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우스 메디아(Kaus Media) 또는 공식명칭 궁수자리 델타(δ Sgr)는 남반구 황도대의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쌍성계이다.[10][11][1]겉보기등급은 +2.70으로[3] 맨눈으로 쉽게 볼 수 있다. 시차 자료로부터 계산한 이 별까지의 거리는 약 348 광년 (107 파섹)이다.[2]
특징
2008년 Eggleton과 Tokovinin은 궁수자리 델타를 진화가 이루어진 K3 III 분광형의 거성과 백색왜성으로 이루어진 쌍성계 목록에 올렸다.[7][12] 거성 쪽은 바륨별의 성격을 약하게 띠고 있으며, 반성인 백색 왜성과의 질량 교환을 통해 항성 표면에 S과정으로 생긴 원소들이 풍부하게 누적된 것으로 보인다.[13] 주성의 질량은 태양의 3.21 배이며 나이는 약 2억 6000만 년이다.[6]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이름인 카우스 메디아Kaus Media, 카우스 메리디오날리스Kaus Meridionalis, 메디아Media는 아랍어 قوس ('카우스', 활)와 라틴어media ('메디아', 가운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공식화 및 목록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조직했다.[15] WGSN은 2016년 7월 1차로 카우스 메디아 Kaus Media 명칭을 고시했다.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 이 별은 타니 알 와리다 Thani al Waridah 로 표기되어 있으며 그 뜻은 '와리다 중 두 번째'이다.[16]
중화권에서 카우스 메디아는 기(箕)에 소속되어 있다. 기는 카우스 메디아 외에 궁수자리 감마, 엡실론, 에타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카우스 메디아 하나만을 일컫는 명칭은 기수2(箕宿二)이다.[17]
↑ 가나다라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Elgarøy, Øystein; Engvold, Oddbjørn; Lund, Niels (March 1999), “The Wilson-Bappu effect of the MgII K line - dependence on stellar temperature, activity and metallicity”, 《Astronomy and Astrophysics》 343: 222–228, Bibcode:1999A&A...343..222E
↑Evans, D. S. (June 20–24, 1966), Batten, Alan Henry; Heard, John Frederick, 편집., “The Revision of the General Catalogue of Radial Velocities”,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University of Toronto: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30: 57, Bibcode:1967IAUS...30...57E
↑ 가나Houk, Nancy (1979),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Volume_3. Declinations -40_ƒ0 to -26_ƒ0》 (Ann Arbor, Michigan: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3, Bibcode:1982mcts.book.....H
↑Gomez, A. E.; 외. (1997), “Absolute magnitudes and kinematics of barium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19: 881, Bibcode:1997A&A...319..881G.
↑Dommanget, J.; Nys, O. (1994). “Catalogue des composantes d'etoiles doubles et multiples (CCDM) premiere edition - Catalogue of the components of double and multiple stars (CCDM) first edition”. 《Com. de l'Observ. Royal de Belgique》 115: 1. Bibcode:1994CoORB.115....1D.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8): 435.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