콤 문자(Khom script, 태국어: อักษรขอม 악손 콤[*])은 라오스 지역에서 쓰이던 인공 문자의 일종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최근 시드웰(2008)과 자크(2001)는 '콤 문자(Khom script)'라는 이름 하에 이에 관해 기술하였다. 콤 문자는 독특한 표기 형태를 취하는데, 우선 음절 처음에 오는 자음을 표기하는 일련의 문자가 존재하며, 또 그 다음의 모음과 음절 끝의 자음이 합쳐진 일련의 문자가 존재한다. 즉 (C)-V(C) 형태로 표기를 하게 된다. 이는 음절 문자와 유사한 체계이나, 엄밀히 말해 음절 처음에 오는 자음과 바로 뒤에 오는 모음이 합쳐진 일련의 문자를 이용하는 음절 문자 체계(이 경우 (C)V-(C) 형태가 된다)와는 다른 것이다. 이를테면,
이것은 책이다.
와 같은 문장을 쓸 때, 콤 문자 식의 표기를 할 경우,
(ㅣ) (ㄱ) (ㅓㅅ) (ㅡㄴ) (ㅊ) (ㅐㄱ) (ㅣ) (ㄷ) (ㅏ).
와 같이 된다. 이러한 형태의 표기법을 취하는 문자로 알려진 것은 콤 문자가 유일하다.
콤 문자를 발명한 사람은 프랑스의 식민 지배에 반해 반란을 주도한 옹 꼼만담이다. 그는 1924년 무렵에 이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1936년 그가 죽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다. 옹 꼼만담은 자신이 '콤의 신', '콤의 왕' 등의 신성한 칭호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Sidwell 2008:17) 옹 꼼만담은 이 문자를 이러한 자신의 신성성에 대한 주장에 연결하여, 이 문자로 쓴 메시지는 그 의미에 더해 신비로운 힘을 갖게 된다고 하였다.
콤 문자는 비밀스럽게 내부 공동체에서만 쓰이고 있었는데, 그 존재가 외부인에게 드러난 것은 독립된 상황에서 죽어가는 늙은 사용자 두 명 덕분이다. 이 문자의 형태 중 일부는 주변 지역에 쓰이는 문자들과 닮은 점이 있으나, 대부분의 문자는 완전히 새로 발명된 것이다.
다른 뜻
타이의 불교사원에서 쓰이는 고대 크메르 제식 문자에 대해서도 콤 문자라는 이름이 사용된다.
참고 문헌
Jacq, Pascale. 2001. A Description of Jruq (Loven): a Mon-Khmer language of the Lao PDR. Unpublished MA thesi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images of script symbols on pp. 523–525)
Sidwell, Paul. 2008. The Khom script of the Kommodam Rebell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Sociology of Language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