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코뿔소(Woolly rhinoceros)는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유라시아 북부에 서식했던 멸종된 코뿔소 종이다. 털코뿔소는 플라이스토세 거대동물에 속했다. 털코뿔소는 길고 두꺼운 털로 덮여 있어 매우 춥고 혹독한 매머드 스텝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 어깨에서 뻗어 나오는 거대한 혹이 있었고 주로 스텝에서 자라는 초본식물을 먹었다. 영구 동토층에 보존된 미라 시체와 털코뿔소의 뼈 잔해가 많이 발견되었다. 털코뿔소의 이미지는 유럽과 아시아의 동굴벽화에서 볼 수 있다. 시베리아로 수축된 털코뿔소의 분포 범위는 약 17,000년 전부터 시작되었으며, 가장 어린 기록은 시베리아 북동부에서 약 14,000년 전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뵐링-알레뢰드 온난화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환경 DNA 기록에 따르면 약 9,800년 전에 서식지 범위가 확장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가장 가까운 친척은 수마트라코뿔소이다.
분류학
털코뿔소 유적은 이 종이 묘사되기 훨씬 전부터 알려져 왔으며 일부 신화 속 생물의 기반이 되었다. 시베리아 원주민들은 코뿔소의 뿔이 거대한 새의 발톱이라고 믿었다.[1] 코뿔소 두개골은 1335년 오스트리아클라겐푸르트에서 발견되었으며 용의 것으로 추정되었다.[2] 1590년에는 린트부름 동상의 머리 받침대로 사용되었다.[3]고트힐프 하인리히 폰 슈베르트는 뿔이 거대한 새의 발톱이라는 믿음을 유지하며 "고대의 그리핀"이라는 뜻의 그리푸스 안티쿠이타티스(Gryphus antiquitatis)라는 이름으로 동물을 분류했다.[4]
고대 코뿔소 종에 대한 가장 초기의 과학적 설명 중 하나는 1769년 자연주의자 페터 지몬 팔라스가 시베리아 탐험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영구 동토층에서 두개골과 뿔 두 개를 발견했을 때이다.[5] 1772년 팔라스는 이르쿠츠크 지역 주민들로부터 코뿔소의 머리와 다리 두 개를 인수하여[6] 이 종의 이름을 리노케로스 레네네시스 (레나강의 이름을 따서)로 지었다.[7] 1799년 요한 프리드리히 블루멘바흐는 괴팅겐 대학교의 컬렉션에서 코뿔소 뼈를 연구하여 리노케로스 안티쿠이타티스(Rhinoceros antiquitatis)라는 학명을 제안했다.[8] 지질학자 하인리히 게오르크 브론은 1831년 코뿔소속과의 치아 형성 차이 때문에 이 종을 털코뿔소속으로 옮겼다.[9] 이 이름은 코뿔소의 어금니 구조가 함몰되어 있는 그리스어로 κοιλος (koilos, "속이 비어 있다")와 ὀδούς (odoús, "치아")에서 유래한 것으로[10][11], "고대의 속이 빈 이빨"이라는 학명인 코엘로돈타 안티쿠이타티스(Coelodonta antiquitatis)라는 이름을 붙였다.[12]
묘사
구조 및 외관
성체 털코뿔소는 일반적으로 머리에서 꼬리까지 길이가 3.2~3.6m이고, 어깨 높이가 1.45~1.6m이고, 몸무게가 최대 1.5~2m (일부 출처는 이 종의 체질량을 2.4~2.9m까지 높이[13][14])로 현존하는 가장 큰 코뿔소 종인 흰코뿔소와 비슷한 크기이다.[15][16] 수컷과 암컷 모두 케라틴으로 만든 두 개의 뿔이 있었는데, 하나는 긴 뿔이 앞으로 뻗어 있고 눈 사이에는 작은 뿔이 있었다.[17][18] 앞 뿔의 길이는 25~35세의 개체가 1~1.35m이고, 두 번째 뿔의 길이는 최대 47.5cm였다.[18] 현대 코뿔소와 달리 큰 코뿔은 단면이 평평한 경우가 많았고, 뿔의 마모 패턴은 방목할 때 눈을 닦을 때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19] 다른 코뿔소에 비해 털코뿔소는 머리와 몸통이 길고 다리가 짧았다. 어깨에는 동물의 거대한 앞 뿔을 지탱하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혹이 있었다. 혹에는 매머드 스텝의 황량한 겨울 동안 생존을 돕기 위한 지방 비축물도 포함되어 있었다.[20]
냉동 표본에 따르면 코뿔소의 긴 털은 적갈색이며, 시들음과 목에 가장 두꺼운 길고 거친 보호 털 층 아래에 두꺼운 내피가 있다. 짧은 털이 팔다리를 덮어서 눈이 달라붙지 않았다.[20] 몸길이는 45~50cm의 꼬리와 끝에 거친 털이 있는 브러시로 끝났다.[21] 암컷은 젖꼭지에 두 개가 있었다.[16]
털코뿔소는 신체 표면적을 줄이고 열 손실을 최소화하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귀는 24cm를 넘지 않는 반면, 더운 기후의 코뿔소는 약 30cm이다.[18] 꼬리도 상대적으로 짧았다. 또한 가슴과 어깨에 가장 무거운 5~15mm의 두꺼운 피부를 가지고 있었다.[22][18]
고생물학
털코뿔소는 현대 코뿔소와 비슷한 삶의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 젖니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개체는 흰코뿔소와 검은코뿔소 모두와 비슷하게 발달했다.[23] 암컷의 두 젖꼭지는 2~3년마다 어린 털코뿔소 한 마리, 즉 드물게 두 마리를 키웠다는 것을 시사한다.[24][16]
거대한 뿔과 몸집 때문에 성체에게는 포식자가 거의 없었지만 어린 개체는 동굴하이에나와 동굴사자의 공격을 받을 수 있었다. 고양이과 동물의 공격을 나타내는 외상이 있는 두개골이 발견되었지만 동물은 성체가 될 때까지 살아남았다.[25] 털코뿔소의 유해는 동굴하이에나 굴에서 자주 발견되며[26], 이는 이미 죽은 코뿔소의 사체를 청소한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27]
