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밑신경관(hypoglossal canal), 또는 설하신경관은 머리뼈의 뒤통수뼈에 있는 구멍이다. 혀밑신경관의 안쪽과 위쪽에서는 뒤통수뼈관절융기로 숨겨져 있다. 관 안으로 혀밑신경이 주행한다.
구조
혀밑신경관은 뒤통수뼈바닥(basiocciput)과 뒤통수뼈의 목정맥구멍돌기 사이의 골단 접합부에 있다.
변이
배아에서 변이는 때때로 뒤통수뼈가 형성될 때 2개 이상의 혀밑신경관이 존재하게 할 수 있다.[1]
발생
혀밑신경관은 포유류의 발생 단계에서 형성된다.
기능
혀밑신경관을 통해 숨뇌 근처의 입구 지점에서 목정맥구멍 근처의 머리뼈바닥으로부터 출구까지 혀밑신경이 주행한다.[2]
임상적 중요성
혀밑신경관에 대한 연구는 머리뼈바닥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종양(대형 경정맥사구종, 골수종, 뇌수막종)의 진단에 도움이 된다.[3] 혀밑신경관에 대한 연구는 뇌의 해당 영역에서 수술을 수행하기 위한 안전하게 구멍을 뚫는 기술의 개발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4]
연구
연구자들은 200만 년 전에 살았던 유인원들이 현대 침팬지와 같은 크기의 운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일부 과학자들은 그들이 말을 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나 40만 년 전의 고대 호모 사피엔스는 현대인과 같은 크기의 운하를 가지고 있어 말을 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일부 네안데르탈인도 고대 호모 사피엔스와 같은 크기의 설하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여러 영장류 종을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에서는 혀밑신경관의 크기와 말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를 찾지 못했다.[5]
추가 이미지
같이 보기
각주
- ↑ Takahashi, H.; Tanaka, H.; Fujita, N.; Tomiyama, N. (2014). “Bilateral persistent hypoglossal arteries: MRI findings”. 《British Journal of Radiology》 85 (1010): e46-8. doi:10.1259/bjr/21939976. PMC 3473955. PMID 22308227.
- ↑ Richards, Alan T. (2015). 〈14 - Surgical Exposures for the Nerves of the Neck〉. 《Nerves and Nerve Injuries》. 2: Pain, Treatment, Injury, Disease and Future Directions. Academic Press. 201 - 213쪽. doi:10.1016/B978-0-12-802653-3.00063-4. ISBN 978-0-12-802653-3.
- ↑ Voyvodic, F; Whyte, A.; Slavotinek, J. (1995). “The hypoglossal canal: normal MR enhancement pattern”. 《American Journal of Neuroradiology》 16 (8): 1707–1710. PMID 7502978.
- ↑ Katsuta, T.; Matsushima, T.; Wen, H.T.; Rhoton, A.L. (2000). “Trajectory of the hypoglossal nerve in the hypoglossal canal: significance for the transcondylar approach”. 《Neurologia Medico-Chirurgica》 40 (4): 206–210. doi:10.2176/nmc.40.206. PMID 10853319.
- ↑ 02.24.99 - Graduate Students Discredit Theory that Neanderthals Could Talk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혀밑신경관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