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카르네트(Foscarnet, phosphonomethanoic acid)는 포스카비어(Foscavir)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항바이러스제로, 헤르페스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의 감염에 주로 사용한다. 피로인산염 유사체이며 DNA 중합효소 억제제로 분류된다.[3][4] 화학적으로 포스카르네트는 HO2CPO3H2(포스포노포메이트 삼나트륨)의 짝염기이다.[5][6]
1991년 의학적 사용이 처음 승인되었다.[7] 복제약으로 이용 가능하다.[8]
의학적 사용
헤르페스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 가령 약물 내성 거대세포바이러스(CMV)와 제1형, 제2형 헤르페스(HSV-1, -2) 치료에 주로 쓰인다. CMV 망막염에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구제치료의 일환으로, 이미 다수의 치료를 받아 온 HIV/AIDS 환자에서 쓸 수 있다.[9][10][11]
포스카비어의 적응증은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아 면역저하 상태인 환자에게, CMV 혈증이 발생한 경우이다.[12]
작용 기전
포스카르네트는 음이온 피로인산염의 구조유사체로, 본래 피로인산염이 바이러스 DNA 중합효소의 특정 부위에 결합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억제한다. 억제 과정은 인간의 DNA 중합효소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 농도에서 발생한다.[11]
DNA 중합효소 억제제인 아시클로버나 간시클로버로 치료받은 환자의 경우, HSV나 CMV 입자의 단백질 인산화효소(각각 티미딘 인산화효소, UL97 단백질 인산화효소)에 돌연변이가 생기면서 해당 항바이러스제에 내성이 생기기도 한다.[13][14] 그러나 이 두 약물과 달리, 포스카르네트는 바이러스의 단백질 인산화효소에 의해 활성화되지 않으므로, 아시클로버 내성 HSV나 간시클로버 내성 CMV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5]
그러나 바이러스 DNA 중합효소에 돌연변이가 생긴 아시클로버 혹은 간시클로버 내성 바이러스는 포스카르네트에도 내성을 가질 수 있다.[15][16]
부작용
포스카르네트는 신독성이 있어 치료 중인 환자에서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가 오르고 콩팥에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5][17] 치료 중 또 다른 신독성이 있는 약물 투여는 피해야 한다. 대개 콩팥 손상은 가역적이며, 용량 조절과 적절한 수분 공급으로 독성은 완화 가능하다.[18]
전해질 이상으로는 저칼슘혈증과 저마그네슘혈증이 발생 가능하므로[18][19] 이로 인한 임상적 위해를 피하기 위해 정기적인 전해질 감시가 필요하다.[5][20] 이는 약물의 킬레이트화 작용으로 인한 것이다.[12]
보다 드물게 보고된 부작용으로는 성기 궤양이 있는데, 남성에서 좀 더 흔하며 대부분 포스카르네트 유도요법 중에 발생한다.[5] 궤양이 발생하는 이유는 소변의 포스카르네트 농도가 높아 접촉성 피부염이 생기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약물 중단 시 대부분 빠르게 사라진다.[21] 경련 발작, 입 주변 감각이상, 의식수준 저하 등 기타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드물게 발생한다.[20]
펜타미딘과 병용 투여 시 신장 손상과 저칼슘혈증이 악화될 우려가 있어 두 약물은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12]
각주
- ↑ “Regulatory Decision Summary - Vocarvi”. 《Health Canada》. 2014년 10월 23일. 2022년 6월 4일에 확인함.
- ↑ “Foscavir- foscarnet sodium injection, solution”. 《DailyMed》. 2020년 4월 23일. 2020년 11월 6일에 확인함.
- ↑ Wagstaff AJ, Bryson HM (August 1994). “Foscarnet. A reappraisal of its antiviral activity, pharmacokinetic properties and therapeutic use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with viral infections”. 《Drugs》 48 (2): 199–226. doi:10.2165/00003495-199448020-00007. PMID 7527325. S2CID 260483894.
- ↑ Chrisp P, Clissold SP (January 1991). “Foscarnet. A review of its antiviral activity, pharmacokinetic properties and therapeutic use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with cytomegalovirus retinitis”. 《Drugs》 41 (1): 104–129. doi:10.2165/00003495-199141010-00009. PMID 1706982.
- ↑ 가 나 다 라 마 Garikapati S, Nguyen M (2022). 〈Foscarnet〉.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PMID 32310568. 2022년 4월 4일에 확인함.
- ↑ “phosphonoformic acid (CHEBI:127780)”. 《www.ebi.ac.uk》. 2022년 4월 4일에 확인함.