털코뿔소는 동굴벽화에 기록된 종내 전투뿐만 아니라 겨울 동안 초목을 발견하기 위해 눈을 옮기는 등 뿔을 전투에 사용했을 수 있다.[22] 또한 짝을 유인하는 데도 사용되었을 수 있다. 털코뿔소는 현대의 코뿔소와 마찬가지로 영토가 넓었으며, 특히 발정기에는 경쟁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했을 것이다. 화석 두개골은 다른 코뿔소의 앞 뿔이 손상된 것으로 보이며[25], 아래턱과 등갈비뼈는 부러지고 다시 형성된 흔적을 보이며, 이 역시 전투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28] 최근 코뿔소와 비교했을 때 종내 전투의 명백한 빈도는 다른 대형 초식동물과의 경쟁으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에 직면했던 지난 빙하기 동안 급격한 기후 변화의 결과였을 가능성이 높다.[29]
먹이
털코뿔소는 주로 매머드 스텝에서 자란 풀과 사초를 먹는다. 길고 비스듬한 머리와 아래쪽을 향한 자세, 치아 구조가 모두 초목을 방목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8][30]흰코뿔소처럼 윗입술이 넓어 땅에서 직접 초목을 쉽게 뽑을 수 있었다. 스태퍼드셔주화이트무어헤이에서 회수한 잘 보존된 마지막 한랭기 개체의 두개골, 하악골 및 치아에 대한 균주 벡터 생체역학 조사 결과, 방목된 먹이 선호도를 뒷받침하는 근육 및 치아 특성이 밝혀졌다.[16] 특히 측두골과 목 근육의 비대는 땅에서 큰 입으로 사료를 섭취할 때 발생하는 큰 당기는 힘에 저항하는 데 필요한 것과 일치한다. 큰 종격동의 존재는 이 이론을 뒷받침한다.[31]
인간과의 관계
고대 예술
후기 구석기 시대의 많은 동굴벽화에는 털코뿔소가 그려져 있다. 동물의 특징은 눈에 띄게 그려져 있으며, 등과 혹이 솟아 있고 낮은 머리와 대조를 이룬다. 두 개의 곡선은 귀를 나타낸다. 동물의 뿔은 긴 곡률로 그려져 있으며 경우에 따라 털도 표시되어 있다. 많은 그림에서 몸을 나누는 검은색 띠를 보여준다.[32]
체코모라바에 있는 돌니베스토니체 유적지에서는 700개 이상의 동물 조각상과 많은 털코뿔소 조각상이 발견되었다.[33]
↑Schubert, von, G.H., 1823. Die Urwelt und die Fixsterne: eine Zugabe zu den
Ansichten von der Nachtseite der Naturwissenschaft [The Primeval World and the Fixed Stars]. Arnoldischen Buchhandlung, Dresden.
↑Pallas, P.S.; Blagdon, F.W. (1812). 《Travels Through the Southern Provinces of the Russian Empire: In the Years 1793 and 1794》. Travels Through the Southern Provinces of the Russian Empire, in the Years 1793 and 1794. John Stockdale, Piccadilly.
↑Lazarev, P.A., Grigoriev, S.E., Plotnikov, V.V., 2010. Woolly rhinoceroses from Yakutia//evolution of life on the Earth. In: Proceedings of the IV International
Symposium. TML-Press, Tomsk, pp. 555e558.
↑Gehler, Alexander & Reich, Mike & Mol, Dick & Plicht, Hans. (2007). The type material of Coelodonta antiquitatis (Blumenbach) (Mammalia: Perissodactyla: Rhinocerotidae) / Типовой материал Coelodonta antiquitatis (Blumenbach) (Mammalia: Perissodactyla: Rhinocerotidae) / Tipovoj material Coelodonta antiquitatis (Blumenbach) (Mammalia: Perissodactyla: Rhinocerotidae).
↑von Koenigswald, W. (2002). 《Lebendige Eiszeit: Klima und Tierwelt im Wandel》 [Living Ice Age: Climate and wildlife in transition] (독일어). Theiss. ISBN978-3-8062-1734-6.
↑Ma, Jiao; Wang, Shiqi; Deng, Tao (2024년 4월 11일). “When the woolly rhinoceroses roamed East Asia: a review of isotopic paleoecology of the genus Coelodonta from the Tibetan Plateau to northern Eurasia”. 《Frontiers in Ecology and Evolution》 12. doi:10.3389/fevo.2024.1377000. ISSN2296-701X.
↑Kalandadze N.N., Shapovalov A.V. & Tesakova E.M.— On nomenclatural problems concerning woolly rhinoceros Coelodonta antiquitatis (Blumenbach, 1799) // Researches on paleontology and biostratigraphy of ancient continental deposits (Memories of Professor Vitalii G. Ochev). Eds. M.A. Shishkin & V.P. Tverdokhlebov.— Saratov: «Nauchnaya Kniga» Publishers, 2009. P. 98–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