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간막 허혈

장간막 허혈
진료과위장병학, 일반외과, 혈관외과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장간막 허혈(腸間膜虛血, mesenteric ischemia)은 혈액 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까닭에 소장에 장애가 발생하는 질병이다.[1] 갑자기 찾아오는 경우 급성 장간막 허혈이라고 하며, 점진적으로 찾아오는 경우 만성 장간막 허혈이라고 한다.[2] 급성 질병은 갑작스런 극심한 통증을 동반한다.[2] 증상은 급성 질병이나 만성 질병 환자에게 더 천천히 다가올 수 있다.[1] 만성 질병의 증상에는 식사 후 복통, 고의적이지 않은 체중 감소, 구토, 식사에 대한 두려움을 포함한다.[1][2]

위험 요인에는 혈전성향증이 되는 경향이 있는 만성 신부전, 심방 세동, 심부전, 그리고 심근 경색 이력이 있다.[1] 혈류가 문제가 있을 경우 발생하는 구조가 4가지 있다: 동맥성색전증, 동맥혈전증, 장간막정맥에 형성되는 혈액 응고, 저혈압이나 혈관 수축으로 인한 불충분한 혈류량.[3][4] 만성 질병은 급성 질병의 위험 요소이다.[5] 가장 좋은 진단 방식은 혈관조영술이며, 이 기술의 이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CT 촬영이 사용된다.[2]

급성 허혈의 치료에는 인터벤션 영상을 통해 보이는 폐색 장소에 스텐트혈전용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2] 최소침습시술을 사용하여 폐색 부분을 우회, 제거할 수 있으며 죽은 창자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1] 조속히 치료하지 않으면 결과가 나쁜 경우가 종종 있다.[2] 치료를 받은 환자 중에서도 사망 위험율은 70%에서 90%에 달한다.[3] 만성 질환 환자에게는 치료를 위해 현관우회로술(bypass surgery) 또한 선택이 가능하다.[2] 정맥혈전증 환자는 수술로도 개선이 되지 않을 경우 헤파린, 와파린과 같은 항응고제로 치료할 수 있다.[1][6]

급성 장간막 허혈은 개발도상국에서 해마다 100,000명 당 약 5명에 영향을 준다.[7] 만성 장간막 허혈은 100,000명 당 약 1명에 영향을 준다.[8] 영향을 받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60세 이상이다.[3] 발생 빈도는 같은 나이대의 남성과 여성 기준으로 거의 동일하다.[3] 장간막 허혈은 1895년에 처음 기술되었다.[2]

역사

급성 장간막 허혈은 1895년 처음 기술되었으며, 만성 질병은 1940년대에 처음 기술되었다.[2] 만성 질병은 처음에 "angina abdominis"라는 이름으로 처음 알려졌다.[2]

각주

  1. Yelon, Jay A. (2014). 《Geriatric Trauma and Critical Care》 Aufl. 2014판. New York: Springer Verlag. 182쪽. ISBN 9781461485018. 
  2. Bobadilla, JL (August 2013). “Mesenteric ischemia.”. 《The Surg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93 (4): 925–40, ix. doi:10.1016/j.suc.2013.04.002. PMID 23885938. 
  3. Britt, L.D. (2012). 《Acute care surgery》 1판. Philadelphia: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621쪽. ISBN 9781608314287. 
  4. Creager, Mark A. (2013). 《Vascular medicine : a companion to Braunwald's heart disease》 2판. Philadelphia, PA: Elsevier/Saunders. 323–324쪽. ISBN 9781437729306. 
  5. Sreenarasimhaiah, J (April 2005). “Chronic mesenteric ischemia.”.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gastroenterology》 19 (2): 283–95. doi:10.1016/j.bpg.2004.11.002. PMID 15833694. 
  6. Liapis, C.D. (2007). 《Vascular surgery》. Berlin: Springer. 420쪽. ISBN 9783540309567. 
  7. Geoffrey D. Rubin (2012). 《CT and MR Angiography: Comprehensive Vascular Assessment》.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18쪽. ISBN 9781469801834. 
  8. Gustavo S. Oderich (2014). 《Mesenteric Vascular Disease: Current Therapy》. Springer. 105쪽. ISBN 9781493918478. 

외부 링크