- ↑ Long SS, Pickering LK, Prober CG (2012). 《Principles and Practice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영어). Elsevier Health Sciences. 1502쪽. ISBN 978-1437727029.
- ↑ “Competitive Generic Therapy Approvals”.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23년 6월 29일. 2023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29일에 확인함.
- ↑ Canestri A, Ghosn J, Wirden M, Marguet F, Ktorza N, Boubezari I, 외. (2006). “Foscarnet salvage therapy for patients with late-stage HIV disease and multiple drug resistance”. 《Antiviral Therapy》 11 (5): 561–566. doi:10.1177/135965350601100501. PMID 16964823. S2CID 24905247.
- ↑ Mathiesen S, Dam E, Roge B, Joergensen LB, Laursen AL, Gerstoft J, Clavel F (2007). “Long-term foscarnet therapy remodels thymidine analogue mutations and alters resistance to zidovudine and lamivudine in HIV-1”. 《Antiviral Therapy》 12 (3): 335–343. doi:10.1177/135965350701200310. PMID 17591023. S2CID 19856772.
- ↑ 가 나 Meyer PR, Rutvisuttinunt W, Matsuura SE, So AG, Scott WA (May 2007). “Stable complexes formed by HIV-1 reverse transcriptase at distinct positions on the primer-template controlled by binding deoxynucleoside triphosphates or foscarnet”.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369 (1): 41–54. doi:10.1016/j.jmb.2007.03.006. PMC 1986715. PMID 17400246.
- ↑ 가 나 다 “포스카비어주”. 《약학정보원》. 2024년 5월 9일에 확인함.
- ↑ Chou S (July 2008). “Cytomegalovirus UL97 mutations in the era of ganciclovir and maribavir”. 《Reviews in Medical Virology》 18 (4): 233–246. doi:10.1002/rmv.574. PMID 18383425. S2CID 42775774.
- ↑ Frobert E, Ooka T, Cortay JC, Lina B, Thouvenot D, Morfin F (March 2005). “Herpes simplex virus thymidine kinase mutations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acyclovir: a site-directed mutagenesis study”.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49 (3): 1055–1059. doi:10.1128/aac.49.3.1055-1059.2005. PMC 549244. PMID 15728902.
- ↑ Bonnafous P, Naesens L, Petrella S, Gautheret-Dejean A, Boutolleau D, Sougakoff W, Agut H (2007). “Different mutations in the HHV-6 DNA polymerase gene accounting for resistance to foscarnet”. 《Antiviral Therapy》 12 (6): 877–888. doi:10.1177/135965350701200608. PMID 17926642. S2CID 24584000.
- ↑ Tchesnokov EP, Gilbert C, Boivin G, Götte M (February 2006). “Role of helix P of the human cytomegalovirus DNA polymerase in resistance and hypersusceptibility to the antiviral drug foscarnet”. 《Journal of Virology》 80 (3): 1440–1450. doi:10.1128/JVI.80.3.1440-1450.2006. PMC 1346920. PMID 16415021.
- ↑ Ota R, Hirata A, Noto K, Yokoyama S, Hosomi K, Takada M, Matsuoka H (May 2020). “Relationship between serum calcium and creatinine i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patients treated with foscarnet”.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58 (5): 274–281. doi:10.5414/CP203650. PMID 32101522. S2CID 211537187.
- ↑ 가 나 Jacobson MA (1992년 1월 1일). “Review of the toxicities of foscarnet”. 《Journal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s》 5 (Suppl 1): S11–S17. PMID 1534839.
- ↑ Gearhart MO, Sorg TB (March 1993). “Foscarnet-induced severe hypomagnesemia and other electrolyte disorders”. 《The Annals of Pharmacotherapy》 27 (3): 285–289. doi:10.1177/106002809302700304. PMID 8384030. S2CID 37250222.
- ↑ 가 나 Zareifopoulos N, Lagadinou M, Karela A, Kyriakopoulou O, Velissaris D (August 2020). “Neuropsychiatric Effects of Antiviral Drugs”. 《Cureus》 12 (8): e9536. doi:10.7759/cureus.9536. PMC 7465925. PMID 32905132.
- ↑ Adalsteinsson JA, Pan M, Kaushik S, Ungar J (April 2018). “Foscarnet-induced genital lesions: An overview with a case report”. 《Dermatology Reports》 10 (1): 7749. doi:10.4081/dr.2018.7749. PMC 6026811. PMID 29991980.
외부 링크
- “Foscarnet”.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Foscarnet sodium”.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