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가수스자리 51(영문 약자: 51 Peg) 또는 공식명칭 헬베티우스(Helvetios)[11]는 지구로부터 페가수스자리 방향으로 약 50.45 광년 (15.47 파섹) 떨어져 있는 G형 주계열성 또는 G형 준거성이다. 이 항성은 주계열성으로는 외계 행성(페가수스자리 51 b, 공식명칭은 '디미디움'이며 종전에는 비공식적으로 '벨레로폰'으로 불림)을 거느리고 있음이 최초로 확인된 천체이다.[12]
페가수스자리 51은 1989년 《차가운 항성들의 개정 MK 분광형 퍼킨스 항성목록》(The Perkins catalog of revised MK types for the cooler stars)에 분광형 G2IV 표준별로 수록되었다. 역사적으로 이 별은 일반적으로 분광형 G5V를 받아 왔으며[8] 보다 최근 항성목록들에도 보통 주계열성으로 수록되어 있다.[13] 아직은 중심핵의 열핵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지만 태양보다 진화가 더 많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5]채층의 유효온도는 약 5571 K으로 이 온도에서 항성은 G형의 노란 색으로 빛난다.[14] 예상 나이는 61 ~ 81억 년으로 태양보다 좀 더 많으며 반지름은 태양보다 24% 크고 질량은 11% 더 크다. 수소/헬륨보다 무거운 원소가 항성 구성물질 중 차지하는 비율이 태양보다 더 크다.(과학자들은 이 개념을 항성의 '금속함량'으로 부른다.) 페가수스자리 51처럼 금속함량이 높은 항성들은 행성을 거느릴 확률이 보다 높아진다.[8] 1996년 천문학자 Baliunas, Sokoloff, Soon은 이 별의 자전주기가 37일임을 알아냈다.[15]
1981년 연구에서는 변광성으로 의심되기도 했으나[16] 후속 연구를 통해 1977년부터 1989년 사이 채층 활동이 없었음이 드러났다. 1994년부터 2007년 사이 수행된 추가 관측에서도 활동량은 미미하거나 없었다. 상대적으로 낮은 엑스선 방출과 위 연구 결과로 보아 이 별은 몬더 극소기 단계를 지나고 있어 흑점의 수가 줄어든 상태일 가능성이 있다.[8]
페가수스자리 51은 플램스티드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다. 이 별을 도는 외계 행성 발견 당시 과학자들은 행성에 어머니 항성 명명법에 따라 '페가수스자리 51 b'를, 비공식적으로는 그리스-로마 신화의 등장인물 이름을 따오는 전통에 따라 '벨레로폰' 이름을 붙여 주었다.(벨레로폰은 신화에서 날개 달린 말 페가수스를 모는 자이다.)[17]
2014년 국제천문연맹은 특정 외계행성들과 어머니 항성들에 고유명칭을 부여하는 절차를 개시했으며[18] 천체들에 붙일 고유명칭을 공모했다.[19] 2015년 12월 IAU는 페가수스자리 51의 고유명칭으로 헬베티우스(Helvetios)를, 행성 b 명칭으로 디미디움(Dimidium)을 선정했다.[20]
선정된 명칭들은 스위스 루체른 천문학회가 제출했다. '헬베티우스'는 헬베티족의 라틴어 표기로 오래 전 스위스에 살았던 켈트족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한편 행성의 명칭 '디미디움' 역시 라틴어로 '절반'이라는 뜻이며 이는 b의 질량이 목성의 최소 절반이라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21]
2016년 IAU는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목록화, 표준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조직하였다.[22] 2016년 7월 최초 공고에서[23] WGSN은 '행성 및 행성 위성의 공개 명명에 관한 실무위원회 워킹그룹'이 승인한 행성/어머니 항성의 명칭들 및 2015년 NameExoWorlds 캠페인에서 채택한 항성 명칭들을 명시적으로 인정했다. 현재 페가수스자리 51은 IAU 항성명칭목록에 수록되어 있다.[11]
1995년 10월 6일 스위스 천문학자 미헬 마이어와 디디에 클로는 외계 행성 하나가 페가수스자리 51을 돌고 있다고 공식 발표했다.[12] 관측 장소는 프랑스 소재 오트 프로방스 천문대였다.
페가수스자리 51 b는 주계열성 주위를 도는 행성급 질량 천체로서는 최초 사례였다. b는 항성으로부터 매우 가까이 있어 표면 온도는 대략 1200 °C이며 질량은 최소 목성의 절반 정도이다. 발견 당시 행성이 항성에 이렇게 가까이 붙어 있는 것은 기존의 행성 생성 이론과 맞지 않는 결과였기에 행성 이동 이론에 관한 논쟁이 일어났다.[25]
↑ 가나다라마Monet, David G.; Levine, Stephen E.; Canzian, Blaise; Ables, Harold D.; Bird, Alan R.; Dahn, Conard C.; Guetter, Harry H.; Harris, Hugh C.; Henden, Arne A. (February 2003). “The USNO-B Catalog”. 《The Astronomical Journal》 125 (2): 984–993. arXiv:astro-ph/0210694. Bibcode:2003AJ....125..984M. doi:10.1086/345888.
↑Keenan, Philip C.; McNeil, Raymond C. (1989). “The Perkins Catalog of Revised MK Types for the Cooler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1: 245. Bibcode:1989ApJS...71..245K. doi:10.1086/191373.
↑ 가나Johnson, H. L.; Iriarte, B.; Mitchell, R. I.; Wisniewskj, W. Z.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 가나Frasca, A.; Covino, E.; Spezzi, L.; Alcalá, J. M.; Marilli, E.; Fżrész, G.; Gandolfi, D. (December 2009). “REM near-IR and optical photometric monitoring of pre-main sequence stars in Orion. Rotation periods and starspot paramet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08 (3): 1313–1330. arXiv:0911.0760. Bibcode:2009A&A...508.1313F. doi:10.1051/0004-6361/200913327.
↑Skiff, B. A. (2014).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Spectral Classifications (Skiff, 2009–2016)”. 《VizieR On-line Data Catalog》. Bibcode:2014yCat....1.2023S.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Baliunas, Sallie; Sokoloff, Dmitry; Soon, Willie (1996). “Magnetic Field and Rotation in Lower Main-Sequence Stars: An Empirical Time-Dependent Magnetic Bode's Relation?”.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457 (2): L99–L102. Bibcode:1996ApJ...457L..99B. doi:10.1086/309891.
↑Kukarkin, B. V.; Kholopov, P. N.; Artiukhina, N. M.; Fedorovich, V. P.; Frolov, M. S.; Goranskij, V. P.; Gorynya, N. A.; Karitskaya, E. A.; Kireeva, N. N. (1981). “Nachrichtenblatt der Vereinigung der Sternfreunde e.V. (Catalogue of suspected variable stars)”. 《Nachrichtenblatt der Vereinigung der Sternfreunde》: 0. Bibcode:1981NVS...C......0K.
↑Butler, R. P.; Wright, J. T.; Marcy, G. W.; Fischer, D. A.; Vogt, S. S.; Tinney, C. G.; Jones, H. R. A.; Carter, B. D.; Johnson, J. A. (2006). “Catalog of Nearby Exoplanets”. 《The Astrophysical Journal》 646 (1): 505–522. arXiv:astro-ph/0607493. Bibcode:2006ApJ...646..505B. doi:10.1086/504701.
↑“51_peg_b”. Extrasolar Planet Encyclopaedia. 2012년 11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