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자리 성류
처녀자리 성류(영어: Virgo stellar stream)는 2005년에 처녀자리에서 발견된 성류로, 처녀자리 과밀도(영어: Virgo overdensity)로도 알려져 있기도 하다.[1][2] 이 성류는 우리 은하와 병합 과정에 있는 왜소구형은하의 잔해로 추정된다. 이는 밤하늘 전체를 뒤덮는다는 면에서 지구에서 관측 가능한 가장 큰 은하이다.
처녀자리 성류는 슬론 디지털 전천 탐사의 사진 자료를 통해 만든 우리 은하의 삼차원 지도에서 특정 유형의 별들의 색깔과 밝기를 통한 거리 추정(측광시차법)으로 발견되었다.[3] 처녀자리의 새로운 은하에 대한 최초의 주장은 2001년에,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을 찾기 위해 베네수엘라의 를라노 델 하토 국립 천문 관측소의 직경 1.0 미터의 슈미트 망원경을 이용한 QUEST 탐사의 일환으로 얻은 자료를 통해 제시되었다. 적경 12.4 시 부근에서 다섯 개의 별이 무더기로 발견되었는데, 천문학자들은 이 무더기가 우리 은하에게 "잡아먹히고 있는" 작은 은하의 일부분일 것으로 추측하였다.[4]
처녀자리 성류는 하늘에서 100 제곱도 이상, 최대 1,000 제곱도(천구의 반구의 약 5%, 또는 보름달의 겉보기 면적의 5,000 배)에 이를 정도로 방대한 영역을 덮는다. 성류는 태양계와 가까워 입체각 상당히 큼에도 불구하고 단 수십만 개의 별들만을 포함하고 있다. 32.5 등급/arcmin2만큼 낮은 은하의 표면 밝기로 인해 SDSS의 탐사 이전까지 이 성류는 발견되지 못하였다. 처녀자리 성류에 포함된 별들의 개수는 한 개의 성단을 크게 웃돌지 않으며, 성류를 발견한 연구단의 일원은 이를 우리 은하에 비해 "매우 불쌍한 은하"로 표현하였다.[5] 대부분의 별들은 수 세기 동안 알려져 왔으며 우리 은하의 평범한 별으로 여겨졌다. 이들이 우리 은하에 있는 평범한 항성종족 1형의 별보다 낮은 중원소함량을 가지고 있긴 해도 말이다.
처녀자리 성류는 우리 은하 내부에 위치해 있는데, 태양으로부터 약 10 킬로파섹 (30,000 광년) 떨어져 있으며 삼차원적으로 적어도 10 킬로파섹 이상의 뻗어 있다. 또 하늘에서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와 가까이 있기도 하다.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는 비슷하게 1994년에 항성 탐사의 사진 분석을 통해 발견되었다.[6] 또 처녀자리 성류와 마찬가지로 우리 은하와 병합 과정에 있는 작은 은하이기도 하다. 그러나 성류보다 거의 4 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둘은 물리적으로 상관성이 없다.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가 우리 은하 주변을 공전하면서 파괴되어 남긴 잔해가 처녀자리 성류일 수도 있긴 해도 말이다.[7] 또 처녀자리 성류는 마찬가지로 우리 은하와 병합 중인 큰개자리 왜소은하가 남긴, 2002년에 발견된 외뿔소자리 고리와 유사하다.[8]
같이 보기
각주
- ↑ The Sloan Digital Sky Survey Reveals A New Milky Way Neighbor, SDSS press release, January 9, 2006
- ↑ Sonia Duffau, et al., 2006, Spectroscopy of QUEST RR Lyrae Variables: the new Virgo Stellar Stream, The Astrophysical Journal, Volume 636, Issue 2, pp. L97-L100 (AD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arXiv, PDF)
- ↑ Mario Juric, et al., October 2005, The Milky Way Tomography with SDSS, The Astrophysical Journal, submitted (arXiv, PDF)
- ↑ Katherina Vivas et al., 2001, The QUEST RR Lyrae Survey: Confirmation of the Clump at 50 Kiloparsecs and Other Overdensities in the Outer Halo, The Astrophysical Journal, Volume 554, Issue 1, pp. L33-L36.
- ↑ "Pathetic galaxy", Space Daily, 10 January 2006
- ↑ Ibata, R. A., et al., 1994, A Dwarf Satellite Galaxy in Sagittarius, Nature, Volume 370, Number 6486, p. 194.
- ↑ The origin of the Virgo tidal stream Archived 2006년 9월 4일 - 웨이백 머신, David Martínez-Delgado, Workshop on Dwarf Galaxies as Astrophysical and Cosmological Probes, 17 March 2006. (PDF)
- ↑ Newberg, H. J., et al., 2002, The Ghost of Sagittarius and Lumps in the Halo of the Milky Way, The Astrophysical Journal, Volume 569, Issue 1, pp. 245-274
외부 링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