. doi:10.3133/fs20103003. ISSN 2327-6932. 
  2. Sleeter, Christine (2015). 《August, 2012》. Rotterdam: SensePublishers. 11–13쪽. ISBN 9789463000673. 
  3. Sleeter, Christine (2015). 《August, 2012》. Rotterdam: SensePublishers. 11–13쪽. ISBN 9789463000673. 
  4. Prentice, Michael B; Rahalison, Lila (2007년 4월). “Plague”. 《The Lancet》 369 (9568): 1196–1207. doi:10.1016/s0140-6736(07)60566-2. ISSN 0140-6736. 
  5. “Aleksandr Alekseevich Boyarchuk (June 21, 1931–August 10, 2015)”. 《Astronomy Reports》 59 (11-12): 997–997. 2015년 11월. doi:10.1134/s1063772915120100. ISSN 1063-7729. 
  6. 《Medical response to terrorism : preparedness and clinical practice》.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ISBN 0781749867. 
  7. “Aleksandr Alekseevich Boyarchuk (June 21, 1931–August 10, 2015)”. 《Astronomy Reports》 59 (11-12): 997–997. 2015년 11월. doi:10.1134/s1063772915120100. ISSN 1063-7729. 
  8. Anest, Trisha; Scordino, David (2016년 11월). “Plague”. 《Oxford Medicine Online》. doi:10.1093/med/9780199976805.003.0065. 
  9. Inglesby TV, Dennis DT, Henderson DA, et al. (May 2000). "Plague as a biological weapon: medical and public health management. Working Group on Civilian Biodefense". JAMA. 283 (17): 2281–90. doi:10.1001/jama.283.17.2281. PMID 10807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